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157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157-4164, 2014
한국군 병사의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영적안녕, 자기통제, 조직몰입의 상관관계 연구
Abstract
Aim: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study of spiritual well-being, self-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prevention of suicidal attempts by Korean soldiers. Methods: This study was non-experimental survey research design through a questionnaire containing 3 categories, spiritual well-being, self-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599 subjects in the military in Korea. The data collected from the 1st to 28th of December, 2013, analyze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ontrol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bject. Conclusion: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ldiers in the military, the importance of the spiritual well-being should be recognized as a health problem.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achieving spiritual well-being, self-control on soldiers. This should make a healthier life for soldiers and contribute to society. Key Words : spiritual well-being, self-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soldiers.
오청욱 1* 1 충청대학교 간호학과 The Correlation Study of Spiritual Well-Being, Self-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Prevention of Suicidal Attempt on Korean Soldiers Chung-uk Oh 1* 1 Division of Nursing, Chung-cheong University 요 약 목적 이 연구는 한국군 병사의 자살사고 예방을 위해 영적안녕, 자기통제,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방법 599여명의 한국군 병사를 대상으로 2013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 조사한 설문지를 통해 영적안녕, 자기통제, 조직몰입 의 상관성을 조사한 양적인 설문조사연구이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한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처리하였다. 결과 영적안녕, 자기통제, 조직몰입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결론 영적안녕과 자기통제는 대 상자들의 조직몰입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문제로서 영적안녕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함 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적안녕, 자기통제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 및 자체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이는 병사 의 삶을 더욱 건강히 하고, 사회적으로 큰 이득이 될 것이다.
1. 서론
군대의 최고 목표는 전투력 배양이지만, 그 기본은 병 사 개인의 건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군대에서의 사 고 중 자살사고가 65%에 이르고, 최근 5년간 3일마다 1 명의 군인이 자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1]. 21세기 에 전인주의(Holism)가 출현하면서 마음, 신체, 정신이 * Corresponding Author : Chung-Uk Oh(Chung-cheong Univ.) Tel: +82-43-230-2778 email: Received March 25, 2014 Revised (1st June 12, 2014, 2nd July 9, 2014)
연결되어 그 각각은 통합되고 분리할 수 없는 역동적인 관계로 인식하게 되었다. 건강은 대상자 스스로 건강함 을 지각해야 하고, 안녕은 완전히 주관적인 것으로 대상 자 스스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2]. 이러한 맥락에 서 일탈 및 자살 등의 사고를 예방하고 병사들의 건강과 안녕을 추구하여 전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군의 외 부요인이외에도 병사들의 정신 심리적 내부요인들을 밝 Accepted July 10, 2014
