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819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pp. 2819-2827, 2013
이재홍 1 , 권원안 1 , 이진환 2* , 민동기 3 1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2 강병원, 3 계명대학교 의학대학원
An Investigation of Selection and Transfer Factors on the Admission of Rehabilitation Hospital
2 Dept. of exercise therapy in Kang's hospital 3 Dept. of medical graduate school, Kemyong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신경계 재활전문병원의 이탈환자에 대한 환경적 요인과 의료적 요인에 관해서 조사하는 것이다 . 대상자는 107 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그 결과 첫째 , 일반적 병원선택에서는 추천이 35.5%, 환경적 불만족 요인에는 병원시설이 37.4%, 병원 선택인에는 지인이 23.4% 로 장 높게 나타났다 . 둘째 , 전문성 , 친절성 및 설명성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그룹은 간 병사 그룹이고 만족도가 가장 높은 그룹은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그룹으로 나타났다 . 셋째 , 원무 ( 행정 ) 절차 , 진료 절차 , 대기시간 및 의료비용에 관한 만족도는 모두 ‘ 보통 ’ 의 선택 안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 결론적으로 환경적 불만족 요인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병원시설은 신경계전문병원의 수가 적어서 환자의 밀집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여 환자이탈의 요소로 간주될 수 있고 , 의료적 불만족 요인에서는 환자와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간병사 (care worker) 에 대한 만족도 ( 전문성 , 친절성 , 설명성 ) 가 가장 낮아서 환자 이탈의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간병사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와 불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병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Abstract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and the medical factors of prematurely discharged patients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The subjects were 107 in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9.0 program. In result, Firstly, general selection of hospitals was the ‘Recommendation‘ 35.5%, Environmental dissatisfaction factors are Hospital facilities 37.4%. Hospital choice is the highest 'Acquaintances' 23.4%. Second, the lowest group about professionalism, kindness, and description of explanation on satisfaction in survey is group of care workers for the sick. The highest group is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 Third, the satisfaction regarding medical procedures of administrative work, waiting time and medical expenses is the highest normal. Hospital facilities in one of the highest factors in environmental dissatisfaction is can be considered as an element of patient departure because of not much number of nervous special hospitals. Medical dissatisfaction factors is the lowest satisfaction of care worker even if those spend much time. this is the focus leaving hospital. Therefore, factors care workers on servic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analysis and problem solving is considered that the ne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care workers
Key Words : Selection, Transfer, Admission, Rehabilitation.
* Corresponding Author : Lee-Jin Hwan (Kang's hospital) Tel : +82-10-3191-2505 email: poohpt@hanmail.net Received April 19, 2013 Revised (1st May 13, 2013, 2nd June 4, 2013)
Accepted June 7, 2013
28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2013
1. 서론
2. 연구방법
오늘날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의뢰인(환자)은 사회경제 2.1 조사대상 의 발달로 인해 생활수준과 교육수준이 향상되고 다양한 본 연구는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5일까지 대구시 정보매개체를 통해 의료에 대한 정보의 수집능력이 증가 북구에 소재한 신경계 전문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되고 전문 의료기관도 증가되고 있다[1,2]. 따라서 환자가 전원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환경적 요인과 의료적 요인을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져서 의료기관을 분석하여 이탈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설문지에 대해 산전 이용하는 소비자 위주의 시장구조로 변경되고 있어 병원 교육이 되어 있는 10명의 면접원이 조사대상 병원을 직 경영에도 의뢰인중심, 환자중심의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 접 방문하여 설문에 동의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를 다[3]. 이를 위해서는 환자가 어떤 동기 또는 기준을 가지 대상으로 예비조사 후 작성된 설문지를 총 120부를 배부
