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2.13.6.2812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6 pp. 2812-2825, 2012
Feature
조사 , 규정하고 교육이념에 및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➁ 열람공간 이용자 중심의 특성을 규정할 수 . 진입층 공간구성은 계획하여야 한다 . 이 지정 도서실이 진입공간과 직 함에 따라서 코어를 중 연계성을 높이는 동시에 외
of Law School Library and of characteristics in spacial law school library design. Entry spatial feature for the of educational & research spacial feature, firstly entry reading room should be vertical connectivity space And separated accessibility
room space, Reading
새로운 도서관으로의 전환을 접근방법이 논의되 기능적 분화가 되어 전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Tel: +82-10-5210-4604 email: swchoi@kangwon.ac.kr 접수일 12년 05월 02일 수정일 12년 06월 01일
게재확정일 12년 06월 07일
2812
법학전문도서관 디자인 특성 및 공간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2. 도서관에 대한 일반적 고찰
공공 도서관은 어린이 도서관, 노인 도서관(평생 학습관), 정보 도서관 등으로 특화 되고 있으며, 이전의 대형 중앙
공간구성
알렉산드리아 도서관부
그리스도교 중심의 문화가 끝 도서관과 개인문고가 그 역할 도서관은 등장하였다 보급되었고, 교육과 연 보관하기 위해 대학의 도서관
등장하였고, 기능공 교 학교의 설립과 함께 강 특수화된 도서관이 등장하였
도서관의 유형 도서관 도서관 , 개인문고
공간구성 변화
수행하는 형식으로 운영되었 독서대 시스템은 서가 공간 책장을 보통 개선되어 서가와 함께 독서대의 System)가 17, 18세기에 1785년에 서가를 디자인하였다[2].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수도원과 교회의
13세기부터 대학이 .이후 16세기 인
사회적으로는 계몽
Lectern system) 라는
2개씩 올려놓는 1900년 까지 사
등장하였고 벽 기본적인 유형 왕립 도서관 계획
향 및 변화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8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2012
[표 2]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다이어그램 [Table 2] Typical Space Diagram of Univ. Library
→
→
→
출현과 기능적 특성 기능과 역할 로스쿨 제도를 기반으로 8월에 10개 대학, 총 입학생을 받아 운영되었다.
준공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
연구와 이에 따른 교육목표 할 수 있다. 따라서 법학 학생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기능과 법학전문대학원의 기준은 국 미국 법학전문 도서관의 설 같은 구체적 시설을 명기
연구 및 기준이 필요할 것
and The Law School Facilities & United States) 법령 내용 학교도서관은 해당 학교의 특성과 사용자 요구에 적합 한 시설 · 자료를 갖추어야 한 다 . 법학전문대학원은 충실한 교 육을 위하여 법학전문도서관 과 그 밖에 대통령이 정하는
기 능 열람
학습 레퍼런스, 기타
서 고 기술 및 행정 부대시설
서울권역(강원 포함) 25개 대학이 최
로스쿨 인가 기준의 중 설립하고 있으며,
교육이념인
있다. 향후 로스쿨 시설
관련 규정 ( 한국 , 미국 )
기준
용공간(열람실)과 수장 공간(서고)의 구성과 조합에 의해 각층이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2814
법학전문도서관 디자인 특성 및 공간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법학 도서관의 물리적인 시 미국 법조인 설은 법학대학원 교육과 연 협회 - ABA 관된 학생 , 교수 및 관계자들
[표 5] 법학도서관 이용자 공간구성 다이어그램 [Table 5] The user spatial feature Diagram 수장 공간(서고) 및 이용공간 (열람실) 교육, 연구공간
법학전문도서관 디자인 특성 및 공간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Sung-Woo Choi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cial composition feature define the feature in spacial planning of law school library. Through the analysis composition, the basic spacial type of law school library will be proposed as a new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Law school Library are as followings. ➀ user accessibility ➁ Reference room spatial planning for carrel user ➂ Connectivity space and reference room space. As the result of design proposal and analyzing the common space of library should be planned with reference room space. Secondly, linked to the entry level for the user. Lastly, core space should be planned as the for the intimately linkage of educational & research space and reference room. should be considered for direct connection from outdoor space. Key Words : Law school library, Spatial Composition Feature, Accessibility, Reference Room Space, User, Connectivity.