히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영성은 다방면으로 종교와 분명히 구별되며, 종교보다 더 넓은 광의의 개념이지만, 종종 종교와 동의어로 부적 절하게 사용되어 왔다[3]. 종교의 정의는 “영적 지도자를 바탕으로 하는 믿음, 가치관, 실천의 집합”, 혹은 “감성적 인 학습 행위와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사회적 표현” 등 이다. 종교에서 행위와 표현은 종교적 활동을 통해 명백 해진다[3]. 반면, 영성은 삶의 의미와 목적, 조화, 평화, 초 월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묘사된다[3]. 종교적인 사람들이 스스로를 영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영적인 사람들은 정식 종교 의식에 참여할 수도 있고,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3]. 그러므로 종교적인 믿음에서 발생하는 종교적 실천과 영적 신념을 분명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3]. 과거 20년 동안 선행 연구들은 영성이 삶의 질과 긍정적 인 관계에 있음을 시사하는데, 신체건강[4], 정신사회적 안정[5], 영적 안녕[6]의 향상과 관련이 있다. 영성은 만 성질환 뿐 아니라, 건강한 사람들의 삶에도 의미를 부여 해 안락한 순간을 제공하고[7], 평화로움, 삶의 의미와 목 적, 건강의 위기를 경험하는 개인에게 조화를 제공한다[8]. 자기통제에 관해서는 충동 조절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목표달성을 위한 중요변수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 다. 군에서의 사고에 대하여 여러 원인에 대한 숙고가 진 행되고 있으나, 내재적 원인 중 자기통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군이 외부 상황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고 목표 달성을 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일탈 상황에 대한 대처방안 모색과 예방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자기 통제는 자기성찰, 자아방어 기제 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9],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 관이 유의하였고, 지연행동, 지각된 스트레스와 각각 부 적 상관이 유의했다[10]. 자기통제, 상황적 요인을 통해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고[11], 자기통제 훈련은 자기 통제 력, 사려숙고성, 과제인내, 유혹저항, 정서통제, 사회적 기 술, 문제해결 능력 등을 향상시킨다[12, 13].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조직몰입 에는 조직 구성원의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능력, 자율 성, 책임성이 요구되며,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에 성장배경, 직무경험, 책임성, 자율성, 권한위임, 공식 성, 역할갈등, 보상과 균형, 사기, 리더쉽, 공정성, 직무특 성 등이 있다[14, 15].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조직몰입 의 결정요인이나 결과요인에 대한 견해는 아직 일치된 바가 없다[15]. 특히 군에서는 조직 몰입과 관련하여 리
더쉽, 사기, 자살, 스트레스, 의사소통, 자발적 동기부여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병사들의 내재적 동기부 여 요소 중 흥미와 보람, 환경적 요소와 보상, 병사들의 적성이나 성격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가 있다[16]. 피드 백, 계급, 학력을 제외하고 조직신뢰, 과업중요성, 동료신 뢰, 피드백 순으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크 고, 구성원의 신뢰와 직무특성이 조직 운영의 효율성 증 대에 큰 역할을 한다[17]. 군에서 개인의 안녕과 조직의 목표달성을 성취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연구가 있었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내 부적인 요인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리라 생각하여 한국 군 병사의 영적안녕, 자기통제,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밝 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병사들의 안녕을 도모하고, 국가존립의 근간이 되는 국방의 발전에 도움 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2. 본론
2.1 용어의 정의 2.1.1 영성 영성의 의미는 건강 돌봄 전문가들 사이에서 발전하 고 있으며, 종교성과 문화적 경계를 초월한다. 영성은 종 교보다는 좀 더 광의의 개념이다. 종교는 초인적인 대상 과 관련된 경험이나 종교의 신념 체계, 종교적인 의식을 통해 나타나는 데 비해서, 영성은 종교적인 경험에 제한 을 받지 않는다. 인간은 영적인 존재이며 비록 영적인 의 지가 없다고 할지라도 의미 있는 것을 추구한다. 그러므 로 인간의 구성요소인 영성은 모든 사람이 경험하지 않 더라도 많은 사람이 경험하는 것이다[18]. 영성의 다양한 정의 중 Consensus Conference에서 합의된 정의에 따르 면 영성은 자아성찰과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는 방 법이며, 현재 자기 자신과 타인, 자연 그리고 성스러운 실 체와의 한 순간의 연결을 경험하는 방법으로 인간의 속 성으로 정의되고 있다[19]. 영적 돌봄의 필수 요소는 영 적 중재에 대한 신념이다. 그 예로, 안녕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치료활동의 방법에서 실행과 접근은 영성에 따르게 된다. 몇몇 연구들은 영적 중재가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 화할 수 있고, 생리적, 정신적, 영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보여주었다[4, 5, 6, 7]. 영성과 직업만족도 와의 관계에서 영성의 이타주의와 이상주의가 직업 만족