고 의료기관을 찾는지를
일관성이 없거나 불성실하다
료소비자의 의도와 행동을 이해하여 고객만족과 신뢰를 고 판단되는 13부를 제외하고 총 107부를 대상으로 분석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의 이탈을 방 하였다. 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의뢰인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병 원의 재이용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신규 의뢰인의 발생을 2.2 연구도구 유도할 수 있다[5]. 신경계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박효순 등, 서연식 등, 김은옥 재활전문병원의 경우에는 치료사뿐만 아니라 간병사의 과 조순연, 배성권 등에서 사용된 설문지[2,4,8,10]를 검 역할도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어 이를 토,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포함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병사는 병원에서의 조사내용에는 일반적 특성 10문항, 병원선택의 전반적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 1문항, 병원선택의 환경적 요인 3문항, 의료관계자 는 신경계 환자의 서비스의 만족수준에 미치는 요소를 의 서비스 품질 15문항, 의료서비스품질 4문항 총 23문항 파악하기 위한 분석의 요소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간 이 포함되었다. 만족도 조사에서 ‘매우 불만족’은 0점, 병사는 주로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상호간의 문제점이 ‘보통 불만족’은 1점, ‘보통’은 2점, ‘보통 만족’은 3점, 나 병의료적 서비스를 담당하는 중간자의 역할을 하며 ‘매우 만족’은 4점으로 측정하였다. 가정과 병원에서 담당 의사에게 필요한 제반사항을 도와 주거나,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 시행되는 여러 가지 진단 2.3 자료분석방법 과 치료에 필요한 각종 검사물 수집에 협조하고 환자에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7.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 게 시행한 일체의 사항을 간호사에게 보고한다[6]. 따라 리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병원선택의 전반 서 간병사도 병원의 의료적 서비스에 상당부분을 기여하 적 요인, 병원선택의 환경적 요인, 병원선택의 의료적 요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간병사에 대한 연구가 인 은 기술적 통계를 사용하였다. 의료적 요인에서 집단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의사와 간호사만을 대 간의 차이를 보기위해 one-way ANOVA 분석을 하였으 상으로 조사한 연구가 대부분이다[4,7,8]. 또한 치료사와 며 사후분석은 LSD와 DUNCAN을 이용하여 처리하였 환자간의 연구도 최근에 발표된 방상분과 이용석의 연구 [9]이외에는 조사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 다. 통계학적 유의수준 α=0.05로 설정하였다. 구는 이탈환자를 대상으로 환경적요인과 치료사와 간병 사를 포함한 의료적 요인을 분석하여 환자에게 최상의 만족도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환자의 이탈을 방지하여 3. 연구 결과 의료기관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고 유지하여 병원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것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이를 위한 환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경적 요인의 분석에서는 불만족 요인, 만족요인, 병원 선 조사 대상자 107명은 이전에 다른 병원에서 치료를 받 택인에 관한 요인을 분석하고 의료적 요인에서는 의료관 고 현재의 병원으로 내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계자에 대한 요인과 행정원무와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고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결 분석하고자 한다. 혼, 학력, 수입정도, 부양가족, 내원 전의 병원, 내원 교통 수단, 보험의 종류, 현재 거주 지역으로 분류하여 조사하 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에서는 남
2820
재활병원 입원 시 선택 및 전원 요인 조사
성이 60(56.1)명, 여성이 47(43.9)명이고, 연령은 21-30세 산재보험이 3(2.8)명, 자동차보험이 3(2.8)명, 생명보험이 가 10(9.3)명, 31-40세가 13(12.1)명, 41-50세가 26(24.3) 13(12.1)명, 일반이 5(4.7)명, 기타가 12(11.2)명이고, 거주 명, 51-60세가 36(33.6)명, 60세 이상이 22(20.6)명으로 나 하고 있는 지역은 동구가 8(7.5)명, 서구가 18(16.8)명, 남구 타났다. 결혼의 여부는 미혼이 17(15.9)명, 결혼이 가 3(2.8)명, 북구가 50(46.8)명, 달서구가 5(4.7)명, 수성구 79(73.8)명, 사별이 6(5.6)명, 이혼이 5(4.7)명이고, 학력에 가 3(2.8)명, 기타가 20(18.7)명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서는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14(13.1)명, 중학교 졸업이 14(13.1)명, 고등학교 졸업이 48(44.9)명, 대학교 졸업이 3.2. 병원선택의 환경적 요인과 의료적 요인에 31(29.0)명으로 조사되었다. 월평균 수입은 100만원 미만 대한 분석 이 26(24.3)명, 101-200만원이 23(21.5)명, 201-300만원이 3.2.1 병원선택의 전반적인 요인 34(31.8)명, 300만원 이상이 24(22.4)명이고, 경제적으로 조사대상자가 신규 병원을 선택하게 된 전반적인 요인
도움을 주는 부양가족은 가 6(5.6)명, 자녀가