A Study of the Law School Library Design & Spatial Composition
1 Department of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존사례 분석을 통하여 공간구성 특성을 부응하는 법학전문도서관 특성을 반영한 계획안의 제시함으로서 법학전문도서관의 계획요소 하였다 . 법학도서관의 공간구성특성을 요약하면 ➀ 접근성을 고려한 진입층의 공간구성 열람실 공간구성 ➂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 구성으로 법학도서관의 있다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법학도서관 설계 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쟁점사항을 도출하였다 교육의 장소로서의 이용행태 , 접근성과 연계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공용공간과 함께 열람공간을 용자 중심의 열람실과 서고의 공간구성이 계획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열람실 또는 접 연계되는 계획이 이루어 져야 된다 .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심으로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을 수직적으로 연계하여 열람실과 교육 연구 공간의 부에서의 접근성도 고려한 계획이 되어야한다 .
(BC 4세기~BC 1세기) 2008년 8월 25개
도서관의 형태로 존재했던 대학 내 도서관도 최근에는 2.1 도서관의 역사와 법학 전문대학원, 의학 전문 대학원, 치의예 전문 대학원 2.1.1 도서관의 역사 등의 전문교육 시스템에 따른 부속 도서관인 의학전문도 도서관의 역사는 기록상으로는 서관, 법학전문도서관 등으로 전문화 되고 있다. 따라서 때 설립된 이러한 전문화에 따른 도서관의 시대적 변화가 대학도서 터 시작된다. 중세시대 관에 지속적으로 반영될 것이며, 각 단과대학별로 전문 도서관이 발달되었고, 중세 도서관이 계속해서 구축될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 대학원 나갈 무렵 영주나 귀족의 중에서 법학전문대학원은 이후에 총 대 을 담당하게 되었다. 대학 학이 최종 인가되어 운영되고 있다. 최근 준공된 법학도 본격적으로 설립되면서부터 서관들은 법학전문대학원으로의 인가를 득하기 위하여 쇄술의 발명에 의해 많은 장서가 급작스럽게 신축한 예가 많으며, 신축되거나 계획된 법학 구를 위한 이 많은 장서를 도서관에 대한 건축적인 평가나 기준이 아직 미흡하다. 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법학전문도서관은 법학전문대학원의 주요 시설로서 공공 사상의 영향을 받아 공공도서관이 도서관과 함께 현대적인 도서관 개념 변화의 대표적인 육수준의 향상으로 많은 기능공 사례로 볼 수 있다. 즉 바람직한 법학전문도서관은 전문 의실, 실험실 그리고 부속된 대학원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장소로서의 기능을 만족 다[1]. 시킴과 동시에, 현대적인 도서관 개념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서관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법학전문도서관 [표 1] 도서관의 유형변화 의 기존사례 분석을 통하여 법학전문도서관의 공간구성 [Table 1] Library Type Summary 특성을 조사하고 교육이념에 부응하는 법학전문도서관 등장 시기 공간구성 특성을 반영한 계획안의 제시함으로서 법학전 문도서관의 계획요소 및 디자인 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13 세기 14~16 세기 1.2 연구범위 및 방법 16 세기 본 연구는 최근에 계획된 법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연구 19 세기 를 진행하였다. 19 세기
조사대상은 2006년부터 개관한 K대학교, K2대학교, 그리고 2009년에 준공된 S대학교의 법학도서 관이다. 이 3가지 3,000M2 3가지
유형은 최근에 개관한 법학도서관의 사 례 중 규모 면이나 내부 시설의 기준이 법학도서관 설치 2.1.2 도서관의 서가형식과 기준에 가장 부합한 유형으로 판단되며 별동으로 초기의 도서관은 독서대(낭독대, 이상 되는 규모로 법학 도서관을 설치한 대표적 가구로서 독서(열람)기능을 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조사 대상의 배치 유형은 법과대 다. 이후에 공간 소비가 많은 학 캠퍼스 안에 위치한 독립형, 분동형으로 연결통로에 의 부족에 따라 독서대 위에 의해 기존의 법과대학과 연계된 형태, 기존 법학도서관을 진열대 형식(Stall System)으로 연계해서 추가 증축한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용되었다. 1560년대 이후 벽쪽에 유형을 사례로 하여 법학 도서관 건축계획상의 공간구 기능을 가진 벽체형 서가(Wall 성특성을 분석하고, 공간구성 특성과 기존 일반대학 도서 체식 서가를 가진 도서관은 관과의 차이점과 공공 도서관과의 유사점 파악을 통하여, 이 되었다. 일례로 Boullee는 현대 도서관의 계획 특성이 반영된 법학도서관 계획요소 안에서 하나의 거대한 벽체식 를 도출한다. 도출된 계획요소를 반영한 법학전문도서관 계획안을 제시함으로서 현대 법학전문도서관의 계획 방
