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4.15.1.430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pp. 430-435, 2014
이호철 1* , 최영규 2 1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2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A Study on Integrated Group Control System for the Disabled Elevators
1 Department of Electronic & Electr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2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요 약
건물에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질 때 각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 고 승객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층에 카를 할당하는 제어를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라고 한다 . 그러나 장애인용 엘리베 이터는 3 대 이상이 군관리제어가 될 경우 어느 호기가 호출될지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장애인들의 편의를 보장하기 위하여 국내의 관련 기준에 따라 군관리방식이 제한되며 적용될 수 없다 . 본 논문에서는 개선방안으로서 일반 엘리베 이터와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통합한 군관리제어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기존의 분리된 운영방식과 비교하여 호출 후 대기시간 16.9 % 감소의 효율성을 검증해 보았고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선택적으로 독립운행이 되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검사기준과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 모두에 위배되지 않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통합 군관리제어 시스템임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하였다 .
Abstract When multiple elevator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control systems for each of the elevators,
upon
unit the verified Control
and assigning appropriate elevators to passengers However, the group control system of three or more laws and standards because it can not predict which plan, an integrated group control system of elevators for its efficiency that decreases 16.9 % of waiting time is group control systems. The proposed Integrated Group standards. Also its good performance is shown through
Key
The Disabled, Selected Separate Control
현재
인한 층에
출이 있을 때 복수개의 엘리베이터로부터 정보를 받아 해당 층 까지 이동 했을 때 시간비용, 공간비용, 에너지손 실 등이 가장 적은 엘리베이터를 찾기 위해 값들을 비교 한다[1].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발전과정을 보면, 1980년대 후반까지는 전문가 & 지식기반 시스템(Expert & Knowledge-based system)이 주를 이루었다. 이후 1990년
* Corresponding Author : Ho-Cheol Lee(Pusan Univ.) Tel: +82-10-2554-3710 email: hocheol2@kesi.or.kr Received September 30, 2013 Revised December 6, 2013 Accepted January 9, 2014
430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통합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 연구
대 초에 만들어진 퍼지 & 신경망(Fuzzy & Neural 군관리제어시스템의 목적은 에너지 효율은 물론이고 Networks) 제어 시스템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며, 모든 이용자들이 호출 층에서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해석적(Analytic Solution) 제어 현재 층에서 목적 층까지 최대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 시스템의 과정을 거쳐, 현재는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 시 도록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따라서 등록 스템이 널리 쓰이고 있다[2]. 된 승강장 호출신호를 중복된 서비스나 비효율적인 운행 보건복지부에 의하면 국내의 2011년 12월 말 기준 전 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 할 엘리베이터의 할당이 최 국에 등록된 장애인 수는 2,519,241명으로서 전체 인구의 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5% 정도이다[3]. 이는 미국의 12.1% (Erickson 등, 2010) 집적회로, 마이크로프로세스 등 복잡한 논리 및 산술 나 영국의 14 ~ 17% (Boyce 등, 1999), 유럽의 약 10 ~ 연산이 가능한 제어기의 발달로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 20% (Lena 등, 2010) [4] 보다는 낮지만 장애인 등록 수 기술이 계속 발전되어졌다. 이러한 군관리제어는 대기시 의 증가 추세와 인구의 노령화를 고려해 볼 때 장애인용 간을 최소화하는 할당방식으로 적용된다. 엘리베이터도 복수개의 승객용 엘리베이터와 함께 군관 현재의 예견 퍼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 시 리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도 필요한 스템은 복수개의 제어목적들을 평가하는 퍼지이론과 제 과제라 할 수 있다. 어결과를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제 국내의 「 승강기 검사기준 」 에서 장애인용 엘리베이 어방식이다. 현재 상태의 카 내 호출과 승강장 호출만 고 터 시설기준은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 장애인 . 노 려할 경우 새로운 승강장 호출 발생에 의하여 예측대기 인 .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 또는 「 교 시간과 실제 서비스 시간은 오차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 등 개별법령에서 규정하고 예측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최적제어를 이용한 엘리베이 있는 시설기준을 충족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로 규정 터 군관리는 카 내 호출과 승강장 호출에 의하여 파생될 하고 있다[5]. 각 층의 정지확률과 예상 전환 층을 연산하여 본인대기 그리고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식 적용 가능 시간, 타인대기시간, 예상 승강장호출 대기시간 차를 실 여부에 대한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지원과의 유권해석을 시간 예측한다. 보면 “군관리방식은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장애인전용엘 대표적인 예측연산의 본인대기시간 Tn 은 새로운 승 리베이터를 확보할 경우 허용할 수 있음. 다만, 승강기가 강장 호출에 의하여 할당된 n 호기가 서비스되기 위하여
소요되는 대기시간의 예측치 이며 다음과 같은 함수식으 로 나타낼 수 있다[7].