도에 강하게 도움을 주었다[20]. 또한, 다학제 간의 영성 연구에서 이들은 자신의 영성을 일과 통합하여 직업 만 족도를 향상 시킨다고 하였다[21]. 2.1.2 자기통제 자기 통제력이란 인지나 정서, 행동조절을 자신의 의 지대로 조절 가능함을 일컫는다. 자기통제란 즉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은 선택과 만족 은 지연되지만 향후 더 큰 가치를 획득할 수 있는 선택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지연되지만 더 큰 강화물을 선택하 는 것이다. 반대로 지연되지 않은 작은 강화물을 선택하 는 것은 충동성을 의미한다[22]. 자기통제는 신체의 본능적인 반응과 이성적 선호간의 갈등으로 설명된다. 이성을 통한 합리적인 선호와 비본 능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의사결정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23]. 자기통제는 자기 자신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24], 바람직하지 못한 자동적이고 일상적인 반응들을 의식적 으로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25], 이러한 자기통제의 성 공여부는 개인의 수행능력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한다. 이들이 제안한 자기조절력 모델(self-regulatory strength model)에 의하면 자기조절력은 근육과 유사한 특성이 있어서 많이 사용하면 에너지가 고갈되고 휴식을 취하면 회복된다고 하였다[24]. 여기서의 자기조절력이 란 반응, 습관 등의 결과로 나타나는 반응들을 억제하고 극복하기 위해 활용되는 모든 내적 자원을 의미한다. 이 러한 자기조절자원이 고갈이 되면 사람들은 자기통제에 실패한다고 한다[26]. 자기조절자원 고갈에 의하여 통제력이 약해지면 수용 자들은 직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며 노력을 별로 기울이지 않는 정보처리과정에 의존하게 된다[27]. 이에 따라 대상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파악 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충동조절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단순처리과정과 통제과정의 약화 는 상황에 부합하는 목표달성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목표성취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기 통제력을 강화 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2.1.3 조직몰입 조직몰입은 직무만족과 함께 조직유효성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즉 조직의 목표달성 정도 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조직몰입이 조직구성원
의 태도와 행동 사이의 관계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는 점 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인정받고 있다[28, 29]. 조직몰입은 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동일시, 몰입, 일체 감, 애착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직몰입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14]. 조직몰입을 하나의 태 도 혹은 행동의사(behavioral intention)으로 파악하려는 견해가 있는데, 대표적 학자로는 Kanter, Sheldon, Buchanan 등이 있다. 이러한 입장과 달리 조직몰입을 하 나의 힘(force)으로 파악하려는 견해도 있는데, Salanick, Mowday, Porter, Steers, Wiener 등이 대표적인 학자이 다. 최근에는 Meyer와 Allen등에 의해 다중형태의 조직 몰입에 관한 연구들도 나오고 있다[14]. Meyer와 Allen 은 조직몰입을 애정적 몰입(affective commitment), 계속 적 몰입(continuance commitment), 규범적 몰입 (normative commitment)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애정 적 몰입은 직원들이 조직에 대하여 감정적으로 동일시하 고 관련시키고자 하는 몰입으로 개인이 조직에 계속 남 아 있으려는 것이다. 계속적 몰입은 조직에 남아있음으 로써 얻는 이득이 조직을 벗어남으로써 얻는 이득보다 크기 때문에 조직구성원으로서 신분을 유지하고자 하는 심리이다. 규범적 몰입은 조직에 남아서 충실히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도덕적 의무감에서 비롯되는 몰입을 뜻 한다[30].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하면, 조직몰입이란 구성원 이 조직에 대해 가지는 일체감과 몰두의 정도, 조직구성 원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긍정적 유대감과 개인의 심리상태를 반영하는 포괄적 개념이라 하겠다[14, 30]. 본 연구에서 Meyer와 Allen가 제안한 조직몰입의 요 소 중 규범적 몰입을 조직몰입에 포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의무 복무자인 병사는 자발적으로 군을 선 택한 것이 아니고, 의무복무 기간 동안의 복무가 국가에 대한 최소한의 도덕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eyer와 Allen의 조직몰입 요소 중에 ‘조직의 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애착 과 조직과의 일체감 정도를 의미’하는 애정적 몰입과 계 속적 몰입을 사용하고자 한다. 2.2 연구방법 2.2.1 연구설계 이 연구는 설문을 통하여 관계를 연구하는 양적설문 조사연구이다.