13세기경까지
19세기에는
수도원과 교회 귀족의 사설 대학도서관 공공 도서관 특수 도서관
공간구성 이용공간
수장공간
[그림 1] Boullee 의 왕립 도서관 계획안 (1785), [Fig. 1] Étienne-Louis Boullée, projet de bibliothèque royale (1785) 업무공간
앙리 라브루스트 , 성 쥬느비에브 도서관 (1850) Henri Labrouste, Library Saint Geneviève in Paris
13
다양한 도서관의 등장과 함께 19세기 전반에 급증하 는 장서의 보관 및 이용을 위해 도서관의 공간은 합리적 2.2 법학전문 도서관의 인 변화가 일어난다. 이전의 열람실이 벽을 따라 모든 장 2.2.1 법학전문도서관의 서가 보관되어 있는 벽체식 서고를 가지고 있으나 이것 국내 로스쿨 제도는 미국식 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부터 열람공간과 서 2007년 법제화 되어, 2008년 가(서고)공간이 나뉘게 된다[3]. 대표적인 예로 대표적인 15개 대학, 지방 4개 권역 예로 파리 성 쥬느비에브 도서관(Library Saint Geneviève 종 인가되어 2009년 3월부터 in Paris)으로 열람공간과 서가공간이 명확히 나눠진 사례 대부분의 로스쿨 인가 대학들은 이다. 요 사항 중에 하나인 법학전문도서관을 이에 따른 건축계획안 및 다. 법학도서관의 역할은 법학전문대학원의 우수한 법조인 양성, 법학의 를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라 도서관은 법과대학 교수와 고 교육과 연구를 원활히 역할을 해야 한다[4]. 국내 내 로스쿨제도의 기준이 된 [그림 2] [Fig. 2] 치 기준과 비교하면 모의법정 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2.1.3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기준 및 법령에 대한 구체적인 대학 도서관의 공간구성은 일반적으로 이용공간, 수장 으로 판단된다. 공간, 업무공간, 기타공간으로 나뉘며, 이용에 따른 공간 은 일반 개가 열람실, 참고도서 열람실, 디지털 자료실, [표 3] 대학도서관 및 법학도서관 간행물 열람실 등이 주체가 된다. 이러한 공간구성의 요 [Table 3] The Univ. Library Standards (Local 소들은 도서관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복합, 세분화 된다. 구분 관련법령 이 요소 중에 기타공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 하는 것은 이용공간과 서고이며, 이 2개의 공간의 구성 국내 대학 학교도서관 도서관 설 진흥법 시행 방식에 따라 도서관의 특성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치 기준 령 조 이용공간에서 주된 공간은 열람공간과 학습공간이며 대부분의 대학 중앙 도서관은 별도의 학습공간이 구획되 법학전문대 국내 법학 학원 설치.운 어 있는 경우가 드물게 나타난다. 대학도서관은 주로 이 전문도서 영에 관한 관 설치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시행 법률안 제 령 제 조 항 모의법정 세 조 항 미나실 정보통신시설
. ,
9 1 : 17 1 ,
의 법학 대 미국 법학 에게 적정한 크기 , 위치 , 디 학원 (Law 전문도서 자인이 적용된 공간을 제공 School) 인가 관 설치 하여야 한다 . 추가 조항 기준 중 시 기준 702-1: 법학도서관은 법학 설기준 7 장 대학원 학생과 교수를 위한 의 702 규정 충분한 좌석을 마련하여야 한다 . 2.2.2 법학전문도서관의 기능적 특징 법학도서관은 법학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로스쿨 교육의 실험실 같은 기관이다. 이러한 역할을 간략히 정 리하면, 교육의 보충, 정보지원, 자료실로의 역할이다[5]. 이러한 역할에 따른 특징으로 도서관의 위치는 기존 법 과대학과 근접해야 하며, 일반대학 도서관과는 달리 충분 한 열람석의 확보가 그 주된 기능적 특징이라 할 수 있 다. 또한 정보통신시설과 모의법정, 그룹세미나실 같은 부속시설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대학 도서관과 법학도서관은 이용자의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차이를 보 이며, 이용 행태와 이용 목적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표 4] 대학 도서관과 법학도서관 이용자 공간 [Table 4] The user spatial composition of Univ. Library & Law School Library 대학 도서관 법학전문도서관 열람공간 열람공간 정보통신시설 이용자 이용자 연구공간 공간 → 학습공간 공간 → ( 세미나실 ) 레퍼런스 및 교육공간 기타공간 ( 모의법정 ) 법학도서관은 법에 대한 판례를 참고로 교육을 하는 장소이므로 참고장서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자료를 동시 에 이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용자 집단 또한 학생, 교수가 동시에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6]. 