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601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601-4610, 2014
김혁기 1* 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요 약 동일한 기록을 이용한 를 19세기 한
Abstract birth in its provide images with been and a
Key

사진 속에 나타난 건축이미지 고찰 -19세기 여명기 사진을 중심으로-

Hyeok-Ki Kim1*

Abstract

Photography has been a way of recording a range of images throughout the previous 160 years since its 1839. It has also included the observations and records on the subjects, which is almost same as reality in outward appearance, various looks of a city and architecture in the daily lives at these places. These pictures archaeologic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beyond time and space as well as expressing cultural and artistic using the creative senses. This thesis analyzes the images of a city and architecture as various angles along development process of the photograph. The purpose is to examine what viewpoints, methods and concepts have used to observe the city and architecture. The study will show that photography is a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means of indirect understanding of a city and its architecture by early modern photography of the 19th Century
A Study on the Architecture Image in Photography -Focused on Modern early Photography of 19th Century-
1 Division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 Education
사진은 1839년에 탄생한 이후 160년 동안 다양한 이미지들을 기록하는 방법이었다. 그것은 외부 현상 자체와 거의 실체에 대한 관찰과 기록, 그리고 동일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삶 가운데 다양한 시각으로 도시와 건축에 대한 관찰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사진들은 고고학적, 지리학적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시간과 공간을 넘어 창조적인 감각을 문화적 예술적 이미지를 함께 표현한다. 본 논문은 사진의 발달 과정과 함께 다양한 시각으로 도시와 건축의 이미지 분석하고, 아울러 도시와 건축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해 왔던 관점, 방법, 개념들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기도 한다. 특히 여명기의 사진을 통해 사진이 예술적인 표현 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당시의 도시와 건축을 간접적으로 이해하는 중요 수단이 될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Words : Architecture Image, Photography, 19th Century