2.2.2 연구가설
1) 영적 안녕은 자기통제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2) 자기통제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Self-Control Spiritual Well-Be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ig. 1] Model for the Correlation of Spiritual Well-Being, Self-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2.2.3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소재 사단내에서 근무하는 병 사(n=599)로 구성되었다. 실험군은 우리나라 군대의 특 성상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건강상태등이 유사한 20대 초반 남성으로 구성되어 편의표본 표출 방법으로 결정하 였다. 실험군은 처음에 640명이 참여하였으나 온전히 참 여하지 못한 41명이 탈락되어 최종 총 599명으로 구성되 었다. 2.2.4 측정도구 1) 영적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 영적 안녕을 측정하기 위해서 Paloutizian & Ellison이 개발한 도구를 최상순이 번안하고 강정호(1996)가 수정 해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긍정문 12문항, 부정문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훌수 번은 종교와 무관 하게 삶의 의미와 목적에 초점을 둔 실존적 안녕을, 짝수 번의 문항들은 절대자(신)과의 관계에서 안녕감을 갖는 종교적 안녕 상태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척도의 하 위 척도는 수직적 영역인 종교적 안녕 척도 10문항과 수 평적 영역인 실존적 안녕에 관한 내용 10문항중 수평적 영역인 훌수 번 10문항만을 발췌하여 사용한다. 각 문항 에 대한 측정은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6점 까지 Likert 6점 척도로 구성되며, 부정문항은 역으로 환 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영적으로 안녕한 것을 의미한다. 강정호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는 .94였다. 본 연 구에서는 Cronbach's alpha는 .86 이었다.
2) 자기통제력 척도(Self-Control Rating Scale, SCRS) 자기통제력 척도는 Kendall과 Wilcox 의 Self-control Rating Scale (SCRS)을 번안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수정 한 송원영(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로 인지적 자기 통제와 행동적 자기통제의 두 가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 한 목적으로 제작된 이 척도는 21개 문항을 5점 Likert식 척도로 측정한 것으로, 부정문항 9문항은 역환산하였고, 총점의 범위는 21점에서 최고 105점이다. 점수가 높을수 록 자기통제를 잘 하는 것을 의미한다. Song (1998)의 연 구에서 Cronbach's alpha는 .82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alpha는 .87 이었다. 3) 조직몰입 척도(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조직몰입은 Meyer, Allen 및 Smith 가 사용한 조직몰 입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한 박광선(2012)의 척도를 사용 하였다. Meyer, Allen 및 Smith 의 원 척도에서는 규범 적, 애정적, 계속적 몰입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박 광선(2012)의 척도에서는 선행연구 조사결과 규범적 몰 입이 덜 타당하다고 여겨 각각의 하위 요인에서 규범적 조직몰입을 제외한 애정적 조직몰입, 계속적 조직몰입만 을 측정하였다. 각 문항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를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를 1점으로, “매우 일치한 다”를 7점으로 하는 Likert 7점 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 다. 박광선(2012)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는 애정적 조직몰입 .86, 계속적 조직몰입 .7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alpha는 애정적 조직몰입이 .84, 계속적 조직 몰입 .73이었다. 2.2.5 자료수집 해당 기관 승인을 받고 연구를 하였다. 대상자에게서 설문을 거부할 수 있음과 설문의 내용은 절대 비밀에 붙 일 것등 윤리적 고려에 의해 고지된 동의를 받았다. 대상 자들은 동의서에 서명을 하였고 무기명으로 일반적 특성 과 3개의 측정도구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2013년 12월 1 일부터 31일 사이에 수행되었다. 2.2.6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전산입력 후 SPSS WIN(ver 18.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 정도 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
른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 정도는 t-test와 ANOVA로 검정하였다. 또한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 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량의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3. 결과