2대일 대가 버튼은 함. 3대
(1)
     ∙         ∙   
없고, 야 국내 우선
단, Tn 은 본인대기시간 예측치, fn 은 현재 층에서 호 출 층까지 주행할 층 수, Td 는 층간 주행 평균 시간, Cnm 은 m층에서 n호기가 정지할 확률, Ts 는 1개 층 정 지에 대한 평균지연시간이다.
본 터를 교하여
과 극대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제어시스템은 전문가의 지식에 기반을 두고 그 목적에 따라 제조사별로 다양하게 적용 될 수 있다.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배치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점 은 한 그룹에 5대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직선으로 배치하 면 두 끝 사이의 보행거리가 길고 방향신호등을 한 번에 보기에도 불편하다. 그러므로 직선배치는 4대 까지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는 4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에서 건물 2.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시스템 현황 용도의 건축허가 상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1대 이상 의 무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보건복지부 장애인권익위원회의
43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2014
시설기준 유권해석에 따라 의무 설치 대상인 장애인용       ∙   ∙      ∙   ∙    엘리베이터 1대는 독립적으로 운행을 하고 나머지 3대는 (2) 일반 승객용으로 설치하여 군관리제어시스템을 적용하거 나, 4대 모두를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로 설치하여 각각 독 단, Tt 은 100회 호출 누적 대기시간, fng 은 n대의 립적 운행을 하도록 하고 있다. group에서 할당된 호기가 현재 층에서 호출 층까지 주행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시설기준을 충족시키면서 좀 더 할 층 수, Td 는 층간 주행 평균 시간 (3초), Cg 는 군관 효율적인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으로, 평소 4대 모두를 리제어 호기가 할당 될 확률 (95 %), fms 는 m대의 독립 군관리제어하고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1대는 장애인에 의 운행 호기가 현재 층에서 호출 층까지의 주행할 층 수, 해 선택되었을 때만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방법을 새롭게 Cs 는 장애인용 호기가 할당 될 확률 (5 %) 이다. 제안한다. 경우 1은 4대 모두가 독립적으로 운행을 하는 경우로 서 Car 4대가 각각 랜덤한 위치에서 랜덤하게 호출된 호 3. 통합 군관리제어시스템 시뮬레이션 기가 주행할 층수를 fs로 한 함수 식,       ∙    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Fig. 1과 제안된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을 검증하고자 엘리베 같이 100회 호출 시 누적 대기시간은 3,030 초였다. 이터 4대를 일반 승객용 1, 2, 3호기와 장애인용 4호기로 하여 아래 Table 1과 같은 4가지의 경우로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그리고 전국에 등록된 장애인 수가 전체 인구의 5 % 라는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라 실제로 장애인의 호출 에 의해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4호기가 선택될 확률도 전 체 이용 빈도의 5 %로 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Table 1] The cases for simulations.
case 1
[Fig. 1] Simulation result of the case 1.
case 2
case 3
case 4
경우 2는 3대만 군관리제어하고 장애인용 1대는 독립 적인 운행을 하는 경우로서 현재의 시설기준에 의해 보 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며, 함수 식       ∙   ∙      ∙   ∙    의 시 뮬레이션 결과는 Fig. 2와 같이 100회 호출 시 누적 대기 시간은 1,608초로 나왔다.
는 와 도록 우 Table
[Fig. 2] Simulation result of the case 2.