1. 서론

연구의 목적 및 의의 눈앞에서 덧없이 사라져버리는 사물의 상을 고정시키 인간의 욕망은 인간의 역사만큼이나 오래 되 사진이 발명되기 이전부터 사람들은 빛이 작은 구 암실에 도달하면 반대편 벽에 축소된 실제의 거꾸로 뒤집어진 채 맺히는 카메라 옵스큐라Corresponding Author : Hyeok-Ki Kim(Korea Univ. of Technology & Education) +82-10-8747-8805 email: (Camera Obscura)라는 바늘구멍 사진기 원리를 알고 있 었다. 이것은 원래 ‘어두운 방’이라는 뜻으로 이미 아리스 토텔레스 시대로부터 알려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처음 으로 이 마술적인 도구를 실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지오반니 바티스타 델라 포르타(Giovanni Battista della Porta)는 카메라 옵스큐라에 최초로 렌즈를 장착하여 선 명한 영상을 얻었다. 이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 사람들 은 빛이 만들어내는 자연의 이미지를 알게 되었고 이 장똑같은 대상에 대한 관찰과 기록 그리고 표현이라 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상적인 도시계획들이 수립되 측면에서 도시와 건축의 다양한 모습들과 그곳에서의 고 일부 실현되었다. 건축에 있어서도 철과 유리 등과 같 생활을 담아내었다. 이 사진들은 시간과 공간 은 새로운 건축 재료의 도입으로 고전 건축의 공간 한계 초월하여 고고학적·지형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을 를 뛰어넘는 기술공학적인 대 공간을 실현하였으며 마천 독창적인 시각으로 인문·사회학적 관점을 표 루의 탄생으로 도시의 고전적인 스카이라인을 변화시켰다. 창조적 감각으로 문화·예술적 이미지들을 표현 이와 같이 격변하는 시기에 사진가들은 거의 모든 현 장에서 그와 같은 대상과 사건들을 관찰하고 기록하였으 논문은 이와 같은 사진의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본 며 자신의 시각과 관점으로 그것을 표현해 내게 되었다. 도시·건축의 이미지를 사진의 발달과정과 함께 분석하여 거기에는 도시와 건축에 대한 탁월한 고고학적 기록과 관점과 방식, 그리고 개념으로 도시·건축이 관찰되 사회학적 관찰과 예술적 표현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왔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시기 사진의 러한 건축이미지들을 시대적으로 아이템별로 분류하여 개념과 예술적인 개념의 형성과정을 명확히 파 그 사진의 내용과 특성을 밝히고 그 과정을 통해 건축이 틀 안에서 도시·건축 사진을 살펴봄으로써 그 미지들이 어떻게 세상과 소통하였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시대 속에 위치하는 도시와 건축을 간접적으로 있도록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연구의 범위 및 방법 역사를 시대별로 크게 구분해 보면 19세기는 2.1 사진의 탄생 탄생으로 시작 다양한 기술적 발달과 실험을 한 사진은 빛에 반응한 화학성분 혹은 상을 고정시킨 화 ‘여명기사진’으로 볼 수 있고, 20세기 초반부터 중반은 위 학적 원리에 의해 최초로 탄생하였다. 즉 빛이 화학적 감 거장들이 예술혼을 불사른 ‘근대사진’, 제 2차 세계 광 물질 위에 자연적으로 그린 그림이며, 그것을 가능케 19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 직전까지는 한 것은 카메라보다 화학적인 원리가 더 크게 작용했다 격동의 시대를 다룬 ‘현대사진’, 80년 [2]. 또한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3]를 통해 뉴 웨이브 사진가들이 사진을 가장 강 영상에 대한 원리를 발견하고, 카메라가 발명되어 사진 시대의 표현 매체로 다룬 ‘후기 현대사진’ 등으 의 발견이 있었고, 사진의 발견 이후 다양한 사진술이 뒤 볼 수 있다[1]. 따랐다. 최초 사진의 발명가로 알려진 조셉 니엡스 논문은 19세기 사진의 탄생과정부터 시작하여 여 (Joseph Niepce)나 공식적인 사진 발명가로 알려진 다게 사진을 다루고자 한다. 이 시기는 최초로 사진이 발 르(Daguerre)등은 처음에 ‘사진(빛그림)을 발견했다’고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며 발달하여 고정된 정 말하였으나 곧 자신의 발견을 발명으로 고쳐 부르게 된 뿐 아니라 동적인 대상까지도 이미지로 고정 다. 이는 사진을 발명품으로 돌려야 시대 정황에 따라 경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회화와 분리되어 예술의 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영역으로서 자리매김을 하였던 시기였다. 또한 서양 사진의 발명가 니엡스를 거쳐 사업가 다게르에 의해 미지세계에 대한 고고학적 탐사와 자국의 영토 완성한 사진은 마침내 장 프랑수아 아라고(J.F.Arago)에 확장하기 위한 식민지 개척을 통해 새로운 문화에 대 의해 빛을 보았다. 그는 국가가 다게르의 사진 특허권을 정보를 기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매입하여 얻을 경제적 실익을 설명하는 보고서를 1839년