3.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계급, 종교, 최종학력, 경제상 태, 결혼상태, 친구관계, 자살시도, 음주 및 흡연을 조사 하였다. 연령은 20-21세가 445명(74.3%)으로 가장 많았 고, 계급은 상병이 251명(41.9%), 종교를 가진 사람이 300 명(50.1%),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자가 508명(84.8%), 미혼이 595명(99.3%), 친구관계는 많은 경우가 350명 (58.4%), 자살시도가 없는 경우가 577명(96.3%), 음주를 하는 경우가 396명(66.1%),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가 303 명(50.6%)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599)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18-19 50(8.3) Age 20-21 445(74.3) ≥22 104(17.4) Private 129(21.5) Private First Class 166(27.7) Rank Corporal 251(41.9) Sergeant 50(8.3) Staff Sergeant 3(5) Religion Yes 300(50.1) No 299(49.9) Education High school 82(13.7) level University 508(84.8) ≥Graduated school 3(0.5) Others 6(1.0) Economic High 46(7.7) Level Moderate 481(80.3) Low 72(12.0) Marrital Single 595(99.3) status Married 2(0.3) Divorce 2(0.3) Relationship Good 350(58.4) with Friends So So 237(39.6) Bad 12(2.0) Suicidal Yes 22(3.7) Attempt No 577(96.3) Drinking Yes 396(66.1) No 177(29.5) Stop Drinking 26(4.3) Yes 296(49.4) Smoking No 290(48.4) Stop 13(2.2)
3.2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 정도 대상자의 영적안녕 평균은 46.0±6.66이었으며, 자기통 제 평균은 71.7±10.55이었고, 조직몰입 평균은 39.0±9.11 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Degree of the Variables (N=599) Variables Min Max M±SD Spritual Well-Being 17 60 46.0±6.66 Self-Control 44 100 71.7±10.55 Organizational 10 68 39.0±9.11 Commitment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 정도 영적안녕은 대학원졸업 이상인 군에서(p=.039), 친구 관계가 많은 군에서(p=.000), 자살시도가 없는 군에서 (p=.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able 3]. 자기통제는 나이가 22세 이상인 군에서(p=.002), 계급 이 상병과 병장인 군에서(p=.006), 친구가 많은 군에서 (p=.000), 자살시도가 없는 군에서(p=.007) 유의하게 높았 다[Table 3]. 조직몰입은 계급이 이병과 일병인 군에서(p=.039), 친 구관계가 많은 군에서(p=.019) 유의하게 높았다[Table 3]. [Table 3] Degree Of Spritual Well-Being, Self-Control &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General Ch aracteristics (N=599) Spritual Organizational- Self-Control Variables Well-Being Commitment Mean±SD Mean±SD Mean±SD Age 18-19 45.3±5.79 68.9±8.27 39.9±8.33 20-21 46.0±6.64 71.4±10.66 39.1±9.02 ≥22 46.2±7.13 74.6±10.54 37.9±9.84 t or F(p) 0.34(.708) 6.13(.002) 1.08(.338) Rank Private 45.9±6.13 70.6±10.08 40.2±8.81 Private Fi 45.4±7.02 70.0±10.22 39.5±9.25 rst Class Corporal 46.4±6.62 73.3±10.30 38.7±9.05 Sergeant 46.4±7.04 73.1±12.80 35.6±9.27 Staff Ser 44.3±4.61 64.3±10.26 36.6±6.65 geant t or F(p) 0.63(.640) 3.60(.006) 2.53(.039) Religion Yes 46.5±6.76 71.9±10.55 39.1±9.15 No 45.5±6.53 71.5±10.57 38.8±9.08 t or F(p) 1.71(.087) 0.46(.645) 0.47(.635) Education level High school 44.2±7.15 70.9±12.34 39.8±9.00
University 46.3±6.48 71.8±10.17 38.8±9.07 ≥Graduat ed school 49.6±4.72 73.3±12.74 30.3±18.44 Others 44.3±11.23 73.8±16.72 43.5±7.17 t or F(p) 2.79(.039) 0.31(.817) 1.64(.179) Economic Level High 46.7±7.35 74.2±13.60 37.0±8.74 Moderate 46.2±6.56 71.8±10.22 39.3±8.79 Low 44.5±6.73 69.9±10.32 38.1±11.16 t or F(p) 2.09(.125) 2.38(.093) 1.63(.195) Marrital status Single 46.0±6.60 71.8±10.49 39.0±9.11 Married 42.0±7.07 62.5±13.43 44.0±0.02 Divorce 40.5±21.92 61.0±24.04 30.0±9.89 t or F(p) 1.07(.342) 1.83(.160) 1.27(.279) Relationship with Friends Good 47.7±5.97 73.9±10.74 39.8±9.18 So So 44.0±6.56 69.1±9.42 37.7±8.78 Bad 37.5±10.21 61.9±9.35 