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4.15.5.3025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3025-3036, 2014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PMS) of college female students which are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such symptom. The subjects were 330 college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 2012 to April 6, 2012. From the results, There has been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MS(r=.36, p<.001) and the attitude to menstruation ha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MS as well(r=.34,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employ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PMS and the result has shown that menstrual attitude, grade point average for stress, smoking and dysmenorrhea have bee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with 27% of explanatory power. The level of significance has been high in menstrual attitude(β=.28, p<.001), grade point average for stress(β=.27, p<.001), smoking(β=.20, p<.001) and dysmenorrhea(β=.15, p<.001)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needs to find nursing interventions for PMS related to psychosocial factors and suggest a narrative study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PMS. Key Words : College Female Students, Menstrual Attitudes, Premenstrual Syndrome, Stress
정금숙 1 , 오현미 1 , 최인령 2* 1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2 서남대학교 간호학과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College Female Students G e u m- S o o kJ u n g 1 , H y u n - Mi O h 1 a n dI n - R y o u n gC h o i 2* 1 D e p a r t me n to fN u r s i n g , H a n l y oU n i v e r s i t y , 2 D e p a r t me n to fN u r s i n g , S e o n a m U n i v e r s i t y 요 약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월경전증후군을 겪는 여대생에게 예방과 중재 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 시의 여대생 3 3 0 명에 대한 자료를 2 0 1 2 년 4 월 2 일부터 4 월 6 일까지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스트레스 전체 평균 평점은 2 . 5 0 ± . 7 4 , 월경에 대한 태도 평균 평점은 3 . 0 7 ± . 0 2 , 월경전증후군의 전체 평점 평균은 2 . 6 7 ± . 6 0 이었다.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고( r = . 3 6 , p < . 0 0 1 ) , 월경에 대한 태도와 월경전증후군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 = . 3 4 , p < . 0 0 1 ) .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평점, 흡연, 월경통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2 7 %이었다. 가장 주요한 영향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 β = . 2 8 , p < . 0 0 1 ) 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평점( β = . 2 7 , p < . 0 0 1 ) , 흡연( β = . 2 0 , p < . 0 0 1 ) , 월경통( β = . 1 5 , p <. 0 0 1 ) 이었다. 이상의 연 구 결과를 토대로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간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1. 서 론

월경은 정상적인 여성의 생리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제1저자 정금숙의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발췌한 것임 * Corresponding Author : In-Ryoung, Choi(Seonam Univ.) Tel: +82-63-620-0103 email: 많은 여성들은 월경 시작 2 ∼1 0 일 전에 신체적, 정서적, 행동적 복합적 증상이 시작되어 월경 직후에 사라지는 경험을 하는데, 이를 월경전증후군( P r e m e n s t r u a l
   S y n d r o m e , P MS ) 이라고 한다[ 1 ] . 이러한 월경전증후군의 신체적 증상으로는 체중 증가, 유방압통, 부종, 요통, 복통, 두통, 피로 등이 있고, 정서적 증상에는 정서불안, 불안, 긴장, 우울, 통제력을 상실할 것 같은 느낌 등이 있으며, 행동적 증상에는 수면장애, 식 욕 변화, 주의집중 곤란, 흥미저하, 사회적 위축 등이 있 다[ 2 ] . 월경전증후군은 우울증이나 단 음식에 대한 갈망, 유방압통, 공격성 같은 증상이 심각해서 여성 자신의 생 활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소아학 대, 자살기도, 행방불명 등의 사건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 . 미국과 영국에서는 3 0 ∼5 0 %가 중등도의 불편감을 호 소하고 그 중 1 0 %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로 그 증상이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 . 한편, 최근 우리나라 가임여성( 1 5 ∼4 9 세) 을 대상으로 한 월경전증후군 실태조사 결과, 국제질병분류 ( I n t e r n a t i o n a l C l a s s o f i c a t i o no fD i s e a s e , 1 0 t h R e v i s i o n , I C D - 1 0 ) 진단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가임여성의 9 9 %, 미 국산부인과학( A m e r i c a n C o l l e g eo fO b s t e t r i c i a n sa n d G y n e c o l o g i s t s , A C O G ) 의 진단기준으로 3 4 %에서 월경 전증후군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5 ] . 이중 여 대생의 8 3 . 3 %에서는 하나 이상의 월경전증후군의 증상 을 경험하고 있으며[ 6 ] , K i m, N a m, O h& L e e 의 연구에 서는 월경전증후군이 여대생, 중년여성, 여고생 순으로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7 ] . 이와 같이 2 0 대인 여대 생에게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월경전증후군은 학업 능 률저하, 학교에서의 부정행위, 범죄 혹은 자살 등 일상생 활에 큰 장애를 초래할 만큼 개인적, 사회적인 악영향이 심각하다[ 8 ] . 이렇듯 월경전증후군은 초경부터 폐경 전까지 어느 시기에나 생길 수 있는 질환이며,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 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은 월경전증후군 에 대한 인지도와 친숙도는 6 %와 7 %정도이며, 이는 아 시아 태평양 지역( A P : 호주, 홍콩, 태국, 파키스탄) 의 3 0 와 3 2 %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5 ] . 현재까지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 져 있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 방법은 없는 실정 이며[ 3 , 5 ] . 한국의 사회문화적 여건 속에서 여대생이 직접 병원을 찾는 등의 적극적인 대처를 하기란 더욱 힘든 경 우가 많다[ 9 ] . 지금까지 보고된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월경전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5 ] , 월경전증후 군의 증상과 태도[ 8 , 1 0 , 1 1 ] , 월경전증후군의 관리를 위한 중재 효과[ 1 2 , 1 3 ] , 월경전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 [ 1 4 - 1 7 ] 등이 있었다.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를 살펴보면,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가족력, 신경전달물질 변화, 호르몬 변화 등이 있으며[ 1 8 ] , 월경관련 특성( 월경 량, 월경통, 월경주기, 초경 연령 등) [ 1 9 ] , 운동, 흡연, 음 주, 수면시간, 지나친 다이어트와 영양소 섭취 등과 같은 건강관련 식생활습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 2 , 1 4 , 2 0 - 2 2 ] . 그리고 개인의 심리· 사회문화적 요인 으로 여성의 역할 수용도, 월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등 이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8 , 1 1 , 2 3 ] .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 중 스트레 스는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심한 것 으로 여러 선행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1 6 , 2 4 ] . 2 0 1 0 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의 6 4 . 5 %가 스트레스를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 5 ] , 특히, 여대생의 경우 남학 생에 비해 학업문제나 가정문제와 관련한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 학년이 증가할수록 장래· 진로문 제에서 많은 생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 6 ] . 이는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의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월경에 대한 태도는 사회적인 제 요인들에 의하여 형 성된 것으로서 월경에 대한 여성의 전반적인 인식을 말 하는데[ 2 7 ] , 월경증상에 대한 기대나 사회화 과정에서 여성에게 전달되는 문화의 이해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2 8 ] . 특히 월경에 대해 부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을 경 우, 월경전기에 더 많은 신체적,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2 9 - 3 0 ] . 월경에 대한 고정된 신념이 월경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도록 하고, 이러한 월경에 대 한 부정적인 신념이 있는 경우 월경전기에 발생하는 증 상을 더 심하게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1 0 ] . 이러한 월경 에 대한 태도는 초경 후 경과시간이 짧은( 2 년 이상∼1 2 년 미만)여성일수록 월경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초경 후 경과시간이 증가함( 2 2 년 이상∼ 3 2 년 미만) 에 따라 부정적인 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3 1 ] . 이렇듯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물학 적 요인, 식생활습관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등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여러 요인 중 심리사회적 요인은 월경전