2. 건축사진의 특성

(Kircher,1646) Obscura 며 현존하는 최초의 사진으로 간주되고 있다. 동시에 이 사진은 건축물의 경사지붕과 벽체 윤곽이 거칠게 표현된 최초의 건축사진이라 할 수 있다. 이후 다게르(Daguerre) 는 1838년 니엡스의 방법을 개량하여 완전한 형태의 이 landscape Drawing lighting Invention of Niepce the image that make by that make first 미지를 얻게 되며 이 발명품에 자신의 이름을 따서 ‘다게 in dark principle of opaque picture(Photography) 레오타입 (Daguerreotype)’[6]이라는 이름을 붙여 공개했 camera at 1826 of Camera Potable - Camera Daguerreotype 고 1839년 발명을 공식으로 공표했다. 그는 다게레오타 Obscura Obscura Camera 입의 시연을 위해 파리 시가를 촬영했는데 노출이 오래 걸렸던 까닭에 사진에는 사람들의 이미지는 거의 나타나 지 않았고 건축물들만이 정지된 이미지로 촬영되었다. 다게레오 타입은 매우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으 illustrated This is first camera 나 노출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서 초기 다게레오 타 William Cheslden observe a used potable camera that Alphonce(broter 입의 사진들은 주로 건축물에 관한 것이었다. eclipse by in law of Dagure) in outdoor at 1733 Arabia make as series 프랑스에서 니엡스와 다게르가 이미지를 고정하는데 Birth of Camera 성공한 것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영국의 탈보트는 유사 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이미 1820년대 초부터 카메라 사진의 개념 옵스큐라를 가지고 광학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833년 가장 중요한 본질적인 개념 중의 하나는 사진 종이 위에 유제를 발라 나뭇잎의 윤곽을 복제해내는데 아닌 눈을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것 성공했고 1835년 같은 방법으로 여러 장의 음화를 만들 다른 하나는 기계복제를 통한 세계의 복제를 가능 어 내는데 성공하여 이에 ‘포토제닉 드로잉(Photogenic 했다는 것이다. 전자는 대상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Drawing)’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841년에는 영국정부로 기록뿐이 아니라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각도를 부터 ‘칼로타입(Calotype)’ [7]이라는 공식명칭으로 특허 특정한 각도를 마음대로 선택하여 맨눈에는 잘 권을 얻었다. 그는 자신의 사진술로 건축물이나 정물, 예 않는 원작의 잠재된 측면들을 끄집어낼 수 있 술작품 등을 촬영하여 전집으로 발간하기도 했다. 후자는 광범위한 세계의 복제 과정을 통해 시공간 초월하여 원작이 사진의 형태로 원래 있던 자리를 떠 사람들과 쉽게 만날 수 있게 하였다. 즉 시각적 이미 세계를 기록하는 것으로 이러한 두 개념은 객 기록과 주관적 시각의 표현이라는 사진의 가지의 활동영역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개념은 지속적으로 존재해 왔다.건축사진의 형성과정 니세포르 니엡스(Nicephore Niepce)는 돌에 그림을 아들을 보면서 석판화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되고
   Title
Overlooking Picture from Le Nottre-Dadame chcurch & Gras House Paris Street
   Image
Nicephore Niepce (1826) L.J.-M. Dagurrre (1838) The first Photography that Present Paris street and present roughly as name of architecture in detail as Heliographie Daguerreotype L.J.-M. Dagurrre (1838) W. H. Fox Talbot (1843) Present silence image of Present landscape of Orleans Paris by exposure during 1 Bridge and street of Paris as hour as Daguerreotype Calotype