이러한 이용 특 성에 따라서 법학도서관 이용자 중심으로 공간구성을 하 여 보면 다음 표 5와 같이 연구 열람실 또는 도서실을 중심으로 수장 공간과 교육, 연구공간이 구성되는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법학도서관이 교육의 부속적 역할을 주 된 기능으로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반 대학 도서관과 다른 계획 방법론이 필요함을 알 수
1. 서론
3. 법학전문도서관
K 2006 7,182M K2 2007 3,670M
[표 6] 사례 분석 도서관의 [Table 6] Summary of Case 개관 구분 연면적 규모 년도 대학교 2 지하 법학도서관 지상 대학교 2 지하 법학도서관 지상
S 대학교 2009 6,385M 법학도서관
3.1.1. K 대학 법학도서관 1) 배치계획 : K 대학 법학도서관의2 지하 지상기능과 수평적으로 연계된 배치 안이다. 2) 평면계획 : K대학교의 법학도서관은 분동형의 배치 특성이 평면에 적용되어 지상 1층에는 기존 법대 건물과 연계되면서 단행본실에 접근하도록 계획 되 었으며, 부속시설로 정보 검색실이 위치하고 있다. 외부에서의 주출입이 2층에서 이루어지면서 정부 자료실이 계획되었고, 3층에는 정기 간행물실이 위 치하며, 각 층마다, 출입 및 통제가 기존 법과대학 에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림 3] K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배치계획 [Fig. 3] K Univ. Law school Site plan 지상 4 층 지상
1. 연구소 2. 모의법정 3. 연구실 1. 스터디룸 2. 정기간행물실 지상 2 층 지상 층
1. 단행본실 2. 행정실 1. 판례연구실 2. 정부자료실 3. 정보검색실 [그림 4] K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평면 [Fig. 4] K Univ. Law school Plan
고 도서관 상층부에는 하여 교육공간의 기능이[그림 5] K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Fig. 5] K Univ. Law school3.1.2 K2 대학 법학도서관 1) 배치계획 : K2대학 도서관의 기존 법대 건물과의 며, 주변 건물군의 중앙에 근이 가능한 배치계획이다. 이루기 위하여 지하층에 한 배치하여 건물 매스를
3 층
1
[그림 6] K2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Fig. 6] K2 Univ. Law school2) 평면계획 : K2대학교 기간행물실이 위치하며 는 일반열람 및 세미나 기능의 공간이 구성되고, 반열람 및 모의법정이 열람실이 위치하게 된다. 치하며 지하층에는 모의법정이
1. 세미나실 2. 정기간행물실 1. 스터디룸 일반열람실 지하 1 층 지상 층
1. 모의법정 2. 정보검색실 1. 스터디룸 3. 일반열람실 [그림 7] K2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Fig. 7] K2 Univ. Law school Plan 3) 단면계획 : K2대학의 경우에는 상층부에 일반 열람 실이 위치, 저층에 간행물, 열람실이 위치하고 모의 법정이 저층에 같이 위치하여 교육공간의 기능이 보완된 구성을 보여준다.
[그림 8] K2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Fig. 8] K2 Univ. Law school Section 3.1.3 S 대학 법학도서관 1) 배치계획 : S대학 도서관의 경우 기존의 법학도서 관에 추가 신설된 도서관 기능에 연구 기능을 상층 부에 추가한 배치형태이다. 기존 법대 건물과 독립 적으로 연결되고 법대 건물 군에서 주로 접근이 가 능한 배치 계획이다. 또한 기존 법학도서관과 연계 하여 증축한 계획이다.
2. 2
[그림 9] S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Fig. 9] S Univ. Law school
2. 일반열람실
2) 평면계획 : S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은 서고 및 연속 간행물, 의 서고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서관과의 통합된 계획안으로 능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층에 위치하여 교육적 성 되었다. 또한 공용공간이 에 위치하여, 기존 도서관과의 히 하고 있다. 법과 대학 며, 교육적 공간이 충실하게 가진다.단면구성
1. 교수연구실 회의실 지상 층
1. 신착자료실 컴퓨터실 3. 참고 , 지정자료실
지상 5 층
2. 2
2.
로 기존의 도서관을 활용하여 연계되어 구성되고 상층부에 교수 연구실, 하층부에 세미나와 도서실 이 위치하여 단면을 구성한다.
