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0.4740
Zigbee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모듈 구성
Young-Ho Jang, Hwan-Yong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a LED light control module using Zigbee. The module was made so that brightness of the L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the ambient brightness. A 8-bit microcontroller was used to implement the module to enable LED dimming and wireless light intensity measurement. Using the proposed method, power consumption can be improved by up to 48% on average, with 3.4-0.4W changes in power. The measured ambient light intensity values are converted from analog to digital and outputted as a PWM waveform. According to the output waveform and changes in the current outputted from the LED driver,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 is controlled. Also, Zigbee with close-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was used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of light intensity measurements. Key Words : LED, Zigbee, Dimming, PWM, LED Driver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0 pp. 4740-4744, 2012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요 약 본 논문은 Zigbee 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모듈을 구성 하고자 하였다 . LED 조명 제어 모듈은 주변 밝기 의 변화에 따라 LED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며 , 논문에서 구성된 제어 모듈은 8bit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LED 디밍 및 무선 조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제안된 방법을 적용시 소비전력량 3.4~0.4W 의 변 화로 평균 48% 까지 개선될 수 있다 . 측정된 주변 조도값을 ADC 변환하여 설정된 PWM 파형으로 출력하게된다 . 이 렇게 출력된 파형에 따라 LED Driver 에서 출력되는 전류값 변화에 따라 LED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 또한 근 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Zigbee 를 이용하여 무선을 이용한 조도 측정값을 전송가능 하도록 구성하였다 .
1. 서론
Implementation of a LED light control module using Zigbee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이용한 다양한 조명 관련 제품이 있다.[1,2]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적용 가능하 고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인 디밍(Dimming)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 보드를 구성하여 조명의 밝기를 제 어 하였다. 조명을 디밍 제어 하기위한 제어보드는 마 이크로 컨트롤러인 하였으 며, LED 조명을 연결하여 1W급 LED를 제어 하도록 하였다. LED 제어를 위한 신호는 센서를 통하여 주변의
국외에서도 LED를 43%이상 증가하고 LED 조명 제품에
LED 8bit
ATmega128을 사용하여 구성 제어하기 위한 LED Driver와
CdS
Digital Converter)를 통하여 변환되며, 변환된 LED Driver에 PWM(Pulse Width Modulation) 력되어 LED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2. LED 조명 제어 모듈
5만시간 소비전력은 1/7 수준이며,
LED LED 1W급
LED를
메모리로 4Kbyte SRAM을 ATmega128 Core의 블럭도는
현재 형광등을 대체하여 사용되는 조명은 형광 등에 비해서 밝은 밝기와 이상의 긴수명을 가지 있으며, 또한 발열량이 적다. 조명 제어보드 구성을 통해 실내 조명에 적 용하여 제어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 및 적용 할 수 있으 조명의 효율적인 동작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워 사용하였으며, 동작시 발생하는 열을 줄이기 위해 방열판을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파워 LED의 구동 전압은 2.7∼3.7V이며 입력 되며 동작 전류는 350mA의 동작 특성을 보여준다. LED 조명을 디밍 제어를 하기위해 위해 LED 조명 제 보드에서 사용된 ATmega128은 Atmel사에서 개발된 8b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데이터 저장이 한번에 가능한 하버드구조이며, 내장하고 있다.[3] 그림 구성되어 있으며, 반복적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내부 프 로그램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그림 1] ATmega128 Core 블럭도 [Fig. 1] Block Diagram of ATmega128 Core신호는 신호로 입LED
ADC값은
LED LED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마이크로 컨트 롤러에서 제어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의 형태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블럭도는 그림 같으며, 아날로그 멀티플레서를 사용하여 마치 사용할 수 있 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샘플/홀드 회로를 내장하고 있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림 표시된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으며 연결된다.