   증후군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서, 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 상과 월경에 대한 태도 변화를 위한 간호 중재 교육프로 그램을 통한 변화 가능한 제 변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유 병률과 실태를 조사하여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월경전증후군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 로 월경전증후군의 관리를 위해 심리사회적인 요인을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나아가 월경 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 하였다.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 연구 대상 대상자는 G 시에 소재한 H 대학 여대생으로 윤리적인 측면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3 3 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수는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G * P o w e r v e r s i o n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 분석 에서 예측 요인의 수 2 0 개, 유의 수준 0 . 0 5 , 효과크기 중 간 0 . 1 5 , 검정력 0 . 9 5 로 하였을 때 1 9 1 명으로 제시되어 본 연구의 대상자 수 3 3 0 명은 본 연구에 필요한 표본수를 충 족하였다. 2.3 연구도구 2.3.1 월경관련 특성 월경관련 특성에 관한 문항은 초경 연령, 월경의 규칙 성, 월경기간, 월경 양, 월경통, 월경통 해결방법에 관한 6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3.2 스트레스(Stress) 스트레스는 C h o n 과 K i m [ 3 2 ] 이 개발한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만든 L e e [ 3 3 ] 의 척도를 이용하였다. 본 척도의 검사내용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속하는

   동성친구, 이성친구, 가족관계, 교수관계 영역과 당면 과 제 스트레스에 속하는 학업문제, 경제문제, 장래문제, 가 치관 문제로 총 8 개 영역, 5 0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전 혀 받지 않는다’ 1 점에서 ‘ 매우 자주 받는다’ 5 점으로 최 저 5 0 점부터 최고 2 5 0 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C r o n b a c h ' s α 계수는 . 9 6 이었다. 2.3.3 월경에 대한 태도 (Menstrual Attitudes Questionnaire, MAQ) 월경에 대한 태도는 B r o o k s - G u n n& R u b l e [ 3 4 ] 이 개 발한 MA Q ( Me n s t r u a l A t t i t u d e sQ u e s t i o n n a i r e , MA Q ) 를 J e o n [ 1 3 ] 이 수정· 보완하여 3 0 문항으로 만든 도구를 이 용하였다. MA Q 는 5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1 . ‘ 월 경은 여성을 신체적· 심리적으로 약화시키는 증상임’ 2 . ‘ 월경은 귀찮은 증상임’ 3 . ‘ 월경은 자연스러운 현상임’ 4 . ‘ 월경은 시작을 예측할 수 있는 현상임’ 5 . ‘ 월경은 여성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도 않고 미쳐서도 안 되는 현상임’ 이다. 각 문항은 ‘ 전혀 아니다’ 1 점에서 ‘ 매우 그렇다’ 5 점 으로 하여 각 범주에 대한 점수가 높을수록 그러한 태도 가 강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의 C r o n b a c h ' s α 계수는 . 7 6 이었다. 2.3.4 월경전증후군 (Premenstrual syndrome: PMS) 월경전증후군은 Mo o s [ 3 5 ] 의 월경전증후군 측정도구 인 MD Q ( Me n s t r u a l D i s t r e s sQ u e s t i o n n a i r e , MD Q ) 를 이 용하였다. MD Q 는 행위 변화 9 문항, 부정적 정서 9 문항, 통증 7 문항, 집중력 8 문항, 수분 정체 6 문항, 자율신경계 변화 6 문항, 위장계 변화 2 문항으로 총 4 7 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각 문항은 ‘ 전혀 아니다’ 1 점에서 ‘ 매우 그렇 다’ 5 점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월경전증후군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월경전증후군( P MS ) 의 정도에 따라 평균 1 - 2 점은 정상 군( N o r m a l ) , 3 점은 보통 군 ( Mo d e r a t e ) , 4 - 5 점은 심한 군( S e r i o u s ) 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C r o n b a c h ' s α 계수는 . 9 5 이었다. 2.4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 0 1 2 년 4 월 2 일부터 4 월 6 일까지 G 시의 여대생 3 3 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연 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배 부된 3 3 0 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1 5 부를 제외한 총 3 1 5 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5 분석방법 자료 분석은 S P S S / WI N1 8 . 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 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월경에 대한 태도, 월경전증후군은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월경관련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의 차이는 t - t e s t , O n ew a yA N O V A 로, 사후 검정은 S c h e f f ét e s t 를 이용하였다.