[그림 11] S 대학교 법학전문도서관 단면구성 [Fig. 11] S Univ. Law school Sectional space Feature 3.2 법학도서관 사례의 공간구성 특성 분석 3.2.1 사례별 공간구성의 개요 사례별 공간구성과 특징의 분석 표 7에 의해 열람실은 법학도서관의 주된 공간이 되도록 계획되며, 열람실을 중 심으로 단행본서고, 연속간행물실 등의 법학서고에 접근 할 수 있도록 계획 된 것이 주요 공간구성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K대학 법학도서관은 교육공간이 상층부에 위치 하고 저층부에 열람공간과 연구공간이 위치하여 연구공 간을 중심으로 교육공간과 열람공간이 연계되어 있다. K2대학 법학도서관은 상층부에 일반열람실이 위치, 저층 에 간행물, 열람실이 위치함으로서 열람공간을 중심으로 연구 공간과 교육공간이 연결된 계획이다. S대학 법학도 서관은 진입레벨에 세미나, 도서실이 위치하고 상부에 단 행본, 연속간행물, 신착자료실이 수평적으로 연계되어 구 성되고, 다시 상층부에 연구공간이 위치한 형태로서 교육 공간은 기존의 법대 건물에 위치한 공간을 사용하게 계 획 되었다. 3.2.2 배치유형별 진입공간구성 특성분석 배치유형별 진입공간구성의 특성으로는 K대학 법학 도서관의 경우 진입 홀에서 직접적으로 열람실과 세미나 실이 연결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교육의 기능에 충실 한 계획이다. K2대학 법학도서관은 진입홀에 휴게 및 전 시공간이 계획되어 배치 계획에서 나타나는 도서관의 다 양한 접근을 고려한 계획적 특성이 반영된 계획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연구공간인 세미나실과 열람공간인 정기 간행물실을 계획하여서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도 동 시에 수행하고 있다. S대학 법학 도서관의 경우 진입층에 연구 공간인 세미나실과 사무공간을 계획하여 도서관의
[표 7] 사례별 공간구성의 [Table 7] Summary of Case 구분
K 대학 법학 도서관 K2 대학 법학 도서관 S 대학 법학 도서관
[표 8] 사례별 진입공간구성의 [Table 8] Entry Spatial Feature 구분
K 대학교 법학 도서관 진입층 K2 대학교 법학 도서관 진입층 S 대학교 법학 도서관 진입층
연구공간 연구실외부 연구공간 진입 세미나 ⇨연구공간 외부 스터디룸 세미나
진입 ⇨ ⇳ 교육공간 모의법정
교육공간 모의법정 강의실근성을 높이려는 계획적 특성이 나타난다. [표 9]
[표 9] 법학도서관 진입공간 구성 [Table 9] Entry Space Composition 진입홀 외부공간 ↔ 휴게공간 전시실 3.2.3 평면계획 - 열람실 공간구성 특성분석 현재 대학 설치 기준령의 도서관 열람석 수용률은 20%이상으로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은 이 기준을 상회하 고 있다[7].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 인가심사기준 연구에 서는 법학전문도서관의 열람석 확보 기준을 학생정원의 70% 이상으로 권장하고 있다[8]. 따라서 이러한 열람실 의 특징은 공부방의 역할이 강조된 기준을 제시하고 있 다. 따라서 일반 또는 연구열람실을 중심으로 서고를 구 성하는 계획이 일반 대학도서관의 서고를 중심으로 한 열람실 계획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법학전문대학 원의 교육방법상, 교수 및 학생이 동시에 자료를 이용하 며, 교육에서의 자료의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이러 한 법학도서관의 공간구성특성은 법률자료의 포괄성과 다양성을 수용하면서 다양한 자료를 동시에 이용하는 이 용자행위를 해결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K대학교 법 학도서관 경우 열람실내에 서고와 함께 열람공간을 둠과 동시에 측면에 별도의 일반 열람실 의 역할을 하는 열람 공간을 계획하였다. K2대학의 경우는 상부 2개 층이 일 반 열람실로 쓰이며 서고는 다른 층에 계획하여 수직적 으로 연계하여 계획하였다. 이는 학습공간으로서의 열람 실 공간구성을 중시하면서도 서고와의 연계성을 고려하 여 격층으로 열람공간과 서고를 연계하는 계획이다. S대 학교의 경우 기존의 법과대학에 열람실을 확보하여 법학 도서관은 장서 위주의 공간으로 구성한 예이다. S대학의 법학도서관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K, K2 대학에는 일반 열람실의 기능이 강조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사례별 열람 공간구성의 특성으로는 기본적으로 열람실은 서고와 열 람공간으로 구성되며, 열람공간 중심으로 열람공간을 계 획하고자 일반 열람실의 기능이 강조된 열람실 구성 특 성이 나타난다.