1와 같이 256Kbyte
[그림 2]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블록도 [Fig. 2] Block Diagram of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는 CdS로부터 8채널의 변환기를 통해 널의 차동 입력 범위의 입력 전압으로 사용되며, 프리런닝 모드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입력에 따른 변환과 결과값을 반복적으로 처리해주는 방 식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값을 처리하였다. ADMUX 레지스터는 그림 날로그 값을 사용하기 지스터의 데이터에 Selection Register) 한다. ADMUX
Zigbee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모듈 구성
ADC에서
2과
디지털 컨버터는 1개의 ADC를 8개의 ADC가 있는 것처럼
2에
ATmega128의 PORT F를 멀티플레서에 의해 ADC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10비트 10∼200배의 증폭률을 가진 2채 변환기를 이용하고 0∼ 3에 나타냈으며, 입력된 아 위해서는 ADC의 기준 전압 및 레 저장형식을 ADMUX(ADC Multiplexer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ADC를 설정을 레지스터는 비트 7∼6의 표시되어 있는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그림 3] ADMUX 레지스터 [Fig. 3] ADC Multiplexer Selection Register
ADMUX레지스터가 따라서 ADC변환이
ADC시작될 때 설정된 레지스터의 값 진행되며, 도중에 변경된 값은 변 환이 끝난 이후에 적용된다. 기준전압 선택에 대한 설정은 표1과 같다.
[표 1] ADC 기준전압 선택 [Table 1] Voltage Reference Selections for ADC REFS1 REFS0 기준 전압 선택 외부의 AREF 단자로 입력된 0 0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사용 외부의 AVCC 단자로 입력된 0 1 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사용 1 0 보류 내부의 2.56V 를 기준 전압으로 1 1 사용 ADCSRA 레지스터는 ADC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 태를 표시하며, 그림 4와 같으며, 프리 런닝 모드 및 초당 샘플링 횟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림 4] ADCSRA 레지스터 [Fig. 4] ADCSRA RegisterADC 변환이 완료되면 변환 결과는 ADCH 및 ADCL 레지스터로 저장되면 레지스터의 수정은 ADCL에서 ADCH 레지스터까지 읽혀져야 ADC 데이터 레지스터는 수정되지 않는다. ADC 변환값은 ADC 레지스터에 저장 되게 되며 단일 채널에서의 변환 결과는 식(1)과 같다.
× ····························· 여기서 은 입력전압이고 기준 전압이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CdS는 빛의 밝기에 대하여 전기
2012
값을 I/O Port를 통하여 아날로그 며, 입력된 신호는 ADC에서 PWM 신호는 I/O Port를 통하여 LED 조명을 제어하게 된다.
[그림 5] ATmega128 과 LED Driver 구성 [Fig. 5] Configuration between ATmega128 and LED Driver LED Driver는 ATmega128로부터 입력된 신호 에 의해 일정한 신호의 입력 펄스폭을 비교기에서 조절 하여 출력 소자의 ON-OFF를 제어하는 내부 구조를 가지 고 있다. 또한 SMPS 출력 전압은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LED Driver 전원으로 입력되어 신호에 의한 조명 전원으로 인가된다. 주변 밝기에 따른 데이터 값은 Zigbee를 이용하여 컴퓨터로 전송되게 근 근거리 무선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Zigbee는 Acess Contrl) 계층상에 구현된 프로토콜로서 전송속도는 40∼250kbps로 저속이나 블루투스 크기의 수준 으로 구조가 간단하다. Zigbee를 지원하는 사용함으로서 Zigbee무선 환경을 구성 할 수 있다. 그림 내부 구조 이다.
신호로 ADC에 입력하 설정된 값에 따라 출력된 LED Driver로 입력되어
PWM PWM LED
ATmega128에서 된다. Zigbee는 최 IEEE802.15.4의 MAC(Media 10분의1
RF칩 CC2420을
6은 CC2420
5와의해 다. 설정된 빛의 세기에 따라 출력하도록 설정하였다.