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P e a r s o n ' sC o r r e l a t i o nC o e f f i c i e n t 를 이용하 였다.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 해 Mu l t i p l eL i n e a rR e g r e s s i o nA n a l y s i s 를 이용하 였다.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월경 관련 특성 연령은 2 1 세 이상이 5 5 . 2 %이었고, 종교는 있는 경우 가 5 0 . 5 %, 가족의 월수입은 2 0 1 만원 이상∼3 0 0 만원 이 하가 3 1 . 4 %로 가장 많았다. 한 달 용돈은 1 1 ∼2 0 만원 이 하가 3 2 . 7 %, 수면 시간은 7 시간 미만이 6 5 . 1 %, 운동 여 부에서는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7 0 . 2 %로 대부분 운동을 하지 않고 있었다.흡연 유무는 비흡연자가 7 4 . 6 %이었고, 흡연자가 2 5 . 4 %으로 나타났다. 음주 유무 는 있음이 9 5 . 6 %로 대부분 음주를 하고 있었다. 월경관 련 특성은 초경 연령은 평균 1 3 . 4 4 세로 나타났으며, 그 중 1 4 ∼1 6 세가 4 2 . 5 %로 가장 많았다. 월경 주기 규칙성 은 규칙적이 5 6 . 5 %, 불규칙적 4 3 . 5 %로 비슷하였고, 월 경 기간은 5 ∼6 일이 5 5 . 6 %로 가장 많았고, 월경 양은 보 통이 7 7 . 8 %, 월경통 유무는 있음이 8 0 . 6 %나 되었다. 월 경통 해결 방법은 ‘ 휴식’ 2 3 . 2 %, ‘ 진통제 복용’ 2 1 . 6 %, ‘ 참 는다’ 2 1 . 0 %, ‘ 이완요법( 마사지 등) ’ 1 4 . 9 % 순으로 나타 났다[ T a b l e1 ] .
   [Table 1] General and Menstru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N=315) C h a r a c t e r i s t i c C a t e g o r i e s n ( %) A g e ( y e a r ) 1 9 ~2 0 1 4 1 ( 4 4 . 8 ) 2 1 < 1 7 4 ( 5 5 . 2 ) R e l i g i o n Y e s 1 5 9 ( 5 0 . 5 ) N o 1 5 6 ( 4 9 . 5 ) F a mi l yI n c o me < 2 0 0 5 7 ( 1 8 . 1 ) ( 1 0 , 0 0 0 wo n ) 2 0 1 ~3 0 0 9 9 ( 3 1 . 4 ) 3 0 1 ~4 0 0 8 9 ( 2 8 . 3 ) 4 0 1 < 7 0 ( 2 2 . 3 ) s p e n d i n gmo n e y < 1 0 6 0 ( 1 9 . 0 ) ( 1 0 , 0 0 0 wo n ) 1 1 ~2 0 1 0 3 ( 3 2 . 7 ) 2 1 ~3 0 9 7 ( 3 0 . 8 ) 3 1 < 5 5 ( 1 7 . 5 ) S l e e ph o u r < 7 h o u r 2 0 5 ( 6 5 . 1 ) 7 < h o u r 1 1 0 ( 3 4 . 9 ) E x e r c i s e Y e s 9 4 ( 2 9 . 8 ) N o 2 2 1 ( 7 0 . 2 ) S mo k i n g Y e s 8 0 ( 2 5 . 4 ) N o 2 3 5 ( 7 4 . 6 ) d r i n k i n g Y e s 2 8 6 ( 9 0 . 8 ) N o 2 9 ( 9 . 2 ) me n a r c h e < 1 3 9 7 ( 3 0 . 8 ) 1 4 ~1 6 1 3 4 ( 4 2 . 5 ) 1 7 < 8 4 ( 2 6 . 7 ) R e g u l a r i t y I r r e g u l a r 1 3 7 ( 4 3 . 5 ) R e g u l a r 1 7 8 ( 5 6 . 5 ) D u r a t i o n 3 ~4 d a y s 6 9 ( 2 1 . 9 ) 5 ~6 d a y s 1 7 5 ( 5 5 . 6 ) 7 ~8 d a y s 7 1 ( 2 2 . 5 ) A mo u n t L i t t l e 2 7 ( 8 . 6 ) Mi d d l e 2 2 3 ( 7 0 . 8 ) Mu c h 6 5 ( 2 0 . 6 ) D y s me n o r r h e a Y e s 2 5 4 ( 8 0 . 6 ) N o 6 1 ( 1 9 . 4 ) D y s me n o r r h e a b ep a t i e n t 6 6 ( 2 1 . 0 ) s o l u t i o n r e s t ( o n e s e l f ) ; 7 3 ( 2 3 . 2 ) a n o d y n ee a t 6 8 ( 2 1 . 6 ) r e l a x a t i o n t h e r a p y 4 7 ( 1 4 . 9 ) ( ma s s a g ee ta l )

3.2 대상자의 스트레스, 월경에 대한 태도 및 러운 현상임’ 3 . 4 3 ± . 0 3 , 요인 4 . ‘ 월경은 시작을 예측할 수 월경전증후군 있는 현상임‘ 3 . 1 1 ± . 0 3 , 요인 5 . ‘ 월경은 여성의 행동에 영 스트레스 전체 평균은 총점 2 5 0 점 중 1 2 4 . 6 0 ± 3 7 . 0 2 점 향을 미치지도 않고 미쳐서도 안 되는 현상임’ 2 . 8 8 ± . 0 3 으 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장래문제, 경제문제, 로 나타났다. 학업문제, 가족관계, 교수관계, 동성친구, 이성친구, 가치 월경전증후군의 전체 평균 평점은 2 . 6 7 ± . 6 0 이었고, 하 관문제 순으로 장래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위 영역별로는 수분 정체 3 . 2 1 ± . 7 9 , 부정적 정서 2 . 9 1 ± . 8 4 , 2 1 . 6 9 ± 6 . 2 2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증 2 . 7 0 ± . 7 7 , 행동 변화 2 . 6 9 ± . 6 7 , 집중력 2 . 4 2 ± . 7 5 , 위장 월경에 대한 태도 평균 평점은 3 . 0 7 ± . 0 2 로 나타났으며, 계 변화 2 . 4 2 ± . 9 7 , 자율신경계 변화 2 . 1 1 ± . 7 6순으로 불편 각 요인별 평균 평점을 살펴보면, 요인 1 . ‘ 월경은 여성을 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 정체 영역에서 가장 신체적· 심리적으로 약화시키는 증상임’ 3 . 0 8 ± . 0 2 , 요인 2 . 심한 물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 정도에 따 ‘ 월경은 귀찮은 사건임’ 2 . 9 3 ± . 0 3 , 요인 3 . ‘ 월경은 자연스 른 분류에서는 보통 군이 전체 3 1 5 명 중 5 9 %로 가장 높 은 빈도를 나타냈고, 심한 군이 2 8 %, 정상 군이 1 3 %로 [Table 2] Stress,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T a b l e2 , 3 ] . Syndrome(PMS) (N=315) [Table 3] Classification according Premenstrual Syndrome(PMS) level