K 대학교 법학 도서관 열람공간 ↔ 서고 연구공간 K2 대학교 법학 도서관 S 대학교 법학 도서관
[표 11] 법학도서관 열람실 [Table 11] Reference Room연구 열람실 또는 일반 열람실3.2.4 단면계획 - 교육, 법학도서관의 교육, 연구공간은 시설과 연구시설의 연계성에 수 있다. 부속교육시설로는 서, 시행령 제 9조 1항에 따라, 보 통신시설 등을 설치하게 해 부속교육공간으로 모의법정, 이 포함되어 법학도서관의 의법정이 이미 설치된 S대의 지는 않지만, K대 및 K2대 치하여,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게 대학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K2대 법학도서관은 열람실과 대 법학도서관의 경우, 진입층에열람실 공간구성 열람공간서고
일 반 열 람 공 간
구분 교육 , 연구공간구성
교육공간 K 대학교 모의법정 , 연구공간 법학 대강의실 세미나 도서관 열람공간 연구실 + 서고
( ) K2 열람공간 ( )
며 진입층에 직접적으로 공간구성을 하여야 한다. 고려한 공간 구성 요소로는 깝게 배치하여 이용자들의 으며, 단행본, 정기간행물, 장서를 비치하여 사용성을 공도서관에 비하여 법학도서관은 연계되어 계획되므로 공적 성격의 접근성을 연계성을 고려한 배치와 계획이 될 수 있다.대학 교 법학 도서관연구공간 세미나 서고 교육공간 모의법정 서고
S 대학교 연구공간 ( 연구실 ) 법학 열람공간 + 서고 도서관 연구공간 ( 세미나 , 도서실 )
2) 평면계획 : 열람공간 성. 법학도의 교육 및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 로 연계된 서고와 열람실의 성의 특성으로 볼 수 은 연구 열람실 중심의 자료를 이용하는 이용자 는 열람공간 이용자 루어지기 위하여 동일층에서 층에서 수직적으로 일반 계되어 계획되는 것이
따라서 위의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법학도서관은 법학 교육과 연구 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미나 실, 모의법정실 같은 교육과 연구를 행하는 공간을 제공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의 장소로의 기능은 법학전문대 학원 인가 기준에도 부합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법학과 건물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구성으로 교육과 연구의 장소적 특성을 명확히 하고 있다. [표 13] 법학도서관 교육 , 연구공간 구성특성 [Table 13] Education & Research Spatial Feature
법학도서관 공간구성 기 능 공간구성 모의법정 , 교육 및 → 세미나 , → 연구공간 도서실 이용공간 → ↕ 열람 → + 열람실 수장공간 → 서 고 →
3) 단면계획 : 교육 및 연구 학전문대의 교육 특성상 람실과 서고의 부속적인 가진다. ‘진정한 의미의 그 안에서 지적으로 변화하는 트 크로우포드와 마이클 학도서관 또한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열람공간을 육, 연구 공간구성계획이 주된 교육시설인 모의법정이 고, 세미나 시설 같은 람실과 연계되는 것이 한 전문대학원의 교육 관으로서의 공간구성계획이3.3 소결: 법학도서관 사례의 공간구성 특성예술대, 법대, 인문대 단지가 학들의 절점을 잇는 걷고
요소 전시공간 및 휴게공간 전시공간 × K 대 진입 휴게공간 × 공간 전시공간○ 구성 K2 대 휴게공간○ 전시공간 × S 대 휴게공간 × 장점 : K2 대의 경우 전시공간 및 휴게공간이 계획되 공간 어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대학 캠 구성 퍼스 내에서 다양한 이용자의 접근 및 쾌적한 교육 특성 환경을 구현하기위한 계획방법이다 . 일반 및 참고 열람실 요소 계획 유 , 무 수평 , 수직적 연계 일반열람실○ 열람 K 대 수평적 연계 참고열람실○ 공간 구성 K2 대 일반열람실○ 수직적 연계 참고열람실○ 일반열람실 × S 대 연계 없음 참고열람실○ 공간 장점 : 일반 열람실을 중심으로 참고 열람실이 K 대 [그림 12] 법학전문도서관 구성 는 수평적으로 연계되고 , K2 대는 수직적으로 연계 특성 되어 이용자의 사용성을 고려한 계획방법이다 . [Fig. 12] Site Analysis 세미나 , 모의법정 세미나 , 모의법정 요소 시설의 유 , 무 시설과 열람실과의 연계 세미나실 ○ 수평적 연계 교육 K 대 연구 모의법정 ○ 수직적 연계 공간 세미나실 ○ 수평적 연계 구성 K2 대 모의법정 ○ 수직적 연계 세미나실 ○ 수직적 연계 S 대 모의법정 × 연계 없음 장점 : 세미나실이 열람실과 수평적 연계가 되어 있 공간 어 교육 및 연구 효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모의 구성 법정의 경우 , 수직적으로 연계되어 교육의 부속적 특성 역할을 수행한다 .