38.5±11.18 t or F(p) 34.73(.000) 21.23(.000) 3.94(.019) Suicidal Attempt Yes 42.0±7.74 65.8±9.61 39.2±7.29 No 46.2±6.57 72.0±10.53 39.0±9.18 t or F(p) -2.92(.004) -2.71(.007) 0.13(.895) Drinking Yes 46.3±6.42 71.8±10.63 38.9±8.89 No 45.4±7.09 71.3±9.84 38.6±9.68 Stop Drinking 46.1±7.08 74.6±13.63 42.0±8.17 t or F(p) 1.22(.296) 1.11(.330) 1.63(.197) Smoking Yes 45.8±6.79 71.6±11.16 38.9±9.57 No 46.3±6.48 71.9±9.72 39.0±8.60 Stop Smoking 43.6±7.38 72.6±14.42 39.3±9.98 t or F(p) 1.32(.266) 0.11(.895) 0.03(.969) 3.4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 간의 상 관관계 일반적 특성 중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인 학력, 친구, 자살시도 경험, 나이, 계 급을 통제한 상태에서 영적안녕, 자기통제 및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영적안녕은 자기통제(r=.462, p=.000) 및 조직몰입(r=.203, p=.000)과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자기통제는 조직몰입(r=.178, p=.000)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4]. [Table 4]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N=599) Spritual Organizational Self-Control Variables Well-Being Commitment r(p) r(p) r(p) Spritual 1 .462(.000) .203(.000) Well-Being Self-Control 1 .178(.000) Organizational 1 Commitment
4. 논의
현재 국방부의 자살예방 시스템 구축등의 자살사고 예방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는 군인들의 사기저하 및 군대에 대 한 불신을 키우는 등 수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이 지 적되고 있다[1]. 이를 통해 군인의 경우 전투력뿐만 아니 라 개인적인 삶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정신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중재연구가 필요함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선행 연구를 보면, 군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훈 련, 멘토링, 코칭 등의 인재육성행동이 부하의 조직몰입 에 유의미한 정적인 직접효과를 가져온 연구[30] 등에 비 추어 볼 때, 조직 몰입을 유도하기 위한 외재적 동기부여 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내재적 동기부여의 수단 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탐구할 필요가 있다. 조직 몰입 과 관련이 있는 직무만족과 영성의 관련을 본 연구에서 는 직장에서 영성 프로그램이 즐거움, 평온함 직무 만족, 헌신 등의 증가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과 이직감소 등과 같은 이로운 결과를 이끌었으며[19], 같은 의미로 이런 이로운 관계는 의미를 만들고 목적의식을 느끼고 직무를 만족하게 하는 기본이 되고 있다[20]. 자기 통제와 연관되어 비행이나 우울 등이 설명되고 [11], 자기통제가 증가 할수록 지연행동,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가 감소하며[9, 10],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사회적 기술이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가 있다[12, 13]. 영성과 자기 통제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 므로 영성과 자기 통제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을 더욱 다양하게 개발하여 군에 적용한다면, 정서상의 우울이나 스트레스, 지연행동 등이 감소되고, 자기 효능 감이나 유혹에 대한 저항, 인내심이 증가하여 문제해결 력이 높아지고, 직무 몰입과 만족도를 향상시켜 사고예 방 효과와 나아가 전투력 증강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중요한 점 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영성과 관련하여 자기통제, 조 직몰입의 관계를 군인에게 처음으로 평가한 것으로 영성 은 자기통제,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다. 둘째, 영성, 자기통제, 조직몰입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공통적인 일반특성이 교우관계였다. 군대라는 폐쇄 되고 통제된 환경 안에서 내면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에 는 동료들과의 지지관계가 중요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하 고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서양과 동양의 융합되어 상호
관련성이 깊어진 이 때, 서양에서도 효과가 입증된 영성 강화프로그램을 이해하여 받아들일 필요가 있으며, 자기 통제력 강화프로그램 또한 발전시킬 필요가 있겠다. 넷 째, 군인이라는 특수한 신분으로 발생하는 내재적 갈등 이나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 혹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의미가 있다.