   V a r i a b l e

   Mi n - Ma x R a n g e M± S D V a l u e s

   T o t a l S t r e s s 5 0 - 2 5 0 5 0 - 2 5 0 1 2 4 . 6 0 ± 3 7 . 0 2 s t u d i e sp r o b l e m 7 - 3 5 7 - 3 4 1 6 . 4 3 ± 6 . 4 9 e c o n o mi cp r o b l e m 7 - 3 5 7 - 3 5 1 8 . 7 3 ± 5 . 7 1 p r o s p e c tp r o b l e m 8 - 4 0 8 - 3 9 2 1 . 6 9 ± 6 . 2 2 v a l u e sp r o b l e m 5 - 2 5 5 - 2 4 1 1 . 8 3 ± 4 . 3 6 h o mo g e n e i t yf r i e n d 5 - 2 5 5 - 2 5 1 3 . 2 6 ± 4 . 5 4 f r i e n d o ft h e o p p o s i t e 6 - 3 0 6 - 2 7 1 2 . 9 7 ± 4 . 8 1 s e x F a mi l y 6 - 3 0 6 - 2 8 1 4 . 9 9 ± 5 . 7 6 p r o f e s s o rr e l a t i o n 6 - 3 0 6 - 3 0 1 4 . 9 5 ± 5 . 4 6 Me n s t r u a l A t t i t u d e 1 - 5 2 . 1 0 - 3 . 8 3 3 . 0 7 ± . 0 2 f a c t o r1 1 - 5 1 . 9 0 - 4 . 1 0 3 . 0 8 ± . 0 2 f a c t o r2 1 - 5 1 . 0 0 - 4 . 2 0 2 . 9 3 ± . 0 3 f a c t o r3 1 - 5 2 . 0 0 - 5 . 0 0 3 . 4 3 ± . 0 3 f a c t o r4 1 - 5 1 . 2 0 - 4 . 6 0 3 . 1 1 ± . 0 3 f a c t o r5 1 - 5 1 . 3 3 - 5 . 0 0 2 . 8 8 ± . 0 3 P r e me n s t r u a l 1 - 5 1 . 0 9 - 4 . 7 4 2 . 6 7 ± . 6 0 S y n d r o me ( P MS ) B e h a v i o r a l c h a n g e 1 - 5 1 . 0 0 - 4 . 3 3 2 . 6 9 ± . 6 7 N e g a t i v ea f f e c t i o n 1 - 5 1 . 0 0 - 5 . 0 0 2 . 9 1 ± . 8 4 P a i n 1 - 5 1 . 0 0 - 5 . 0 0 2 . 7 0 ± . 7 7 C o n c e n t r a t i o n 1 - 5 1 . 0 0 - 5 . 0 0 2 . 4 2 ± . 7 5 Wa t e rr e t e n t i o n 1 - 5 1 . 0 0 - 5 . 0 0 3 . 2 1 ± . 7 9 A u t o n o mi cr e a c t i o n 1 - 5 1 . 0 0 - 5 . 0 0 2 . 1 1 ± . 7 6 G a s t r o i n t e s t i n a l 1 - 5 1 . 0 0 - 5 . 0 0 2 . 4 2 ± . 9 7

   (N=315) Mi n - Ma x G r o u p n ( %) R a n g e M± S D V a l u e s N o r ma l G r o u p 4 1 ( 1 3 . 0 ) 1 . 0 0 - 2 . 0 0 1 . 0 9 - 2 . 0 0 1 . 6 7 ± . 2 5 Mo d e r a t e 1 8 6 ( 5 9 . 0 ) 2 . 0 1 - 3 . 0 0 2 . 0 2 - 3 . 0 0 2 . 5 5 ± . 2 7 G r o u p S e v e r eG r o u p 8 8 ( 2 8 . 0 ) 3 . 0 1 - 5 . 0 0 3 . 0 2 - 4 . 7 4 3 . 3 9 ± . 2 9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월경관련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월경관련 특성에 따른 월경전증 후군 정도를 살펴보면,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월경전증 후군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 = 4 . 9 0 , p < . 0 0 1 ) , 월경 양과 월경전증후군도 유의한 차이( t = 3 . 3 9 , p = . 0 3 5 ) 를 보여 월경 양이 많은 편에 속한 대상자가 월경전증후군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경통과 월경전증후군이 유의한 차이가 있고( t = 4 . 0 2 , p < . 0 0 1 ) , 월경통 해결 방법과 월경전 증후군이 유의한 차이( t = 4 . 5 9 , p = . 0 0 4 ) 를 보여 월경통이 있 는 대상자가 월경전증후군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월경 통 해결 방법으로 진통제를 복용할 경우 휴식을 취하는 것 보다 월경전증후군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연령, 종교, 가족의 월수입, 한 달 용돈, 수면 시간, 운동 여부, 단식 경험, 음주 여부, 초경 시기, 월경 주기, 월경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T a b l e4 ] .

3.4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 정도가 높을수록 월경전증후군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 및 월경전증후군과의 상관관계 났다.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월경에 대한 태도 또한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 = . 3 6 , p < . 0 0 1 ) . 대상자의 스트레스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 = . 3 4 , p < . 0 0 1 ) [ T a b l e5 ] . [Table 4] Premenstrual Syndrome(PMS) according General and Menstru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C a t e g o r i e s A g e ( y e a r ) 1 9 ~2 0 2 1 < R e l i g i o n Y e s N o F a mi l yI n c o me < 2 0 0 ( 1 0 , 0 0 0 wo n ) 2 0 1 ~3 0 0 3 0 1 ~4 0 0 4 0 1 < s p e n d i n g < 1 0 mo n e y 1 1 ~2 0 ( 1 0 , 0 0 0 wo n ) 2 1 ~3 0 3 1 < S l e e ph o u r < 7 h o u r 7 < h o u r E x e r c i s e Y e s N o S mo k i n g Y e s N o d r i n k i n g Y e s N o me n a r c h e < 1 3 1 4 ~1 6 1 7 < R e g u l a r i t y I r r e g u a r R e g u l a r D u r a t i o n 3 ~4 d a y s 5 ~6 d a y s 7 ~8 d a y s A mo u n t L i t t l e Mi d d l e Mu c h D y s me n o r r h e a Y e s N o b ep a t i e n t D y s me n o r r h e a r e s t ( o n e s e l f ) ; s o l u t i o n a n o d y n ee a t