3. 여명기 건축사진

에는 첫째, 다게르의 발명품이 창조적 발명품인가를 검 토할 것. 둘째, 고고학과 예술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검토 할 것. 셋째, 사회에 실질적으로 유용한가를 검토할 것. Birth of Architecture Photography 넷째, 사진술이 과학발전에 어떠한 유리한 점을 줄 수 있 는 지를 검토할 것. 등 네 가지 사안들이 명시되어 있었 같이 사진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니엡스, 다게르, 고 이상의 사안들은 주로 사진의 유용성에 관한 사항들 의해 담겨지기 시작한 건축이미지는 그 후 각 로서 과학과 예술 그리고 사회에 사진이 어떻게 유용하 관통하며 건축을 다양한 관점에서 담아냈다. 19 게 쓰일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유용성의 개념 있어서는 대상의 기록이라는 측면이 강하 들은 다양한 세계를 관찰하고 기록한 여명기 사진의 개 건축적 상황을 이미지로 기록하였으며, 20세 념을 함축적으로 요약한다고 할 수 있다. 모더니즘이 시작되면서는 대상의 표현이라는 측면이 다양한 시각을 통해 건축이미지를 표현하였다. 3.2 여명기 사진의 경향 여명기의 건축사진은 사진의 본질적인 개념인 관찰과 기록이라는 측면이 강하게 지배했다. 이는 당시 사진술 의 한계와 사진이란 복제에 의한 현실의 재현일 뿐이라 는 개념의 한계에 의해 아직 표현 예술로서의 확실한 영 여명기 사진의 개념 역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사회는 1776년 미국의 독립혁명, 1764년 영국 이 시기 건축사진의 경향을 크게 대별해 보면, 고고학 1789년 프랑스의 대혁명이라는 18세기의 적 관심으로 생겨난 중동과 동양의 유적지 건축물에 대 세계사적 혁명을 등에 업고 새롭게 피어난 근대 한 고고학적 기록, 도시화에 따른 도시의 가로와 건축물 출발점이었다. 사진은 그 시대 과학의 승리이자 에 대한 인문학적 기록, 전쟁 등으로 인한 군영지와 지형 산업혁명의 결실이었다. 또한 자본주의적 산업의 꽃으로 학적 미개척지 그리고 도시의 사회학적 기록, 기술의 발 중심적 공업의 핵으로서 그리고 가장 민주적인 전에 따른 대규모 건축물과 구조물에 대한 기술공학적 예술수단과 도구로써 근대사회와 문화를 아우르는 밑거 기록 사진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아라고가 의회보 시대 풍경이었다. 고서에서 지적한 사진의 유용성 중에서 두 번째 고고학 후반에 산업자본주의가 발생함에 따라 모더니 과 예술에 대한 기여와 세 번째 사회에 대한 유용성에 대 촉발한 사회적·경제적 변형은 도시의 이미지를 바 한 개념의 틀에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것으로서 건축사진 놓았다.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와 조르주 오스망 이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분야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aussmann)남작은 파리에서 ‘오스망화’[8]로 도시 재설계를 추진하였다. 오스망화는 파리의 3.3 여명기 건축사진의 작품분석 기간시설을 원활한 도시 통행을 위해 현대화할 목적으로 3.3.1 유적지 건축물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사진 건설하고 새로운 하수시설을 만들고 중앙시장을 사진의 가능성은 19세기 중엽 전반적인 지식에 대한 재건축했다[9]. 19세기 후반의 ‘대로문화boulevard 욕구와 만나게 되었고 그때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수많은 오스망화의 관점에서 개조되었으며 장기간에 것들이 사진을 통해서 알려지게 되었다. 이제 사진으로 걸친 도시적 관습의 융합이었다. 사회적 삶은 거대한 대 인해 전 세계를 각자의 집에서 볼 수 있게 되었고, 이것 로 위를 활보했고 카페, 극장, 백화점, 호텔, 파사쥬[10],이집트의 고대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프란시스 프리 드(Francis Frith)는 1856년에서 60년 사이에 이집트와 유대민족의 자취가 남아 있는 지역을 방문하였으며, 1858년에는 사막 최악의 조건 아래에서 40X50센티미터 카메라로 시리즈 작업을 했다. 문학가이자 아마추어 사진가였던 막심 뒤 캉(Maxime Camp)은 소설가 귀스타브 플로베르(Gustave Flaubert)와 함께 1849년부터 1852년까지 중동지역과 이 여행하며 촬영하였다. 뒤 캉은 거대한 유적 앞에 고용한 누비아 출신의 이집트인을 자주 세워 놓고 촬영했는데 이는 사람의 키와 대비시켜 유적의 웅장한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었다. 블랑카 르-에브라르(Blanquart Evrard)는 이중 122매 사진을 앨범으로 제작하였다[13]. [Fig. 4] Ancience Greek Temples
   Gate of Hypostyle hall Porch of Ramses II
3) 중동의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유적을 사진으로 정 확하게 기록한 사진가로서 살츠만(Auguste Salzmann) 을 들 수 있다. 특히 성벽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정교하게 기록함으로써 성벽의 축성시기를 밝히는데 일조하였을 뿐 아니라 단순한 기록을 넘어 예술적 성취를 이뤄내었 다. 그는 예루살렘의 유적을 화가와 고고학자가 지니는 상이한 시각 속에 조화롭게 담아냄으로써 매우 뛰어난 미학적 성취도를 보여 주었다.Maxime du Camp (1850) Francis Frith (1857) Present reality of Present thickness of wall architectural texture by and depth of space by using light and shadow overlapping gatesAncience Egypt Architectures그리스 건축은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를 중심으로 건축적 관심의 대상이었고 따라서 많은 미술가 건축가들이 회화적인 소묘화나 동판 그리고 사진 등 다양하게 묘사하고 표현하였다. 화가 겸 건축가인 뒤크(Viollet-le-Duc)는 연필과 세피아 조색으 Auguste Salzmann (1855) Auguste Salzmann (1854) 소묘화를 그렸으며 과학자인 존 허셀(John Herschel) Present various architectural Improve of historical value of 카메다 루시다를 이용한 연필 소묘화를 그렸다[14]. form and space by overlapping photography by detailed times for press records of castle wall 로트비니에르(Lotbiniere)는 세부묘사가 뛰어난 동판을 [Fig. 5] Ancience Jerusalem Temples
   Image
John Herschel (1824) Viollet-le-Duc (1836) This is the picture by using Present space of peridrome Camera Lucida at the by perspectival geometric brginning composition
   Title Gate of Acropolis Temple Temple of Parthenon