5. 결론 및 제언
이 상관성 연구 결과는 병사들의 영적 안녕과 자기통 제가 조직몰입과 정적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심리적 요인 중 영적인 측면과 자기통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중재하고 배양하는 것은 병사들을 건강하게 할 것 이다. 그러므로, 영성 훈련이나 자기통제를 강화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을 군대에서 도입하고, 심리적으로 병사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한다면 사회적, 국가적 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참여자 전원이 군에서 현재 복무 중인 병사들이므로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 제한을 받는 다. 하지만 본 연구는 20대 초반의 남성만을 조사한 경우 로 군을 포함한 여러 기관에서 20대 초반 남성의 자살사 고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병사들의 삶을 건강히 하고 군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 기 위해서 정신적으로, 영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하 부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영 성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적용해 영성적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정신 심리적 건강강화에 기여하는 프로그램들 을 발전시켜야 한다. 각 변인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 을 미친 교우관계를 병영 내에서 어떻게 돈독히 구축하 도록 촉진할 것인가에 대한 세부적 방법모색도 병사들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연구는 더 폭넓은 무작위 표본을 통해서 더 다양한 그룹 (예로, 성별에 따른 차이, 계급에 따른 차이, 질병 유무에 따른 차이)들에게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평가해야 한다. 앞으로 추후 연구는 더 폭넓은 표본 크기로 다층성(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하위요인들의 평가를 포함하여 어떤 유형의 정신 심리적 요인이 병사들에게 삶의 의미를 강 화시키고, 직무 만족을 발전시키는지 발견해야 할 필요 가 있다.
References
- [1] Medical Today, [cited 2013 October 1], Available Form: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30317
- [2] Helen L. Erickson., "Philosophy and theory of holism",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42 (2), pp. 139– 163, 2007. DOI: http://dx.doi.org/10.1016/j.cnur.2007.03.001
- [3] P. C. Hill, K. I. Pargament, “Adva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mplication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vol 58, pp. 64-74,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8.1.64
- [4] Leserman, J.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coping, and cortisol on HIV infection", CNS Spectrums, vol 8, pp. 25-30, 2003.
- [5] Smith, T. B., McCullough, M. E., Poll, J., "Religiousness and depression: Evidence for a main effect 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tressful life events",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9, pp. 614–636, 2003.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29.4.614
- [6] Bormann, J. E., Becker, S., Gershwin, M., Kelly, A., Pada, L., Smith, T. L., et al. "Relationship of frequent mantram repetition to emotional and spiritual well-being in healthcare worker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vol 37(5), pp. 218-224, 2006.
- [7] Forsarelli P., "Medicine, spirituality and patient car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p. 836-838, 2008. DOI: http://dx.doi.org/10.1001/jama.300.7.836
- [8] Katerndahl D A, "Impact of spiritual symptoms and their interactions on health services and life satisfaction" Annals of Family Medicine, vol 6, pp. 412-420, 2008. DOI: http://dx.doi.org/10.1370/afm.886
- [9] Eun Mi Kim, Jong Yeun Lee ,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Defense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Reflection and Self-Control", Korean Counceling Association, Vol 14(3), pp. 1939-1959, 2013.