   (N=315) P r e me n s t r u a l S y n d r o me ( P MS ) n ( %) M± S D Fo rt p 1 4 1 ( 4 4 . 8 ) 2 . 6 0 ± . 6 6 - 1 . 7 2 . 0 8 7 1 7 4 ( 5 5 . 2 ) 2 . 7 2 ± . 5 4 1 5 9 ( 5 0 . 5 ) 2 . 7 0 ± . 5 8 1 . 0 9 . 2 7 8 1 5 6 ( 4 9 . 5 ) 2 . 6 3 ± . 6 0 5 7 ( 1 8 . 1 ) 2 . 7 9 ± . 5 5 1 . 1 1 . 3 4 6 9 9 ( 3 1 . 4 ) 2 . 6 1 ± . 5 5 8 9 ( 2 8 . 3 ) 2 . 6 7 ± . 5 8 7 0 ( 2 2 . 3 ) 2 . 6 5 ± . 7 1 6 0 ( 1 9 . 0 ) 2 . 6 0 ± . 6 2 1 . 1 1 . 3 4 4 1 0 3 ( 3 2 . 7 ) 2 . 7 1 ± . 5 4 9 7 ( 3 0 . 8 ) 2 . 6 1 ± . 6 5 5 5 ( 1 7 . 5 ) 2 . 7 6 ± . 5 6 2 0 5 ( 6 5 . 1 ) 2 . 6 4 ± . 5 9 - 1 . 0 1 . 3 1 2 1 1 0 ( 3 4 . 9 ) 2 . 7 1 ± . 6 0 9 4 ( 2 9 . 8 ) 2 . 6 6 ± . 6 1 - . 2 3 . 8 2 0 2 2 1 ( 7 0 . 2 ) 2 . 6 7 ± . 5 9 8 0 ( 2 5 . 4 ) 2 . 9 4 ± . 5 2 4 . 9 0 < . 0 0 1 2 3 5 ( 7 4 . 6 ) 2 . 5 8 ± . 5 9 2 8 6 ( 9 0 . 8 ) 2 . 6 6 ± . 6 1 - . 0 7 . 9 4 1 2 9 ( 9 . 2 ) 2 . 6 7 ± . 6 0 9 7 ( 3 0 . 8 ) 2 . 6 6 ± . 6 2 . 0 1 . 9 8 7 1 3 4 ( 4 2 . 5 ) 2 . 6 7 ± . 5 9 8 4 ( 2 6 . 7 ) 2 . 6 7 ± . 5 9 1 3 7 ( 4 3 . 5 ) 2 . 7 2 ± . 5 9 1 . 4 4 . 1 5 2 1 7 8 ( 5 6 . 5 ) 2 . 6 3 ± . 6 0 6 9 ( 2 1 . 9 ) 2 . 6 0 ± . 5 9 . 9 8 . 3 7 8 1 7 5 ( 5 5 . 6 ) 2 . 6 7 ± . 5 9 7 1 ( 2 2 . 5 ) 2 . 7 4 ± . 6 2 2 7 ( 8 . 6 ) 2 . 6 4 ± . 5 2 3 . 3 9 . 0 3 5 c > b * 2 2 3 ( 7 0 . 8 ) 2 . 6 2 ± . 6 1 6 5 ( 2 0 . 6 ) 2 . 8 4 ± . 5 5 2 5 4 ( 8 0 . 6 ) 2 . 7 3 ± . 6 0 4 . 0 2 < . 0 0 1 6 1 ( 1 9 . 4 ) 2 . 4 0 ± . 5 0 6 6 ( 2 1 . 0 ) 2 . 6 2 ± . 6 0 4 . 5 9 . 0 0 4 7 3 ( 2 3 . 2 ) 2 . 5 4 ± . 6 4 c > b * 6 8 ( 2 1 . 6 ) 2 . 9 0 ± . 6 4

   [Table 5] Correlations between Stress,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PMS) (N=315) Me n s t r u a l S t r e s s P MS a t t i t u d e V a r i a b l e s r r r ( p ) ( p ) ( p ) S t r e s s 1 . 0 0 0 Me n s t r u a l . 1 9 4 a t t i t u d e ( . 0 0 1 * ) 1 . 0 0 0 . 3 6 0 . 3 4 0 P MS ( < . 0 0 1 * * ) ( < . 0 0 1 * * ) 1 . 0 0 0 3.5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스트레스와 월 경에 대한 태도 및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월경관련 특성 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변수인 흡연 유무, 월경 양, 월경통, 월경통 해결 방법을 회귀분석 식에 투입한 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명목척도인 흡연 유무, 월경통 유무, 월경 양, 월경통 해결방법은가변 수( D u m m yv a r i a b l e s ) 로 전환하였다.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스트레스와 월 경에 대한 태도 및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월경관련 특성 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변수인 흡연 유무, 월경 양, 월경통, 월경통 해결 방법을 회귀분석 식에 투입한 후 단 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명목척도인 흡 연 유무, 월경통 유무, 월경 양, 월경통 해결방법은 가변 수( D u m m yv a r i a b l e s ) 로 전환하였다. 독립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 . 8 미만으로 나타나 모든 요인 분석에 이용하였다. 케이 스 진단 시 절대 값 3 보다 큰 이상점 3 개를 제거한 후 2 5 4 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선택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able 6]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PMS)V a r i a b l e s B S E β I n v a r i a b l en u mb e r . 0 2 . 3 6 Me n s t r u a l a t t i t u d e . 6 1 . 1 2 . 2 8 S t r e s s . 2 1 . 0 5 . 2 7 S mo k i n g . 2 7 . 0 7 . 2 0독립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증한 결과 오차의 자기상관( 독립성)검증에서는 D u r b i n - Wa s t o n통계량이 2 . 0 4 6 으로 검정통계량 보다 크기 때문에 자기상관이 없었 고,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공차한계( T o l e r a n c e ) 가 . 8 6 5 - . 9 5 5 로1 . 0이하로 나타났으며, 분산팽창지수( V I F ) 도 1 . 0 5 - 1 . 0 6 으로 1 0 을 넘지 않아 문제가 없었다. 잔차의 가정을 충족 하기 위한 선형성( L i n e a r i t y ) , 정규성( N o r m a l i t y ) , 등분산 성( H o m o s c e d a s t i c i t y ) 의 가정도 만족하였고, 특이값을 검 토하기 위한 C o o k ’ sd i s t a n c e 값은 1 . 0 을 초과하는 값이 없 어 특이값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 회귀 모형은 유의하였고 ( F = 2 4 . 7 0 , p < . 0 0 1 ) , 월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평점, 흡 연, 월경통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이들 4 개 변수 로 수축된 회귀 모형의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 설명력은 2 7 %이었다. 이중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 β = . 2 8 , p < . 0 0 1 ) 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평점( β = . 2 7 , p < . 0 0 1 ) , 흡연을 하는 경우( β = . 2 0 , p < . 0 0 1 ) , 월경통( β = . 1 5 , p < . 0 0 1 ) 인 것으로 나 타났다[ T a b l e6 ] .