직원, 치료 비용, 인터
넷 검색, 추천(지인, 타병원), 지인근무, 현대적 시설, 기 가 28(26.2)명, 기타가 11(10.3)명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타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항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병원을 입원하기 전에 입원한 병원의 형태는 대학병원이 같다. 59(55.1)명, 준종합병원이 19(17.8)명, 정형계 전문병원이 분석결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요인부터 나열하면, 2(1.9)명, 신경계 전문병원이 16(15.0)명, 기타가 11(10.3) ‘추천’이 38(35.5)명, ‘의료진과 직원’이 18(16.8)명, ‘이동 명이고, 내원 교통수단은 자가용이 45(42.1)명, 대중교통 성’이 16(15.0)명, ‘기타’가 15(14.0)명, ‘현대적 시설’이 이 26(24.3)명, 구급차가 19(17.8)명, 기타가 17(15.9)명으 9(8.4)명, ‘인터넷 검색’이 5(4.7)명, ‘지인근무’가 4(3.7)명 로 조사되었다. 현재 가입하거나 혜택 받고 있는 보험의 그리고 ‘치료비용’이 2(1.9)명으로 나타났다[Table 2]. 유형은 의료보험이 60(56.1)명, 의료보호가 11(10.3)명,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Unit : n(%) Male Female Gender 60(56.1) 47(43.9) 0-20 21-30 31-40 41-50 51-60 60- Age(yr) 0(0) 10(9.3) 13(12.1) 26(24.3) 36(33.6) 22(20.6) Unmarried Married Bereavement Divorce Etc. Marriage 17(15.9) 79(73.8) 6(5.6) 5(4.7) 0(0) A graduate A graduate A graduate A graduate A graduate Scholarship in Elementary in Middle in High in college in graduate 14(13.1) 14(13.1) 48(44.9) 31(29.0) 0(0) Less than 100 101-200 201-300 More than 300 Income(만원) 26(24.3) 23(21.5) 34(31.8) 24(22.4) Spouse Brother Chileren Parent Oneself Etc. Dependent 30(28.0) 6(5.6) 20(18.7) 12(11.2) 28(26.2) 11(10.3) general osteopedic neurorogicla Previous hospital Etc. hospital clinic clinic hospital 59(55.1) 19(17.8) 2(1.9) 16(15.0) 11(10.3) Means of Car Subway public transit Walk ambulance Etc. arrival 45(42.1) 0(0) 26(24.3) 0(0) 19(17.8) 17(15.9) Occupational medical medical care health automobile insurance life insurance general insurance Etc. Insurance insurance insurance 60(56.1) 11(10.3) 3(2.8) 3(2.8) 13(12.1) 5(4.7) 12(11.2) Residential North district West district South district North district Dalseo district Suseong district Etc. district 8(7.5) 18(16.8) 3(2.8) 50(46.8) 5(4.7) 3(2.8) 20(18.7)
[Table 2] General Factors of Hospital Choice Factor Movement Member of the hospital Cost n(%) 16(15.0) 18(16.8) 2(1.9)
Unit : n(%) Internet Mordern Recommend Acquaintance work Etc. search facilities 5(4.7) 38(35.5) 4(3.7) 9(8.4) 15(14.0)
28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2013
3.2.2 병원선택의 환경적 요인 작업치료사, 간병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환경적 요인에 대한 분석은 ‘기존병원에 대한 불만족 과 같다. 전문성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선택안을 보 요인’, ‘현재 병원의 만족요인’ 그리고 ‘현재 병원의 선택 면 의사는 보통이 33.6%, 간호사는 보통이 36.4%, 물리 에 영향을 준 사람’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기존 병원에 치료사는 매우만족이 39.3%, 작업치료사는 보통만족이 대한 불만족 요인’은 ‘병원시설’이 40(37.4)명, ‘기타’가 36.4% 그리고 간병사는 보통이 42.1%로 나타났다. 평균± 32(29.9)명, ‘접근성(이동성)’이 26(24.3)명, 주차시설이 표준편차가 가장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물리치료사, 작업 9(8.4)명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재 병원에 대한 만족 요 치료사, 간호사, 의사, 간병사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친절 인’은 ‘병원시설’이 46(43.0)명, ‘접근성(이동성)’이 성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선택안을 보면 의사는 보통 39(36.4)명, ‘기타’가 16(15.0)명 그리고 ‘주차시설’이 이 40.2%, 간호사는 보통이 33.6%, 물리치료사는 매우만 6(5.6)명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병원의 선택에 영향 족이 38.3%, 작업치료사는 보통 만족이 34.6% 그리고 간
을 준 사람’은 ‘지인’이
평균±표준편차가 가장 작업치료사, 간호사,
18(16.8)명, ‘배우자’가 18(16.8)명, ‘본인’이 17(15.9)명, ’ 기타‘가 8(7.5)명, ’친구‘가 7(6.5)명, ’형제‘가 6(5.6)명, ’ 의사, 간병사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설명성에 가장 높은 친지‘가 5(4.7)명 그리고 ’부모‘가 3(2.8)명의 순으로 나타 빈도를 보인 선택안을 보면 의사는 보통이 33.6%, 간호 났다[Table 3]. 사는 보통이 38.3%, 물리치료사는 보통만족이 41.1%, 작 업치료사는 보통 만족이 41.1% 그리고 간병사는 보통이 3.2.3 병원선택의 의료적 요인 43%로 나타났다. 평균±표준편차가 가장 높은 순 으로 나 (1) 의료관계자의 서비스 품질 열하면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간호사, 의사, 간병사의 의료관계자의 서비스품질은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순으로 조사되었다.[Table 4]