- [10] Hye Ja Kang, "The Relationships among Procrastination,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Perceived Stress", Social Science Research(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gbuk National University), vol 35(2), pp. 233-251, 2011.
- [11] Hyun Soo Park, "Stability of Self-Control and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 on the Juvenile Delinquency at the Level of Low Self-Control",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vol 23(1), pp. 385-418, spring, 2012.
- [12] Hwang Jeong Eun, "The Effect of Self Control Training Program on the Self-contro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 buk Univ, Dae-Gu, 2010.
- [13] Lee Sun-Kyung,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on Social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 Seoul, 2008.
- [14] Yong Kwan Kang, "Research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ofessional officers of the ROK Arm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Univ, Seoul, 2013.
- [15] Kim Heung-Soo,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docto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2008
- [16] Hyun- wook Shin, "The Effect of millitary organization motiv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 Focusing on Army soldier-", Korea univ.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2012.
- [17] Sang-Hun Son, "Impact of Troops' Trust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y, Chon Ju, 2013.
- [18] Swinton, J., Pattison, S., "Moving beyond clarity: Towards a thin, vague, and useful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in nursing care", Journal of Nursing Philosophy, vol 11(4), pp. 226-237.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466-769X.2010.00450.x
- [19] Puchalski, C., Ferrell, B., Virani, R., Otis-Green, S., Baird, P., Bull, J.,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spiritual care as a dimension of palliative care: The report of the consensus conference",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 12(10), pp. 885-904, 2009. DOI: http://dx.doi.org/10.1089/jpm.2009.0142
- [20] R. A. Giacalone & C. L. Jurkiewicz, Handbook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p. 3-28, New York, NY: M. E. Sharp, 2003.
- [21] Millman, J., Czaplewski, A. J., Ferguson, J., "Workplace spirituality and employee work attitudes: An exploratory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vol 16, pp. 426-447, 2003. DOI: http://dx.doi.org/10.1108/09534810310484172
- [22] Kirk, J.M.., Logue, A. W., "Self-control in adult humanic: Effects of counting an timimg", Learning and Motivation, Vol 27, pp. 1-20, 1996. DOI: http://dx.doi.org/10.1006/lmot.1996.0001
- [23] Loewenstein, G. F., "Out of control: Visceral influences on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 65, pp. 272-292, 1996. DOI: http://dx.doi.org/10.1006/obhd.1996.0028
- [24] Muraven, M., Tice, D. M., Baumeister, R. F., "Self-control as a limited resource: Regulatory depletion patter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ology, Vol 74, pp.774-789, 1998.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74.3.774
- [25] Muraven, M., Baumeister, R. F.,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Psycological Bulletin, Vol 126, pp. 247-259, 2000.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26.2.247
- [26] Baumeister, R. F., Vohs, K. D., "Self-Regulation, Ego Depletion, and Motivat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ology Compass, Vol 1, pp. 1-14,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751-9004.2007.00001.x
- [27] Pocheptsova, Anastasiya, Amir, On, Dhar, Ravi & Baumeister, R. F., "Deciding without Resorces: Psycological Depletion and Choice in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6, No 3, pp. 344-355, 2009. DOI: http://dx.doi.org/10.1509/jmkr.46.3.344
- [28] Campbell, J. P.,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 S. Goodman & J. M. Pennings.(Ed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1977.
- [29] Steers, R. M.,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pp. 46-56, 1977. DOI: http://dx.doi.org/10.2307/2391745
- [30] Kuk Kun Kim, "The effect of Naval ship stem-staff’s transformational behavior and talent development behavior on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of subordinate’s empowerment and burnout", Unpublished doctor's thesis, Seoul Univ, Seoul, 2012. 오 청 욱 (Chung-uk Oh) [정회원] •2002년 2월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원 스포츠의학과 (체육학석사) •2014년 2월 : 가톨릭대학교 간호대 학원 간호학과 (간호학박사) •2014년 3월 ∼ 현재 : 충청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관심분야> 대체의학, 군진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