에서 정지할 확률과 그 층에서의 정지지연시간은 동일한 값이므로 서로 상쇄시킨 대기시간 평가 함수 기본 식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432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통합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 연구
는 경우 2 보다는 경우 3의 대기시간이 작으며 효율의 차 도 작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경우 3은 제안하고자 하는 통합 군관리제어방식으로 평소에 4대를 군관리제어하다가 장애인 전용 호출이 있 을 경우에만 4호기가 독립적인 호출 서비스를 하는 경우 로서 함수 식,       ∙   ∙      ∙   ∙    의 시 뮬레이션 결과는 Fig. 3과 같이 100회 호출 시 누적 대기 시간은 1,260초로 나왔다.
[Fig. 5] Complied results of the 4 simulations.
4.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Fig. 3] Simulation result of the case 3.
경우 4는 모든 상황에서 4대 모두를 군관리제어하는 경우로서 함수 식,       ∙    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Fig. 4와
같이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해 보면 Table 2와 같이 엘리 베이터 4대를 모두 독립적으로 운행하는 경우 1의 누적 대기시간을 기준으로 볼 때 대기 율이 경우 2는 49.8 %, 경우 3은 41.4 %, 경우 4는 36. 1% 정도로 줄여질 수 있 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2를 기준으로 볼 때 대기 율은 경우 3이 83.1 %, 경우 4가 72.5 % 정도로
줄여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able 2] Analysis of simulation results.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umulative waiting 2,784 sec. 1,386 sec. 1,152 sec. 1,005 sec. time standby compared 49.8 % 41.4 % 36.1 % rate - compared 83.1 % 72.5 %
[Fig.
각각 우1 각
건을
실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빈도수에 대하 여 조사한 연구 사례는 아직 없지만 본 저자가 장애인용 엘리베이터가 의무 설치 장소인 공공시설 관리자들로부 터 확인한 바에 의하면 실제 장애인이 엘리베이터를 이 용하는 확률은 국내 전체인구의 장애인 등록 수 5 % 보 다 더 작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국내 규정에 따르는 기존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장애인용은 독립적 운행으로 분리하고 일반 승객용 호기
호출 할 확률 5 %를 포함한 100회 호출을 동시에 하였을 에만 군관리제어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2 보다는 본 논 경우 누적 대기시간을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결과는 Fig. 문에서 제안하는 경우 3의 흐름도 Fig. 6과 같이 승강장 5와 같이 다양한 조건 하에서도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 의 군관리제어용 호출버튼이 등록될 경우에는 일반 승객
43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2014
용과 장애인용이 모두 통합된 전체 호기들 중 군관리제 는 도착정보시스템을 작동시키면 도착 할 엘리베이터 쪽 어시스템에 의해 최적의 호출호기가 할당되어 운행되고, 으로 이동하는데 충분한 시간과 편의를 줄 수 있으며 엘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에 별도로 이중 설치된 장애인 전용 리베이터의 도착 후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더 호출 버튼의 신호가 들어왔을 경우에만 그 해당 호기가 높일 수 있다. 독립운전으로 운용되게 한다면 16.9 % ~ 27.5 % 까지 시 스템의 효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일반 엘리베이터와 장애인용 엘리베이 터를 통합한 군관리제어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기존의 분 리된 운영방식과 비교하여 효율성을 검증해 보았고, 장애 인용 엘리베이터는 선택적으로 독립운행이 되도록 함으 로써 승강기 검사기준과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 모두에 위배되지 않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통합 군 관리제어시스템임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하였 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가 향후 승강기 검사기준의 적용 방안 연구와 제조사의 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Fig. 6] Flow chart for case 3.
References
또한 작은 이용횟수 일지라도 장애인, 노인, 임산부, 교통약자 등의 이동 편의 증진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장애인용이 포함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군 관리제어시스템이 이러한 효율과 편의를 모두 충족하기
객용이 전용
Separate of the disabled order to
[Fig.
[1] Han-ul Yoon, Chang-hyun Park, and Kwee-bo Sim, "Design of Elevator Group Controller using Sorting Netwok," Proceedings of KFIS Conference Vol.14, 2004. [2] Young-Cheol Cho, Zavarin Gagov, and Wook-Hyun Kwon, "Elevator Group Control with Accurate Estimation of Hall Call Waiting Times,"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1-3. 1999. DOI: http://dx.doi.org/10.1109/ROBOT.1999.770018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able of the registered Disabled, 2011. [4] Jung-In Ku, Being-In Kim, and Yong-Seok Kim, “A simulation study on the evacuation in a high-rising building with consideration of residents with disabilities”, KIIE, 2012. [5]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Standards of Elevator Inspection, 2012.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Division of Rights Promo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1193, 2034”, 2010. [7] Don Choi, Hee-Chul Park, and Kang-Bang Woo, "A Study on Predictive Fuzzy Control Algorithm for Elevator Group Supervisory System," KIEE, Vol. 43, 1994.