4.1.2 계획의 기본 방향설정 본 계획안은 법학전문 도서관 서관의 계획 시 고려해야 자 하였고. 가본 계획 방향은 1) 배치계획의 주안점 - 기존 도서관을 고려한 - 연결성을 고려한 캠퍼스 - 접근성을 고려한 걷고 2) 평면 및 단면계획의 - 접근성을 고려한 진입층의 - 열람공간 이용자 중심의 - 교육 및 연구 공간과
4. 법학도서관 디자인 계획안
동선 네트워크 구축 축의 설정 [그림 13] 법학전문도서관 배치개념 [Fig. 13] Site Plan Concept
[그림 14] 법학전문도서관 배치계획 [Fig. 14] Site plan
한다. 기존 건물 군과의 에 순응하는 매스를 유동적 흐름이 매스에게 절되고 켜가 생성되는 로운 녹지광장을 계획한다. 의 일부가 되면서 진입광장의 였다. 제시된 프로그램을 별 매스로 설정하여 매스를 관련도 높은 영역끼리 동선을 단축시킬 수 있다. 코어를 사용함으로서 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이연계성 고려
PATH
의 생성 매스의 [그림 16] 법학전문도서관 [Fig. 16]3) 확장계획 : 본 계획안은 로서 도서관의 통합 결가능성을 1차적으로 직 증축가능성과 법대건물과 려한 계획을 하였다. 능성을 고려한 코어를 면서 기존 도서관의 확장가능성을 고려한
Mass Concept
기존도서관과 법학도서관 계획현황 연결 수직증축평면계획 [그림 20] 법학전문도서관 [Fig. 20] Plan Concept 2법대건물과 진입광장 코어공유 가능 코어연결 확장가능 [그림 18] 법학전문도서관 확장 계획 개념 [Fig. 18] Expansion Plan Concept
는 Path, Hall, Core program영역으로 나누어 1층과
2층 8.1m, 8.1m과7.2m를 8.1m × 8.1m
1층 2층
4.2.2 평면 계획 평면계획 시 주안점으로 설정한 접근성을 고려한 진입 층의 공간구성을 위한 방법으로 켜를 생성하였다 이 켜 그리고 열람공간이 위치하는 건축적 계획을 하였다. 기능별 켜의 생 성에 의해 영역은 구획되도록 계획 하였고 지하층 8.1 M 평면모듈의 활용 에는 띠 코어를 중심으로 공용 홀과 서고, 열람실이 연결 [그림 21] 법학전문도서관 되도록 계획하였다. 코어를 중심으로 공용공간과 열람실 [Fig. 21] Plan Module & 공간을 분리 계획함으로서 도서관의 열람공간과 공용공 간의 명확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계획하였다. 또한 이용자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의 중심의 열람실과 서고의 공간구성을 위해 기본 모듈계획 하 평면계획은 모의법정, 은 동서방향 남북방향 기본모듈로 향실, 휴게실 등 단순히 도서관의 계획하였다. 주 공간인 열람실 내부의 기본모듈은 교육 및 연구기능을 수용하고 이며, 서가 및 복도, 연구용 캐럴을 효율적으로 결과는 별도로 독립적인 조닝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평면의 기본모듈은 입면에도 적용 오픈직통계단을 통해 시각적, 되어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외벽을 구성할 수 있다. 리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은 실재 법대 캠퍼스의 주 이도록 참고열람실, 정기간행물실로 정보검색실, 로비, 선큰 공간과 있다. 평면계획은 단행본서고, 사무실 등이 배치되어있으며, 선큰 공간으로의 연결, 서고 지레벨 및 다른 층으로의 성되어있다. 평면계획은 되어있으며, 모듈에 의한 서가 켜의 생성 프로그램과 홀의 연결 (1 층 ) 게 인지되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림 19] 법학전문도서관 평면개념 1 람실)이 계획되어 추후 수직
1. 보존서고 2. 사무실 3. 통합단행본서고 지하 1 층
1. 정보 검색실 2. 참고자료실 3. 연속간행물실 [그림 22] S 대 법학전문도서관 계획평면 [Fig. 22] S Univ. Law school Library Plan 4.2.3 단면계획 단면계획에서 층고는 지하2층 4.8m / 지하1층, 1층, 2 층 4m 로 계획되었다. 단면은 각 프로그램별로 서고공간/ 열람공간/교육공간/연구공간/사무공간/공용부분 등이 명 확하게 조닝이 되어있으며, 각 프로그램들을 연계하거나 각 레벨들을 연결하는 동선들이 단면에서 연속적으로 드 러난다. 이러한 동선을 4가지로 분류하였다. 열람실 연계 동선은 서고연계 Path로 설정하였고, 교육공간으로의 접 근은 공용공간의 층별 연계를 통한 접근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외부에서의 접근을 고려한 2개의 진입레 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존의 외부 연결 동선 외에 진입홀로 접근하는 동선을 추가적으로 계획하였다. 이러 한 2개의 동선이 중앙 홀로 집중되고 수직적으로 이동하 게 되는 단면 계획을 하였다. 일반 열람실 중심의 공간구 성으로 이루어져야 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사무공간 위층 인 2층에 지정도서실이 위치하며 참고자료실, 연속간행 물실과의 연계성을 위해 별도의 연결계단을 계획하였다.