4. 논 의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실태를 조사하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이 를 토대로 월경전증후군의 관리를 위해 심리사회적인 요 인을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나아가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 인 접근을 통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 도하였다. 대상자의 월경관련 특성 중, 평균 초경연령은 1 3 . 4 4세 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현재 여대생으로 기존에 보고 되었던 초경연령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월경통 유 (N=254) t p A d j R 2 F p 0 . 0 7 < . 0 0 1 . 2 7 2 4 . 7 0 < . 0 0 1 5 . 0 8 < . 0 0 1 4 . 6 8 < . 0 0 1 3 . 6 7 < . 0 0 1

   무를 확인한 결과, 통증이‘ 있음’ 이 8 0 . 6 %로 나타났으며, 여대생을 대상으로한 S h i n 과 J e o n g [ 9 ] 의 연구에서도 8 4 . 4 %가 통증이 있다고 하였으며, 여고생을 대상으로 연 구한 K i m , L i m , Wo o 과 K i m [ 3 6 ] 이 보고한 7 8 . 3 %와 비슷 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여대생과 여고생의 상당수가 월경통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며 선행 연구들을 뒷받침하 는 연구 결과이었다. 여대생의 월경통 해결 방법은 ‘ 휴식’ 이나 ‘ 이완요법을 취한다’ 가 3 8 . 1 %, ‘ 참는다’ 2 1 %, 월경 시‘ 진통제를 복용한다’ 2 1 . 6 %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 조건 통증을 참게 되면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월경에 대 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변화시켜 월경전증후군을 더욱 심 하게 느끼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진통제의 복용은 약물 남용과 월경전증후군을 더욱 심하게 할 수 있어 월경통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중재방법을 사용하도록 교육할 필 요가 있으며, 월경통 해결 방법에 관한 추후 연구도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정도의 전체 평균 점수는 총 2 5 0 점 중 1 2 4 . 6 0 점으로 나타났으며, L e e [ 3 3 ] 연구에서 전 체 평균 1 1 7 . 5 8 점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하위 영역별 로 보면 장래문제, 경제문제, 학업문제, 가족관계 순으로 나왔는데 장래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평균 2 1 . 6 9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래문제에 대한 스트레스 평 균이 2 3 . 9 2 점으로 가장 높은 영역으로 나와 대학생들의 경우 대학 입학과 동시에 환경의 변화를 겪게 되고, 졸업 후 진로결정 및 취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 장 큰 것으로 생각된다[ 3 3 ] .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월경에 대한 태도는 평균 평점 3 . 0 7 ± . 0 2 로 나타났으며, 이는 같은 도구를 7 점 척도로 이 용하여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9 ] 4 . 2 6 ± . 4 4 와 유사하 였으며, 다른 도구를 사용하였으나 월경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었던 L e e , e t . a l . [ 3 7 ] 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 다. 각 요인별 평균 평점을 살펴보면, 요인 3 . ‘ 월경은 자 연스러운 현상임’ 3 . 4 3 ± . 0 3 , 요인 4 . ‘ 월경은 시작을 예측 할 수 있는 현상임‘ 3 . 1 1 ± . 0 3 , 요인 1 . ‘ 월경은 여성을 신체 적· 심리적으로 약화시키는 증상임’ 3 . 0 8 ± . 0 2 , 요인 2 . ‘ 월 경은 귀찮은 사건임’ 2 . 9 3 ± . 0 3 , 요인 5 . ‘ 월경은 여성의 행 동에 영향을 미치지도 않고 미쳐서도 안 되는 현상임’ 2 . 8 8 ±. 0 3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월경에 대한 태도 가 월경을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월경은 시작을 예측 할 수 있는 현상이지만 반면에 월경을 신체적· 심리적으로 약화시키는 사건으로도 생각하는 월경에 대한 양면성을

   모두 다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의 하위 영역 중 수분 정체 3 . 2 1 ± . 7 9영역에서 가장 심한 불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월경전증후군의 원인 설 중 황 체기에 프로게스테론의 나트륩( N a) 배설 증가작용과 에 스트로겐의 레닌( r e n i n ) 분비 증가작용에 의해 염분과 수 분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부종이나 체중 증가를 야기한 다는 체액 저류설을 지지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5 ] . 월경 전증후군을 갖고 있는 여대생은 심한 군이 2 8 . 0 %이었으 며, 여고생 중 6 3 %가 월경전증후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한 K i m 과 A h n [ 3 8 ] 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었고, 이는 여고생보다 여대생에서 월경전증후군이 더 심하게 나타 난다는 K i m , e t . a l . [ 7 ] 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선행 연구마다 월경전증후군을 측정하는 도구의 차 이에서 오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며, 월경전증후군의 정 도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의 연구에서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흡연, 음주, 운동과 수면시간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는데[ 1 2 , 1 4 , 2 1 ] , 본 연구에서는 음주, 운동과 수면시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흡연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 i m 과 P a r k [ 3 9 ] 연구에서도 규칙적 운동 여부, 수면시간은 유의 한 차이가 없어 본 연구와 결과가 같았지만, 음주 경험은 정상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흡연 경험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아 본 연구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L e e [ 2 1 ] 의 연구에서는 월경전증후군이 심한 집단에서 흡 연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담배의 니코 틴이 혈관을 수축하여 자궁으로 가는 관류를 감소시킴으 로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므로 특히 월경 전증후군이 있는 여성들에게 금연 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연구자마다 흡연 유무, 운동 여 부, 음주 유무 등의 생활습관에 따른 월경전증후군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나 반복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월경전증후군과 월경관련 특성에서는 월경 양, 월경 통, 월경통 해결방법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고, 초경 시기, 월경 주기, 월경 기간과는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 i m과 L e e [ 2 0 ] 의 연구에서도 월경 양이 많을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심하다고 보고한 선 행 연구를 지지하는 연구 결과이었다. L i m 과 P a r k [ 3 9 ] 에