더불어 지체부자유자와 시각 장애인들은 물론이고 이 용자들에게 미리 도착정보를 영상과 음성신호로 알려주
434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통합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 연구
이 호 철 (Ho-Cheol Lee)
[정회원]
• 1992년 2월 : 동아대학교 전자공 학과 학사 • 2011년 8월 : 경상대학교 산업대 학원 제어계측공학과 석사 • 2012년 3월 ~ 현재 : 부산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 1993년 1월 ~ 현재 : 한국승강 기안전관리원 경남지원 팀장
<관심분야> 엘리베이터 제어계측, 제어시스템, 승강기 검사기준 등
최 영 규 (Young-Kiu Choi)
[정회원]
• 1980년 2월 : 서울대학교 전기공 학과 공학사 • 1982년 2월 : 한국과학기술원 전 기 . 전자제어 공학석사 • 1987년 2월 : 한국과학기술원 전 기 . 전자제어 공학박사 • 1986년 3월 ~ 현재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교수
435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통합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 연구

Ho-Cheol Lee1*, Young-Kiu Choi2

Abstract

reducing energy loss by elimination of unnecessary movements request are called the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elevators for the Disabled is being limited by the domestic will be called. In this paper, as an improvement general passengers and the disabled is proposed; with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separate System does not violate the domestic laws and computer simulations.
Words : Elevator, Integrated Group Control System,
1. 서 론
대부분의 고층 건물에는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진다. 이때 각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으로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승객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카를 할당하는 제어를 “엘리베이터 군관리제어 (Elevator Group Control)” 라 한다. 즉 임의의 층에서 호
1개만
경우 군관리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승강기 두 모두에 장애인용 승강기 기준을 충족해야 함. 호출 두 대의 승강기 중앙에 설치해도 허용 가능 이상의 승강기를 운행할 때는 어느 승강기가 호 출될지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군관리방식을 적용할 수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를 독립적으로 전 층 운행해 함.”으로 되어있다[6]. 따라서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법률에 의해 효율성 보다는 장애인의 편의증진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와 통합된 군관리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 논문에서는 일반 엘리베이터와 장애인용 엘리베이 통합한 군관리제어를 기존의 분리된 운영방식과 비 효율성을 비교해 보고,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선 택적으로 독립운행이 되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검사기준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 모두에 위배되지 않고 효율을 할 수 있는 개선된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통합 군관리제어시스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Cases for Simulation of 4 cars Four cars are assigned independently by each separate system. Three cars are assigned by group control system and another one car is assigned independently by separate system for the disabled (general case). Four cars are usually assigned by group control system and the one car of them is assigned independently to the disabled upon request as 5 % probability (proposed case). Four cars are always assigned by group control system.
시뮬레이션 조건은 건물의 1층에서 20층까지 운행하 엘리베이터 4대 즉 일반 승객용 Car 1, Car 2, Car 3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Car 4를 매회 랜덤하게 위치하 하고 기준층에서 호출 신호가 100회 발생하였을 경 1과 같이 4가지 상황에서 MAT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기시간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따른 상호 효율성 비교에서는 기타 층
100회 호출 시 누적 대기시간은 1,062초로 나왔다.
4] Simulation result of the case 4.
시뮬레이션 한 결과, 경우 4, 경우 3, 경우 2, 경 순으로 누적대기시간이 작았다. 4가지 경우의 시스템 효율을 다시 동일조건에서 비 교분석해 보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4대의 위치는 랜덤 조 동일하게 두고 각 경우에서 기준층에서의 장애인이
위해서는 Fig. 7과 같이 승강장에는 장애인용과 일반 승 통합 군관리제어되어 호출되는 버턴과 장애인용 호출버턴이 이중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installation example Double installation example of call buttons for the the call buttons for the and passengers in disabled and passengers in independent service. order to group control system.
7] Example of efficient group control system for the disabled.
<관심분야> 로봇제어, 지능제어, 신경회로망 등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