[Table 3] Environmental Factors of Hospital Choice Unit : n(%) Hospital Parking Accessibility Etc. Dissatisfy facilities facilities 26(24.3) 40(37.4) 9(8.4) 32(29.9) Hospital Parking Accessibility Etc. Satisfy facilities facilities 39(36.4) 46(43.0) 6(5.6) 16(15.0) Oneself Spouse Parent Brother Freind Relative Other hospital Acquaintance Etc. Chooser 17(15.9) 18(16.8) 3(2.8) 6(5.6) 7(6.5) 5(4.7) 18(16.8) 25(23.4) 8(7.5)
Very Satisfy 11(10.3) 19(17.8) 42(39.3) 34(31.8) 8(7.5) 19(17.8) 26(24.3) 41(38.3) 35(32.7) 9(8.4) 17(15.9) 21(19.6) 33(30.8) 30(28.0) 7(6.5)
Mean±S.D 2.084±1.133 2.514±1.012 3.074±0.918 2.925±0.948 1.672±1.163 2.289±1.132 2.607±1.070 3.046±0.915 2.925±0.958 1.785±1.173 2.018±2.467 2.230±2.648 2.814±3.147 2.734±3.078 1.533±1.961
[Table 4]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on Medical Personnels Common Common Quality Section Very Dissatisfy Common Dissatisfy Satisfy M.D 11(11.3) 20(18.7) 36(33.6) 29(27.1) Nurse 4(3.7) 10(9.3) 39(36.4) 35(32.7) Speciality P.T 1(0.9) 4(3.7) 23(21.5) 37(34.6) O.T 2(1.9) 4(3.7) 28(26.2) 39(36.4) Caregiver 23(21.5) 18(16.8) 45(42.1) 13(12.1) M.D 8(7.5) 14(13.1) 43(40.2) 23(21.5) Nurse 4(3.7) 10(9.3) 36(33.6) 31(29.0) Kindness P.T 1(0.9) 3(2.8) 27(25.2) 35(32.7) O.T 2(1.9) 4(3.7) 29(27.1) 37(34.6) Caregiver 20(18.7) 18(16.8) 43(40.2) 17(15.9) M.D 10(9.3) 16(15.0) 36(33.6) 28(26.2) Nurse 6(5.6) 11(10.3) 41(38.3) 28(26.2) Explanation P.T 1(0.9) 3(2.8) 26(24.3) 44(41.1) O.T 1(0.9) 5(4.7) 27(25.2) 44(41.1) Caregiver 19(17.8) 19(17.8) 46(43.0) 16(15.0) M.D : Medical Doctor P.T : Physical Therapist
2822
재활병원 입원 시 선택 및 전원 요인 조사
(2) 의료의 서비스품질 사 및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간병사는 통계학 의료의 서비스 품질은 원무절차, 진료절차, 대기시간, 적으로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 음의 의료비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 평균차를 보였다[Table 7]. 다중비교를 통한 친절성의 사 다. 원무절차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한 선택안 보통 후분석(LSD)을 보면 의사는 통계학적으로 간호사, 물리 이 51.4%, 진료절차는 보통이 57%, 대기시간은 보통이 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 음의 평균차를 보였고 간병사와 55.1% 그리고 의료비용은 보통이 54.2%로 나타났으며 는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간호사는 통계학적으로 의사, 평균±표준편차가 가장 높은 항목부터 나열하면 대기시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였고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 간, 진료절차, 원무절차, 의료비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와는 음의 평균차를 보였다. 물리치료사는 작업치료사 [Table 5]. 를 제외하고 통계학적으로 의사,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였고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는 음의 평균차를 보
(3) 의료진 1) 만족도에 대한
제외하고 통계학적으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작업
전문성, 친절성, 설명성에 대한 의료관계자의 만족도 치료사는 물리치료사를 제외하고 통계학적으로 의사, 간 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성, 친절성 및 설명성에 대 호사 및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간병사는 통계 한 만족도를 그룹-간 비교를 통해 분석해보면 모두 통계 학적으로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 음 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의 평균차를 보였다[Table 8]. 다중비교를 통한 설명성의 사후분석(LSD)을 보면 의사는 통계학적으로 물리치료사 2) 만족도 차이에 대한 LSD와 Duncan의 사후분석 및 작업치료사와 음의 평균차를 보였고 간병사와는 양의 다중비교를 통한 전문성의 사후분석(LSD)을 보면 의 평균차를 보였다. 간호사는 통계학적으로 간병사와 양의 사는 통계학적으로 간호사,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 평균차를 보였고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는 음의 평 음의 평균차를 보였고 간병사와는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균차를 보였다. 물리치료사는 작업치료사를 제외하고 통 간호사는 통계학적으로 의사,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 계학적으로 의사, 간호사 및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 였고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와는 음의 평균차를 보였 였다. 작업치료사는 물리치료사를 제외하고 통계학적으 다. 물리치료사는 작업치료사를 제외하고 통계학적으로 로 의사, 간호사 및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간병 의사, 간호사 및 간병사와 양의 평균차를 보였다. 작업치 사는 통계학적으로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 료사는 물리치료사를 제외하고 통계학적으로 의사, 간호 료사와 음의 평균차를 보였다[Table 9]. Duncan의 사후분