RF칩 CC2420은 내부에서 수신단은 Low-IF 아키텍처 기반으로 한다. 안테나에서 수신된 RF신호는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되고, 2Mhz IF(Intermediate Frequency)에 직교방향으로 다운컨버트 된다. IF시그널은 필터링 되고 증폭된 후 2개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에 의
RF
2개의 7과
RF신호는 Zigbee LAN으로 Zigbee를 LED 조명 환경에서 통신인 Zigbee를
LED디지털화 되며, 자동이득제어 및 미세 채널 필터링과 디모듈레이션은 디지털 영역에서 수행된다. 전송 모드에 서도 모듈레이션 및 대역확산은 디지털화 되어 수행된 다.[4,5] 입력 및 출력포트는 차동화되어 공용핀을 공유하지만 스위칭을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외부 스위치 필요없다. 또한 내부 전력 증폭기로 프로그 [그림 9] 측정된 PWM 신호 래밍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Fig. 9] Be Measured PWM signal 무선 환경은 무선 구성된 환경보다 전력 소모량이 매우 적어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용하여 구선된 조도 측정 모듈은 그림 여 같다. 조도 측정 모듈은 측정된 조도 림 값을 근거리 무선 이용하여 조명 제어모듈로 전송하게된다.[그림 10] Zigbee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Fig. 10] Data transmission using the Zigbee communication
[그림 7] Zigbee 를 이용한 조도 측정 모듈 [Fig. 7] Illumination Measurement Module using Zigbee Driver IC에 입력하였다. 력되는 PWM 으며, LED 조명에 8과 같이 LED 모의실험은 ATmega128 CdS를 따라서 PWM LED Driver IC로 LED 조명의
측정된 주변 밝기에 따라서 설정된 조명은 3. 모의실험 및 분석 파형에 따른 밝기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의 변화를 확인 본 논문은 그림 조명 제어보드를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조도값 사이일 때 하였다. 보드에 장착된 주변 밝기에 따른 측정된 전압, 전류, 전력은 표 같다. 이용하여 측정된 빛의 밝기에 신호를 출력 하여 입력시키고 디밍에 [표 2] 기존 방법 및 제안된 방법의 비교 데이터 따른 전압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 하였다. [Table 2] Comparison data of existing methods and the proposed method 기존 방법 제안된 방법 단계 전압 전류 전력 전압 전류 전력 1 9.4[V] 0.36[A] 3.4[W] 9.4[V] 0.36[A] 3.4[W]
Zigbee를 ATmega128에 ATmega128은
CdS로부터 입력 받은 값을 이용하여 변환하 Zigbee 모듈을 통하여 입력받은 데이터 값은 다음 그 10과 같다.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모듈 구성
측정한 PWM 신호는 그림 9과 같 PWM 파형을 CdS에서 측정된
ADC를
LED
PWM 신호를 LED LED Driver에서 입
23∼217[lx] 2와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Fig. 11] Comparison graph of existing methods and the proposed method
LED 조명 제어보드는 LED 조명의 사용함에 따라 LED 하였으며, LED 조명을
본 논문에서 제안된 주변 조도 측정을 통한 디밍 제어를 계로 비교 분석 맞는 광원을 유지시켜준다.4. 결 론LED LED LED 계는 6단계로 3.4∼0.4W의 23∼217[lx]일 LED LED
Zigbee를
본 논문에서 구성한 조명 제어보드는 통 신을 조명에 적용함으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과 능 동적 조명 밝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조명을 제 어하면 주변의 밝기에 따라 동작을 하게 되며, 밝기의 단 설정하였으며 동작시 각각 소비 전력량은 변화로 기존 방법과 비교시 평균 개선될 수 있다. 이렇게 변화된 소비전력은 측정된 주변 밝기에 따라 변화되며, 또한 측정된 조도값 때 변화되 전압에 따라 조명 제어보드로 조도값을 무선으 전송하게 된다. 논문에서 구성된 조명 제어보드는 다양한 조명 적용할 경우 안정적인 디밍 제어가 이루어지며, 적용 방법에 따른 소비전력의 감소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 능한 적용함으로서 효율적인 조명제어가 가능 것으로 사료된다.2012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mercial Association of Weekly Technology Trends Vol.1457, 2010. [2] Yueh-Ru Yang, “Implementation of a colorful RGB-LED light source with an 8-bit microcontroller,” 5 th IEEE Conference on Industrial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pp.1951-1956, 2010. [3] Atme lnc, "http://www.atmel.com/dyn/resources/prod_documents/doc24 67.pdf", 2009. [4] Texas Instrument lnc, “ht tp:/ /focus. t i .com/ l i t/ds/symlink/cc2420.pdf“ 15p Chipcon. 2007. [5] Xiangsheng Kong, Dong Li "A design for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ZigBee" consumer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Networks (CECNet), 2012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24-27, 2012.
능동적인 디밍 제어가 가능하 조명의 밝기를 6단 적용하는 환경에장 영 호 (Young-Ho Jang)
Zigbee
LED <관심분야> 임베디드시스템, 48%까지김 환 용 (Hwan-Yong Kim)
<관심분야> 임베디드 시스템,
[준회원] • 2011년 3월 ~ 현재 : 원광대학 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석사과정)
Zigbee통신 [정회원]
• 1978년 2월 : 전북대학교 대학 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 1984년 8월 : 전북대학교 대학 원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 1979년 3월 ~ 현재 : 원광대학 교 전자공학과 교수
SoC설계, 신호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