   서는 초경 시기, 월경 주기, 월경 기간은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월경통은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월경통을 완화해 줄 수 있는 다양한 간호중재가 개발되 어야 할 것이다. 사회· 심리적인 요인으로 여러 선행 연구에서 [ 1 5 , 1 9 ]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은 월경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유발하며 월경전증후군을 악화시킨다고 하였는데 본 연 구에서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월경전증후군과 의 상관관계에서는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 가 심할수록 월경전증후군 정도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는 데, J o [ 1 6 ] 연구에서도 스트레스에 있어서 비교적 월경전 증후군이 심한 군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 연구 결과와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심하 게 나타난 P a r k , e t . a l . [ 2 4 ] 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또한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여성의 경우에 심각한 월경 전 증상들을 호소하고 결과적으로 월경전증후군으로 진 단되고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도 월경후기보다는 월경전 기의 증상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더 촉진하였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4 0 ] . 이러한 결과는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는 작업 능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긍정적인 측면이 있 지만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면 내분비계, 자율신경계, 면역 계 등이 교란돼 인체의 항상성이 깨지고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 월경전증후군에도 스트레스는 예외 없이 작 용되기 때문에 여성에게 월경이 시작할 것이라는 자체가 스트레스이고, 이 스트레스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 트레스와 함께 여성에 주는 부담을 가중시켜 월경전증후 군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여대 생들은 장래문제, 경제문제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월경전증후군를 겪고 있는 여성들에게 개별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월경에 대한 태도와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월경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월경전증후군이 더 심한 것을 알 수 있는 데 이는 P a r k 과 L e e [ 8 ] 과 S h i n [ 1 9 ] 연구에서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다른 도구를 사용하였으나 월경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유의하게 높 은 P a r k [ 1 1 ]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또한 자율적이고, 남성적이고 활동적인 특성이 강할수록 월경전기 변화가 적고, 자율성이 낮으며 여성적이고 일상생활에서 예민하