[Table 5]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on Medical Services Very Dissatisfy Common Dissatisfy Common Common Satisfy Very Satisfy Mean±S.D Administration Procedure 7(6.5) 15(14.0) 55(51.4) 19(17.8) 11(10.3) 2.112±0.993 Treat Procedure 8(7.5) 8(7.5) 61(57.0) 22(20.6) 8(7.5) 2.130±0.932 Waiting time 6(5.6) 12(11.2) 59(55.1) 20(18.7) 10(9.3) 2.149±0.939 Medical cost 7(6.5) 16(15.0) 58(54.2) 21(19.6) 5(4.7) 2.009±0.895
[Table 6] ANOVA on Expertise, Kindness and Explanation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s Sum of Squres df Average of Squares F Significance probability Between Groups 145.301 4 36.325 33.580 .000 Speciality Within Groups 573.327 530 1.082 Total 718.628 534 Between Groups 111.484 4 27.871 25.047 .000 Kindness Within Groups 589.757 530 1.113 Total 701.241 534 Between Groups 109.787 4 27.447 25.554 .000 Explanation Within Groups 569.252 530 1.074 Total 679.039 534
28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2013
.601 -.155 -.034 1.105 1.040
.722
.404
M.D .317(*) .144 .028 .034 Nurse P.T -.439(*) .144 .002 -.722 O.T -.317(*) .144 .028 -.601 Caregiver .822(*) .144 .000 .539 M.D .757(*) .144 .000 .473 Physical Nurse .439(*) .144 .002 .155 Therapist (P.T) O.T .121 .144 .400 -.161 Caregiver 1.261(*) .144 .000 .978
1.545
.918
석을 통해 동종 부집단을 비교해보면, 전문성에서는 작업 치료사와 물리치료사가 동종 집단군에 있으므로 유의하 지 않다고 할 수 있고 이외는 모두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으며 친절성에서도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 사가 동종 집단군에 있으므로 유의하지 않다고 할 수 있 고 이외는 모두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그 리고 설명성에서는 의사와 간호사가 동종집단군에 있고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가 동종 집단군에 있어 각각 차 이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세 집단군이 설명성에 통계학 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10].
.601
M.D .635(*) .144 .000 .352 Occupatio nal Nurse .317(*) .144 .028 .034
.144 .400 -.404
.161
Caregiver 1.140(*) .144 .000 .856
1.423
M.D -.504(*) .144 .001 -.788
-.221
-.539
Nurse -.822(*) .144 .000 -1.10 Caregiver P.T -1.261(*) .144 .000 -1.54
-.978
O.T -1.140(*) .144 .000 -1.42
-.856
[Table 7] Multiple Comparisons on Expertise through Post-hoc Tests(LSD) 95% Confidence (I) (J) Change Standar Interval Values p Group Group (I-J) d Error Lower Upper Bounding Bounding Nurse -.429(*) .142 .003 -.709 -.150 Medical P.T -.990(*) .142 .000 -1.27 -.711 Doctor (M.D) O.T -.841(*) .142 .000 -1.12 -.561 Caregiver .411(*) .142 .004 .131 .690 M.D .429(*) .142 .003 .150 .709 P.T -.560(*) .142 .000 -.840 -.281 Nurse O.T -.411(*) .142 .004 -.690 -.131 Caregiver .841(*) .142 .000 .561 1.120 M.D .990(*) .142 .000 .711 1.270 L Physical Nurse .560(*) .142 .000 .281 .840 Therapist S (P.T) O.T .149 .142 .293 -.129 .428 D Caregiver 1.401(*) .142 .000 1.122 1.681 Occupa M.D .841(*) .142 .000 .561 1.120 tional Nurse .411(*) .142 .004 .131 .690 Therapist P.T -.149 .142 .293 -.428 .129 (O.T) Caregiver 1.252(*) .142 .000 .973 1.531 M.D -.411(*) .142 .004 -.690 -.131 Nurse -.841(*) .142 .000 -1.12 -.561 Caregiver -1.401( P.T .142 .000 -1.68 -1.122 *) O.T -1.252(*) .000 -1.53 -.973
[Table 8] Multiple Comparisons on Kindness through Post-hoc Tests(LSD) 95% Confidence Change Stand (I) Interval (J) Group Values ard p Group Lower Upper (I-J) Error Bounding Bounding Nurse -.317(*) .144 .028 -.601 -.034
-.473
-.352
Medical P.T -.757(*) .144 .000 -1.04 L S Doctor O.T -.635(*) .144 .000 -.918 (M.D) D Caregiver .504(*) .144 .001 .221
.788