   Image
P.G..J.de Lotbiniere (1839) William Stillman (1869) Change photography of Present perspective by Daguerreotype into Aquatint shadow of columns of stone with detail templeTitle Jerusalem JerusalemImage
   Hindu Temple Temple of Cambodia
말레이시아, 중국 등지를 여행하며 도시환경과 건축물의 연륜 깊은 도시 구조가 다수 허물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록이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고 고대문명의 위용을 촬영 파리와 런던과 글래스고[17] 등에서는 파괴의 운명에 처 그뿐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습관과 방식들도 관 한 건축적 유산들을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들이 기록하여 사진을 기록의 언어로 확립하는 데에 진행되었다. 기여하였다. 그의 사진에는 복식과 일상의 소품, 주 1851년 프랑스 정부는 사적위원회를 발족시켜 프랑스 등이 담겨 있고 항상 거리를 무대로 다양한 유형 의 건축물과 각종 문화재에 대한 시각 자료를 구성하기 사람들과 복잡하고 무질서한 길거리를 차분하고 정돈 위한 작업에 착수했으며 이 협회는 유명 사진가를 비롯 모습으로 담아 사회학적 다큐멘터리의 고전으로 자리 하여 과학·예술분야의 권위자로 구성되어 1851년부터 1860년까지 각종 자료사진을 제작했다. 위원회는 주로 이폴리트 바야르, 귀스타브 르 그레, 올리비에 메스트랄, 에두아르 발두스, 앙리 르 세크 등 다섯 명에게 기록 작 업을 맡겼다. 르 그레와 메스트랄은 투렌과 아키텐 지방 을, 앙리 르 세크는 샹파뉴와 알사스 로렌 지역을 맡았으 며 발두스는 파리와 퐁텐블로, 프로방스 지역의 대표적 인 기념물을 기록하였고, 이폴리트 바야르는 노르망디를 촬영하였다[18].Samuel Bourne (1865) John Thomson (1870) Various Hindu Temples Take a picture of landscape around Ganges river at and ruins for album in Banaras in India Cambodia1) 앙리 르 세크(Henri Le Secq)는 고딕 양식의 성당 을 주로 촬영하였다. 1851년 아미엥과 렝스, 스트라스부 Oriental Temples 르, 샤르트르 성당을 주로 기록했으며 이듬해 1852년부 터 그는 파리의 중세식 풍광에 관심을 돌려 붕괴 직전의 도시화에 따른 인문학적 기록사진 중세 건축들을 촬영했다. 그는 건축물 전체를 드러내기 1853년부터 시작된 근대적 도시계획으로 파리는 낡은 보다는 일부를 확대 촬영함으로써 건물 전체에 가려져 도시에서 산업화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새 있던 디테일한 세부 모습을 드러내었고, 성당 건축물에 도시로 탈바꿈하게 된다. 마차가 다니던 비좁은 골 부속되어 있는 벽면 조각들이 빚어내는 조형성을 극대화 원활한 교통을 위해 넓은 도로로 바뀌고 도시 곳 하는 세련된 화면 구성 솜씨를 발휘하였다. 일환으로 공원이 조성된다. 볼로뉴 숲 쇼몽 공원이 모습을 드러내고, 오페라 거리 주변 교통량의 증가에 대비한 사선형 도로가 들어선다. 도시계획으로 파리는 근대적 도시로 변모하지 더불어 구도시의 곳곳에 스며있던 고급스런 풍 조끔씩 사라져 간다[16].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각종 문화재와 유적, 역사적 관리·보존하는 방법은 19세기 중반부터 큰 변 맞이한다. 사라지게 될 문명의 자료화는 사진이 발
   Title Church of Reims(Violin) Chartreux(Stairs Tower)