1. 지정도서실 일반 열람실 2. 통합단행본서고
1. 모의법정 영상자료실 3. 휴게실 그룹 스터디룸
( ) 지하 2 층
서고연계 동선 : 내부계단을 층 연계 동선 : 2 개의 대지 외부연계동선 : 대지레벨에서 기존 동선 : 기존 도서관과의 [그림 23] S 대 법학전문도서관 [Fig. 23] S Univ. Law school
2. 4.
[그림 24] S 대 법학전문도서관 [Fig. 24] S Univ. Law school[그림 25] S 대 법학전문도서관 [Fig. 25] S Univ. Law school
5.
2)
행위가 법전을 위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열람실 또는 독서실을 중심으로 연계된 서고와 열람실의 계획이 중요한 공간구성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또 한 법학전문대의 교육 특성상 세미나 및 모의 법정 이 열람실과 서고의 부속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어짐 에 따라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의 연계성이 주 요 특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법학도서관 설계 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쟁점사항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법학도서관이 법대단지 안에 위치함에 의해서 연계성이 중요한 계획 요소이며, 이러한 연계성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기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동선 설정에 따른 진입공간으로의 유도와 이를 통한 진입공간의 접근성 향상이다. 접근성을 고려한 진입층 공 간구성은 교육의 장소, 이용행태, 접근성과 연계성의 측 면을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하며, 공용공간(로비, 전시, 휴 게실 등)과 함께 열람공간을 계획하여야 제시한 계획안에서는 주 진입레벨인 지하 색실을 계획하여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 열람실의 공간구성은 기존 대학 도서관의 일반 열람실과 유사한 공간구성을 가지나 대학 도서관의 서고 중심적 공간구성보다는 일반 열람실 중심의 공간구성으 로 이루어져야 되는 특성이 나타남에 따라서 일반 열람 실 또는 독서실에서 다른 참고 열람실로의 연결이 용이 해야한다. 제안한 계획안의 경우는 지정 도서실과 참고자료실, 연속간행물실과의 연계성을 위해 별도의 연결계단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열람공간 이용자 중심의 열람실 공간구성이 계획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 반열람실 또는 지정 도서실이 진입공간과 직접 연계되는 계획이 이루어 져야 된다. 셋째, 열람, 서고, 교육의 기능적 공간들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법학전문대의 교육 특성상 세미나 및 모의 법정이 열람실과 서고의 부속적인 공간으로 구성되 는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 구성의 특성이 나타남에 따라서 공공 도서관의 교육기능 과 유사한 특성이 드러난다. 따라서 코어를 중심으로 교 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을 수직적으로 연계하여 열람 실과 교육 연구 공간의 연계성을 높이는 동시에 외부에 서의 접근도 고려한 계획이 되어야한다. 위와 같은 계획 요소를 적용한다면, 다양한 자료에 접 속하면서 이용자의 일반 열람실을 중심으로 공간이 이용
References
- [1] Thomas A. Marcus, Building Spacetime, 2006.
- [2] NIKOLAUS PEVSNER, P93-103, Princeton University [3] Ibid. P106
- [4] Myung-Ja Hong, A Study of Korean Law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P350, 2006.
- [5] Ibid. P353 [6] Ibid. P359
- 한다. 4장에서 1층에 정보검
- [7] Shin, Hyun-Soo, A Study University Library in Information Environment,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 Design, Vol.18,
- [8] Myung-Ja Hong, A Study of Korean Law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P360, 2006.
- [9] Thomas A. Marcus, Building Spacetime, 2006. 4장에서 2층에
- [10] Lee, Gyeong Hoon, A Libraries according to it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Design, Vol.19, No.8, P151, 최 성 우 (Sung-Woo Choi) • 1992년 학 • 1994년 학원 • 1998년 대학원 M. UCL, Architecture.
- • 2008년 8월 ~ 현재 : 강원대학교 대학 건축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