[Table 9] Multiple Comparisons on Explanation through Post-hoc Tests(LSD) 95% Confidence (I) (J) Change Standard Interval Values p Group Group (I-J) Error Lower Upper Bounding Bounding Nurse -.196 .141 .167 -.474 .0821 Medical P.T -.738(*) .141 .000 -1.01 -.460 Doctor (M.D) O.T -.663(*) .141 .000 -.941 -.385 Caregiver .495(*) .141 .001 .217 .773 M.D .196 .141 .167 -.082 .474 P.T -.542(*) .141 .000 -.820 -.263 Nurse O.T -.467(*) .141 .001 -.745 -.188 Caregiver .691(*) .141 .000 .413 .969 M.D .738(*) .141 .000 .460 1.016 L Physical Nurse .542(*) .141 .000 .263 .820 S Therapist D (P.T) O.T .074 .141 .598 -.203 .353 Caregiver 1.233(*) .141 .000 .955 1.512 M.D .663(*) .141 .000 .385 .941 Occupati onal Nurse .467(*) .141 .001 .188 .745 Therapist P.T -.074 .141 .598 -.353 .203 (O.T) Caregiver 1.158(*) .141 .000 .880 1.437 M.D -.495(*) .141 .001 -.773 -.217 Nurse -.691(*) .141 .000 -.969 -.413 Caregiver P.T -1.233(*) .141 .000 -1.512 -.955 O.T -1.158(*) .141 .000 -1.437 -.880
2824
재활병원 입원 시 선택 및 전원 요인 조사
의 연구에 의하면 입원환자의 40%가 거주지와 거리가 가까워서 방문 또는 이용하게 되었다고 언급하였고 다음 으로는 의료진과 시설이 좋아서가 33.3%를 차지하였다 [11]. 본 연구에서 환경적 요인에 관한 분석을 보면 ‘기존 병원에 대한 불만족 요인’은 ‘병원시설’이 40(37.4)명, ‘기 타’가 32(29.9)명, ‘접근성(이동성)’이 26(24.3)명, 주차시 설이 9(8.4)명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재 병원에 대한 만족 요인’은 ‘병원시설’이 46(43.0)명, ‘접근성(이동성)’이 39(36.4)명, ‘기타’가 16(15.0)명 그리고 ‘주차시설’이 6(5.6)명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병원시설뿐만 의
[Table 10] Comparisons on the Homogeneous Subsets through Post-hoc Analysis(Duncan) Sub-group about p = .05 Group N 1 2 3 4 Caregiver 107 1.672 M.D 107 2.084 Nurse 107 2.514 Speciality O.T 107 2.925 P.T 107 3.074 p 1.000 1.000 1.000 .293 Caregiver 107 1.785 M.D 107 2.289
Nurse 107 Kindness O.T 107
중요한 만족의 요인임을 거주 지역을 분석해 보
2.925 P.T 107 3.046 면 동구가 7.5%, 서구가 16.8%, 남구가 2.8%명, 북구가 p 1.000 1.000 1.000 .400 46.8%, 달서구가 4.7%, 수성구가 2.8%, 대구이외의 지역 Caregiver 107 1.747 이 18.7%명으로 조사되어 의료기관과 가까운 북구가 월 M.D 107 2.243 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Explanation Nurse 107 2.439 에서 ‘현재 병원의 선택에 영향을 준 사람’은 ‘지인’이 O.T 107 2.906 25(23.4)명, ‘타병원의 추천’이 18(16.8)명, ‘배우자’가 P.T 107 2.981 18(16.8)명, ‘본인’이 17(15.9)명, ’기타‘가 8(7.5)명, ’친구 p 1.000 .167 .598 ‘가 7(6.5)명, ’형제‘가 6(5.6)명, ’친지‘가 5(4.7)명 그리고 ’부모‘가 3(2.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본인의 판 단보다 타인의 추천에 의해 선택을 결정한다는 의미이다. 4. 고 찰 이렇듯 고객만족과 타인추천의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의료기술과 전문성이며 특정질환을 전문적 본 연구는 대구시 북구에 위치하고 있는 신경계전문병 으로 진료하는 병원을 이용하는 의뢰인은 대학병원만큼 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전에 다른 병원에서 치료를 의 진료수준과 전문성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고객과의 받고 현재의 병원으로 입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107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여 환자이탈의 요소를 분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병원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홍보하고 의료기술을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석하였다. [12].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및 간병사를 병원의 선택이유에 관해 연구한 선연옥 등에 의하면 ‘의료진이 좋아서’가 42%, ‘다른 사람의 추천’이 25.8%, 대상으로 전문성, 친절성 및 설명성을 평가한 결과, 물리 ‘교통이 좋아서’가 11.7%, ‘기타’가 10.7%, ‘건물이 깨끗 치료사와 작업치료사가 동종 부집단으로 모든 요인에서 해서’가 3.4%, ‘인터넷검색’이 3.4%, ‘직원 가족이어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여 타 그룹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가 2.1%로 나타났다[3].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추천’이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전문성, 친절성 및 설명성 모두에 35.5%, ‘의료진과 직원’이 16.8%, ‘이동성(교통)’이 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 그룹은 간병사로 나타나 불만 15.0% ‘기타’가 14.0%, ‘현대적 시설’이 8.4%, ‘인터넷 검 족 요인의 하나로 조사되었다. 