   Image

   Henri Le Secq (1851) Henri Le Secq (1852) Compose of excellent frame Present detail by enlarged that illustrate detail of photo as take a picture part of sculpture on the wall building
줄 알았고 광선의 변화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모습을 포착해내는 비범한 재능과 사진에 수정을 사진을 소묘처럼 보이게 하거나 몇 장의 음화에 이미지 제작방법을 체계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Fig. 9] Documentary Photography of CharlesMarvilles
   Saint-Trophime of Arles Temple of Chartres
4) 에두아르 발두스(Edouard-Denis Baldus)는 1853년 아를르와 님스, 아비뇽의 대표적인 유적들을 기록했고, 이듬해 루브르 박물관 내외의 조각들과 건물장식 등을 촬영했으며, 루브르와 베르사이유 궁의 조각을 기록하는 공식 사진가로 위촉되었다. 1855년에는 파리와 칼레 사 이의 풍광과 건축을 촬영하였으며, 파리와 마르세이유의 사이에 철도가 지나는 각 마을의 유적과 역사, 교량을 비 롯하여 산업화의 흔적을 상세하게 보여 주었다.Charles Negre (1852) Charles Negre (1854) Excellent description of Synthesize two prints after exterior wall detail as the overlapping negative photos first intaglio photography of temple and skyDocumentary Photography of Charles Negre샤를르 마르빌(Charles Marvilles)은 1850년대부터 1870년대까지 각종 유적을 기록해 역사자료로서의 사진 전면에 부각시켰다. 그는 앗제식 다큐멘터리 선구자로서 사진가의 중립적 시각, 대상에 접근 객관적 태도 등은 마르빌의 사진에서 이미 확립된 그의 사진은 기록의 미학적 차원을 한 단계 끌어 하나의 범주로 유형화시켰다. 1850 이미 전문 건축사진가로 자리를 굳혔던 그는 이미 라인 강 유역과 피카르디 지방, 아미엥 지방 [Fig. 10] Documentary Photography of Baldus 유적 기록 작업을 했고, 1856년에는 노틀담 대 파리의 유적들을 기록했으며, 1858년부터 5) 입체로 보는 도시전경 사진인 스테레오스코프는 현 동안 파리 구도시의 기록에 착수하였다. 실을 공간적으로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스테레오 카 작업은 구도시의 도로와 골목이 도시 근대화 사 메라는 나란히 촬영된 두 장의 사진을 눈과 같은 간격으 사라지기 전에 기록한 것으로 구도시의 모습을 로 벌려놓고, 그 사진을 두 눈으로 바라볼 때 입체적이고 자료로 보존하려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여 예술 공간적인 효과를 내는 영상을 목표로 했다. 본격적인 붐 효과보다도 대상의 충실한 기록에 역점을 두었다. 은 1851년 런던의 국제박람회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특별 한 관심을 보인 것이 계기가 되었다. 스테레오 사진으로 만들어진 카드는 적당한 가격의 종이사진이었고, 먼 이 국땅과 거리들을 생생하게 보여 주었다. 쌍둥이 렌즈 카
   Charles Marvilles (1865) Charles Marvilles (1865)
Presentation of delicate Presentation of delicate texture of street paving by texture of wall brick and stone signboard
   Title Castle of Avignon Pont du Gard of Nimes