   고 섬세할수록 월경전기에 심한 변화가 나타난다고 하였 다[ 3 ] . 그러므로 월경을 시작하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성역 할이나 월경에 대한 태도가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경에 대 한 태도, 스트레스, 흡연, 월경통이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 으며,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와 스트 레스이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A h n [ 4 1 ] 연구에서는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스트레스 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S h i n [ 1 9 ] 연구에서는 신 경증 성향, 건강상태, 월경에 대한 태도 등이 월경전증후 군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월경에 대 한 태도와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월경전증후군을 악화시키는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트레스원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관리 와 대처, 월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 록 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중재가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여대생의 경우 학교에서 포커스 그룹 ( F o c u sG r o u p ) 을 이용해 사고, 의견, 감정을 공유함으로 써 월경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태도 변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월경에 대한 태도와 스 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월경전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서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여러 선행 연구마다 다양한 요인 규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명확한 요인 규명을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월경전증 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 을 통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대생의 스트레스 전체 평균은 총점 2 5 0 점 중
1 2 4 . 6 0 ± 3 7 . 0 2 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 별로 보면 장래문제, 경제문제, 학업문제, 가족관계, 교수관계, 동성친구, 이성친구, 가치관문제 순으로 장래문제 로 인한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2 1 . 6 9 ± 6 . 2 2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 여대생의 월경에 대한 태도는 요인별로 요인 1 ‘ 월 경은 여성을 신체적· 심리적으로 약화시키는 증상 임’3 . 0 8 ± . 0 2 ,요인 2.‘ 월경은 귀찮은 사건임’ 2 . 9 3 ± . 0 3 ,요인 3 ‘ 월경은 자연스러운 현상임’ 3 . 4 3 ± . 0 3 , 요인 4 ‘ 월경은 시작을 예측 할 수 있는 현상임‘ 3 . 1 1 ± . 0 3 , 요인 5 ‘ 월경은 여성의 행동에 영 향을 미치지도 않고 미쳐서도 안 되는 현상임’ 2 . 8 8 ± . 0 3 으로 나타났다. 3 .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전체 평균 평점은 2 . 6 7 ± . 6 0 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수분 정체, 부정적 정서, 통증, 행동변화, 집중력, 위장계 변화, 자율신경계 변화 순으로 불편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 분 정체 3 . 2 1 ± . 7 9영역에서 가장 심한 불편감을 느 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월경관련 특성은 흡연 유무, 월경 양, 월경 통, 월경통 해결 방법으로 나타났다. 5 .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월경전 증후군과의 상관관계는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 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r = . 3 6 , p < . 0 0 1 ) , 월경에 대한 태도 또한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r = . 3 4 , p < . 0 0 1 ) . 결과적으로, 대상 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월경에 대 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월경전증후군의 정도가 심 한 것으로 나타났다. 6 .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 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평점, 흡연, 월경통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2 7 %이었다. 월경전증 후군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 ( β = . 2 8 , p < . 0 0 1 ) 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평 점( β = . 2 7 , p < . 0 0 1 ) , 흡연을 하는 경우( β = . 2 0 , p < . 0 0 1 ) , 월경통( β = . 1 5 , p < . 0 0 1 )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월경전증후군은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가높을수록 그리고 월경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월경 전증후군의 정도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월경전증후군 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와 스트레 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나아가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대상이 일부 지역 여대생으로 국한되어 있 어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지역이나 학교, 대상자를 달 리하고 규모를 확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 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월경전증후군의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 넷째,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 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 [1] Indusekhar, R., Usman, S. B., O'Brien, S., “Psychological asp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l, Vol.21, No.2, pp.207-220, 2007. DOI: http://dx.doi.org/10.1016/j.bpobgyn.2006.10.002
  • [2] Freeman, E. W.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definitions and diagnosis”, Psychoneuroendocrinology, Vol.28, No.3, pp.25-37,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306-4530(03)00099-4
  • [3] Woman Health Nursing Learning Communities Ed., “Woman Health Nursing”, Seoul : soomoonsa, 2012.
  • [4] Lauersen, N. H.,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The Nurse Practitioner, Vol.10, No.3, pp.11-17, 1985. DOI: http://dx.doi.org/10.1097/00006205-198503000-00003
  • [5] D. S. Choi,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1, pp.135-146, 2009.
  • [6] B. S. Jeong, C. Lee, J. H. Lee, M. K. Seo, O. S. Han, C. Y. Kim,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mong Korean college woma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0, No. 4, pp.551-558, 2001.
  • [7] M. J. Kim, Y. S. Nam, K. S. Oh, C. M. Lee, “Som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fluence of excercise, menarche, and age on PMS”, Korean Soc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11, No.2, pp.13-26, 2003.
  • [8] K. E. Park, S. E. Lee, “A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7, No.3, pp.359-372, 2001.
  • [9] M. A. Shin, M. H. J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 No.1, pp.43-51, 2006.
  • [10] H. J. Choi, “ The ralation of premenstrual symptom, hypochondriasis and menstrual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06.
  • [11] J. M. Park, “Female Worker'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Co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11.
  • [12] M. J. Kim, “A study of aerobic exercise and sports massage effect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03.
  • [13] E. M. Jeon, “Effects of SP-6 Acupressure on Dysmenorrhea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 [14] J. Kim,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ome high-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5.
  • [15] E. J. Lee, “ The Predictability of Psycho-sicial Factors on Premenstrual Change(PMC)”,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0.
  • [16] E. K. Jo,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 and Premenstrual Syndrome Level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gkwang University, Iksan, 2011.
  • [17] Sadler, C., Smith, H., Hammond, J., Bayly, R., Borland, S., Panay, N., et al., “Lifestyle factors, hormonal contraception, and premenstrual symptoms: The United Kingdom Southampton women's survey”, Journal of Women's Health, 19, pp.391-396, 2010. DOI: http://dx.doi.org/10.1089/jwh.2008.1210
  • [18] Winer, S. A., Rapkin, A. J., “Premenstrual disorders: Prevalence, etiology and impact”,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51, pp.339-347, 2006.
  • [19] M. A. Shin, “A structural model of premenstrual symptom in femal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05.
  • [20] S. H. Kim, J. H. Lee, “A Study on 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Nutritional Intake, Blood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Vol.10, No.5, pp.603-614, 2005.
  • [21] H. J. Lee, “Assoc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With Dietary Habits and Smoking in Females in Their 2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0.
  • [22] H. S. Lim, “Premenstrual syndrome status and Life 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0.
  • [23] S. H. Ahn, S. O. Lee, “A Study 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Related Fact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6, pp.221-2235, 2006.
  • [24] J. W. Park, J. S. kim, K. Y. Lee, T. J. Park, S. H. Kim,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9, pp.710-716, 2009. DOI: http://dx.doi.org/10.4082/kjfm.2009.30.9.710
  • [25] Statistics Korea. “Stress Degree(one ́s school life, 15 rating)”, 2010.
  • [26] K. K. Chon, K. H. Kim, J. S. Lee.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ical, Vol.5, No.2, pp.316-336, 2000.
  • [27] J. E. Kim, “College Women Students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Perception of Sex Roles and Pre and Postmenstrual Discomfor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ol.2, No.1, pp.55-69, 1992.
  • [28] M. R. Sung,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Emotion, Attitude and Coping Method of Menarche Experience of some Elementary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7.
  • [29] J. S. Kim, “The relation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attitude, neuroticism,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8.
  • [30] H. J. Choi, “The ralation of premenstrual symptom, hypochondriasis and menstrual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6.
  • [31] D. O. Yang, G. H. Youn,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6, No. 3, pp.37-48, 2001.
  • [32] K. K. Chon, K. H. Kim,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0, No.1, pp.137-158, 1991.
  • [33] J. Y. Lee, “A Study on the Psychosocial Factor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007.
  • [34] Brooks-Gunn, J., Ruble, D. N., “The menstrual attitude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Vol.12, No.5, pp.503-512. 1980.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8009000-00005
  • [35] Moos, R. H.,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Vol.30, No.6, pp.853-867, 1968.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6811000-00006
  • [36] H. O. Kim, S. W. Lim, H. Y. Woo, K. H. Kim,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Korean adolescent girl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51, No.11, pp.1322-1329, 2008.
  • [37] E. H. Lee, J. I. Kim, H. W. Kim, H. K. Lee, S. H. Lee, N. M. Kang, M. H. Hur, Y. S. Park, “ Dysmenorrhea and Menstrual Attitudes in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9, No.2, pp.105-112, 2003.
  • [38] J. Y. Kim, H. S. Ahn, “A Study of Nutritional Intakes, Food Preference and Blood Composi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Vol.13, No.4, pp.565-572, 2008.
  • [39] H. S. Lim, Y. S. Park,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 and Life-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Vol.16, No.3, pp.153-161, 2010.
  • [40] Deuster P. A., Adera T., South-Paul, J., “Bi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Archives of Family Medicine, Vol.8, No.2, pp.122-128, 1999. DOI: http://dx.doi.org/10.1001/archfami.8.2.122
  • [41] A. K. Ahn, “Job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of Staff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정 금 숙 ( G e u m - S o o k , J u n g ) [ 정회원] •2 0 1 3 년 5 월 :서남대학교 일반대 학원 간호학과 ( 간호학 박사 과정 중) •2 0 1 0 년 9 월 ~ 현재 :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관심분야> 여성건강간호, 보건의료법규오 현 미 ( H y u n - Mi , O h ) [ 정회원] •2 0 1 3 년 5 월 :서남대학교 일반대 학원 간호학과 ( 간호학 박사 과정 중) •2 0 1 0 년 9 월 ~ 현재 :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관심분야> 정신건강간호, 보건교육학 최 인 령 ( H y u n - Mi , O h )[ 정회원] 일반대 ( 간호학박사) 현재 : 서남대학교여성건강간호, 보건교육학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