환자와 밀착되어 장시간을 색’이 4.7%, ‘지인근무’가 3.7% 그리고 ‘치료비용’이 간병하는 간병사의 직무만족도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1.9%로 나타났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은 선행연구에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환자가 느끼는 간병사에 대 서는 입원한지 3일이 경과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 한 만족도는 4점 만점을 기준으로 1.6729±1.16373, 친절성 에서 1.7850±1.17383 그리고 설명성에서 1.5336±1.9617로 를 시행하였기 때문이고 본 연구는 이전에 입원 경험이 나타났다. 하지만 간병사가 대구에 소재한 노인전문병원 있고 신경계질환으로 장기간의 입원경험이 있는 환자의 에서 느끼는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3.47점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13], 구영숙의 연구[14]에서는 3.99로 나타나 서로의 입 의 선택이유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한 것은‘의료진’뿐 만 아니라 ‘추천’과 ‘교통(이동성)’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 장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에서 실 시한 기관은 신경계재활병원이고 환자가 간병사에 대해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의 만족도를 연구한 김슬기 등 느끼는 만족도이고 이경숙이 연구[13]한 기관은 노인전
282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2013
문병원이고 간병사 스스로 느끼는 직무에 대한 만족도이 References 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경계재활병원에서 간병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할 수 [1] Kyung-Ja Ji, Chun-Man Park, Jong-Ryol Lee. A 있다. 왜냐하면 직무만족도가 낮은 사람일수록 직무 환경 Study of the Effects upon Satisfaction, Intention to 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되고 기업의 성과와 생산 Revisit and Perceived Value by Patients through the 성의 향상에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동 Quality of Medical Services - Focused on Specialized 기부여를 제공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해야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Korean Public Health 한다[15]. 의료의 서비스품질은 원무절차, 진료절차, 대기 Research, Vol. 37, No. 2, pp.41~56, 2011. [2] Yeon-Sik Seo, Moo-Sik Lee, Ji-Young Hong, 시간 및 의료비용에 관한 네가지 항목에 관하여 분석하 Seok-Hwan Bae, In Sook Yoo. Contents Analysis on 였으며 네가지 항목 모두 ‘보통’의 선택안이 가장 높은 the Characteristic and Related Factors of Customers
분포를 보였다. 육체적으로 불편한 자는 기다리는 시간이 더욱
Hospital.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pp.322-325, 2009. 을 유발시키고 의료서비스품질 및 재이용의도에 부정적 [3] Youn-Ok Sun, Sook-Hee Kwak, Hye-Jin Kwon, 인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대학병원보다 중소병원이 가지 Ji-Min Seo. A Study o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고 있는 이용절차에 대한 장점을 이용하여 대기시간을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Hospital in 단축시켜 고객만족과 타인추천의사를 높여야 할 것으로 Inpatients. Global Health & Nursing. Vol. 1, No. 2, 보인다[12]. 이 외에 병원의 선택동기는 친절성이 가장 pp.93-101, 2011. 높고 다음으로는 전문성과 명성, 효율성, 편리성과 경제 [4] Hyoo-Soon Park, Moo-Sik Lee, Bak-Ju Na, 성의 순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한 연구[10]가 있고 진료부 Jee-Young Hong, Min-Young Jang. Related Quality 분에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친절성이 Evalu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of Hospital 고 행정부분에서는 친절성, 편리성, 쾌적성이라고 제시한 Selection Motive. Proceedings of the KAIS Spring 연구[15]도 있다. 그리고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Conference, 2nd, pp.743-748, 2010. [5] Young-Jong Kim, Kwang-Hwan Kim. A Study on 종류의 연구를 보면 병원이미지와 의료기사서비스품질은 Influence to Satisfaction of Outpatients in a General 지각하는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의사 서비스품질은 환자 Hospital. Proceedings of the KAIS Spring 만족도에 영향[1]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Conference, 1st, pp.17-18, 2012. [6] Jae-Kyun Yoo. The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of Care Helpers and Care Workers 5. 결 론 for Aged Care Facilities and Geriatric Care Hospitals.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Kyungwoon 대구시 북구에 소재한 신경계 재활전문병원에 입원한 University. 2012. 환자 중에서 전원한 환자 107명을 대상으로 환경적 이탈 [7] Sang-Jin Jung. A Study of Inpatient Satisfaction 요인과 의료적 이탈요인을 조사한 결과 환경적 불만족 Levels at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요인과 만족요인에서 병원시설과 접근성(이동성)과 같은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항목이 높은 비율을 차지함에 따라 이탈의 요인으로 고 No. 7, pp.3094-3101, 2012. 