   Image

   E.-Denis Baldus (1851) E.-Denis Baldus (1855)
Picturesque photo by Symmetrical roman aqueduct medieval castle around moat photo by arch reflecting from by perspective frame water
   Pont Neuf Picture of Stereoscope
[Fig. 12] Documentary Photography under ConstructionHippolyte Jouvin (1860) Unknown (1850) Create a moving scene as Take picture urban shape panoramic urban landscape and space like snap photos in with buildings, bridge a moment W. H. Fox Talbot (1843) A. M. Bauer (1889) Construction site of Nelson’s Engineering case of use Column in Trafalgar(London) photo in practical terms like under construction survey architecture2)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와 1855년 파리 만국박람회 를 통해 사진은 예술로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으며 산 업화 시대의 철과 유리로 이루어진 대공간의 기술공학적 건축물에 대한 사진들도 빈번해졌다. 영국에서 에드윈 메이얼(John Jabez Edwin Mayall)은 만국박람회 당시 11] City Panorama of Stereoscope 축조된 수정궁의 내부를 촬영하였으며 필립 헨리 델라모 트(Philip Henry Delamotte)는 1853년 신덴험 건축과 도시에 대한 기술공학적 기록사진 (Syndenham)에 재 축성된 수정궁을 촬영하기도 했다. 중반 사진술이 아직 기술적 한계를 지니고 있 사진은 건축과 도시의 다양한 모습과 함께 당 진행된 건설 현장의 기술 공학적 생생 담았으며, 지속적인 건축 기술의 발달과 철과 같은 새로운 건축 재료의 적극적인 도입으로 만 등을 통해 수정궁과 에펠탑과 같은 대형 공학 건축물과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또한 열기구나 에펠탑과 같은 고층 구조물의 탄생으로 경험하지 못한 높은 시점에서 도시와 건축물을 있는 시각이 열림에 따라 역동적이고 개방적 경험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Fig. 13] Documentary Photography of Mega Structure건축과 도시의 구축과정에 대한 기록으로서 도시의 3) 일찍부터 사진가들은 지상을 기록하려고 카메라를 건축물과 구조물의 건설과정을 기록하였을 뿐 갖고 공중으로 올라갔다. 따라서 열기구를 이용한 도시 당시 활발히 전개된 건축연구나 문화재 보호를 전경사진을 촬영하기도 했는데 기구에서 가스가 빠져 나 건축물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기록하 오면서 사진 감광용기를 오염시키는 등 갖가지 어려움이 측량작업에도 사진이 유용한 역할을 하였다. 탈보트 많았으나 마침내 나다르(Nadar)가 1858년 파리 근교의 H. F. Talbot)는 칼로타입으로 런던 트라팔가 쁘띠 비세트(Petit Bicêtre) 마을 상공에서 기구를 타고 넬슨기념비 건설현장을 기록하였으며 메이던 바 최초의 항공사진을 제작하였다. 그 후 1868년 나다르는 M. Bauer)는 쾰른 성당의 측량도를 완성하였다. 파리상공에서 기구를 타고 다중렌즈카메라로 성공적인 파리 전경을 촬영하였다. 소설가 에밀 졸라(Emile Zola) 는 1887년 사진술을 익혀 파리의 풍경들과 1900년 박람
   Title Crystal Palace Crystal Palace