려되어야 할 항목으로 보이고 의료적 불만족 요인에서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7.3094 환자와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간병사에 대한 만족도(전 [8] Sung-Kwon Bae, Eun Woo Nam, Jae Young Park. A Study on Major Factors on Patient Satisfaction of 문성, 친절성, 설명성)가 가장 낮아서 환자 이탈의 중요한 General Hospitals in Korea ; Analysis of Factors 요인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눈높이 Associated with in Health Service Evaluation Program 맞춘 ‘환자 맞춤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간병사에 by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journal of 대한 서비스 만족도와 불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 hospital management. Vol. 10, No. 2, pp.26-44, 2005. 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병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9] Sang-Bun Bang, Yong-Seok Lee. Comparison of the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의료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Between Patients and 의 서비스품질(원무절차, 진료절차, 대기시간, 의료비용) Physical Therapists. The Korean Academy of 에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나 개선의 여지가 필요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Vol. 17, No. 함을 암시하였다. 2, pp.75-83, 2010.
2826
재활병원 입원 시 선택 및 전원 요인 조사
이 진 환 (Lee-Jin Hwan)
[정회원]
• 2011년 8월 : 대구대학교 재활과 학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물리치 료학 석사) • 2013년 2월 : 대구대학교 일반대 학원 재활과학과 (박사 과정)
[10] Eun-Ock Kim, Sun-Yeun Jo. The Relationship among Motives for the Selection of a Hospital, Satisfaction with Services in a Hospital and the Revisit Intention of Out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0, No. 1, pp.145-159, 2004. [11] Seul-Gi Kim, Bo-Mi Kim, Hee-Yeon Park, Yong-Su Kim, Duk-Han Lee and Hyun-Sill Rhee.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atisfaction and Loyalty.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4, pp.1492-1497, 2010. [12] Ji-Young Joung. Study on the Impact of Medical
의 . 생명공학
권 원 안 (Kwon- Won An)
[정회원]
• 2008년 8월 : 대구대학교 일반대 학원 재활과학과 (이학박사) • 2012년 7월 ~ 현재 : 대구보건 대학교 물리치료과 교수
<관심분야> 의 . 생명공학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 Hee University, 2012. [13] Kyung-Sook Lee. Study on Job-Satisfaction of Care Workers Working for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Daegu. Graduate School of Policy Studies, Keimyung University, 2009. [14] Yeong-Sook Ko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at Geriatric Hospitals.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2006. [15] Young-A Lim, Keon-Yeop Kim and Se-Mook Choi.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Job Leaving Attitude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by Job Catego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8 pp.3586-3596, 2012.
이 재 홍 (Lee- Jae Hong)
[정회원]
민 동 기 (Min- Dong Ki)
[정회원]
• 2010년 2월 : 계명대학교 자연과 학대학원 (보건학박사) • 2011년 3월 ~ 현재 : 대구보건 대학교 물리치료과 교수
• 2008년 8월 : 대구대학교 재활과 학대학원 언어치료과 (언어치료 학 석사) • 2013년 2월 : 계명대학교 의학대 학원 재활의학교실 (박사 과정)
<관심분야> 의 . 생명공학
<관심분야> 의 . 생명공학
2827
재활병원 입원 시 선택 및 전원 요인 조사
Lee-Jae Hong1, Kwon Won An1, Lee-Jin Hwan2*, Min Dong Ki3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고[4], 의
하여 조사하였으며 응답에
배우자가 30(28.0)명, 형제자매 20(18.7)명, 부모가 12(11.2)명, 본인
에 대한 분석은 이동성, 의료진과
25(23.4)명, ‘타병원의 추천’이
병사는 보통이 40.2%로 나타났다.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물리치료사,
의료서비스품질의 비교 의료관계자들의 비교
였다. 물리치료사는 작업치료사를 로 의사, 간호사 및 간병사와
Therapist P.T -.121 (O.T)
2.607
료기관과의 접근성(이동성)이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태에서 기다리는 환 길게 느껴져 부정적인 감정
Dissatisfaction in a University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s. School of
<관심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