   Image
J. J. Edwin Mayall (1851) P. H. Delamotte (1853) Atrium Space by glass Glass roof by steel truss and curtain wall and steel barrel volt of Crystal Palace structure of Crystal Palace Nadar (1868 Propose to aerial view of city for record visual informations on the ground14] Urban Landscape Photography

4. 결론

연구를 통해서 1839년 사진이 최초로 탄생한 사진이 어떠한 관점과 시각에서 도시와 건축을 바 기록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19세기 말의 건 도시가 사진을 통해 어떠한 이미지로 세상에 드러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건축사진은 당시 사진술의 기술적 한계에도 사진의 본질적인 성격인 관찰과 기록의 관점에 당시 활발한 고고학적 관심에 힘입어 유럽뿐 아 중동, 아시아, 아메리카 지역의 다양한 유적지를 탐 이들 건축물들을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겼으며, 산업사회가 도래하여 급격한 도시화의 과 사라져가는 도시의 전경과 건축물을 기록 노력으로서 인문학적 기록으로 남겼으 산업화로 도시에서 소외된 계층이 밀집한 지역 가로나 소수민족의 토속적 건축물 그리고 전쟁으로 파괴된 도시에 대한 사회학적 기록을 남겼으며, 넷 건축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대규모 공학 건축물에 대한 이미지와 비행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 기록과 사진기술에 따른 건축측량 등의 기술공 기록으로 남겼다. 같이 사진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건축과 도 담아내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였으며 또한 이를 통 사람들은 건축과 도시를 다양하게 바라보고 이해하

References

  • [1] Jin Dong Sun, “History of Photography”, Prunsasang, p. 6, 2004
  • Emile E.C.A. Zola (1900)
  • Contrast between steel structure and landscape of ground on top of Tower
  • [2] Camera inventors owe the create of photography to chemical manufacturing technology of Herscel(inventor of Hypo). He make terms of Negative and Positive, finally photography is stipulates in the world. [3] Camera Obscura was grand room that mans seating in the space at first, and after it was becoming potable small box in 17th. [4] Daguer obtained a patent about photography and earned a lot of money. French Government decided to give a pension to Daguer(6 thousands franc for year) and Niepce(4 thousands franc for year. [5] Heliograph: Helios/sun, graphos/graphic) Smelt asphalt at lavender oil and cover on the tin plate. The image get shown on the surface in according with bright side and shadow side. [6] The Daguerreotype image is formed on a highly polished silver surface, normally Sheffield plate. Daguerreotypes are unique images. It is not possible copy print and need a long time(5-60 minutes) for print. [7] (Calotype: kalos/beautiful, typos/impression) The calotype process produced a translucent original negative image from which multiple positives could be made by simple contact printing. This gave it an important advantage over the daguerreotype process, which produced an opaque original positive that could only be duplicated by copying it with a camera. [8] Haussmannization destroyed much of the medieval city. It is estimated that he transformed 60% of Paris’s buildings. Notably, he redesigned the Place de lEtoile, and created long avenues giving perspectives on monuments such as the Arc de Triomphe and the Opera Garnier.
  • [9] Vanessa R. Schwartz, Spectacular Realistic, Mati, p. 47, 2006
  • [10] Passage was small shopping mall at first. “It is the city and also world in miniature.”
  • [11] Kim Woo Ryong, “Classic Essays on Photography”, Noonbit, Dominique Francois Arago Report( 1839), p. 21, Mijinsa, p. 13, 1999
  • Newhall Beaumount, “The History of Photography”, Little p. 42, 2007 Pyung Jong, “Competition of Photography”, Noonbit, 2006
  • London Photographers Association published 120 photos
  • between 1874 and 1886. Board of Glassgow requested picture to Thomas Annan about street of slum in Paris Pyung Jong, “Competition of Photography”, Noonbit, 2006 기 (Hyeok-Ki Kim) [정회원] •2002년 3월 ~ 현재 : 한국기술교 육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관심분야> 및 설계, 인테리어 디자인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