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07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 pp. 107-116, 2012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

Sa-Young Kim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n the tourism satisfaction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s in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development approach factors in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such as tourism convenience, tourism activity, tourism potentiality, tourism resources value have high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urism satisfaction. The priority order sets of the impact on the tourism satisfaction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s in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should be related to the tourism benefit, the tourism activity, and the tourism resources value. And they can be used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Key Words : Cultural tourism development, Development approach factor, Tourism satisfaction
김사영 1* 1 대구과학대학교 호텔관광과 The Impact Analysis on the Tourism Satisfaction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 in Cultural Tourism Destination
1 Department of Hotel Tourism, Taegu Science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문화관광목적지의 개발접근요인이 각각의 수준 내에서 관광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 연구 자료는 가야역사문화유적지와 경주국립공원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 먼저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 이용교통 수단 , 동반자 형태에 따라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 다음으로 개발접근요인과 관광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광만족과 관광시장 접근영역 ( 관광 편익 , 관광활동 요인 ), 관광대상 접근영역 ( 관광잠재력 , 관광자원가치 요인 )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 결과 적으로 관광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개발접근요인은 관광편익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 다음은 관광활동 , 관광 자원가치 요인 순서로 나타났다 . 이러한 개발접근요인들이 관광만족을 51.4% 설명하였다 . 향후 관광편익 , 관광활동 , 그리 고 관광자원가치 요인의 구성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문화관광개발접근이 요구되고 , 궁극적으로는 관광객의 관광만 족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때 문화관광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 서 론

로 문화관광목적지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관광개 발이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 관광개발 접근에 있어서 관광목적지의 관광대상 특화 다. 그러나 문화관광목적지의 특성을 차별화시켜 지속가 뿐만 아니라 방문한 관광객의 관광만족도 중요한 요소로 능한 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는 개발접근에서 보면 문제 작용하고 있다. 관광개발 목표달성과 관광만족과의 관계 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개발대상지역 중심의 물리적 조건 개발접근요인에 대한 체계적 검토없이 공간조성 및 물리 충족이 개발목표 달성의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관광객의 적 시설개발에만 집중함으로써 문화관광목적지를 이용하 관광만족이 상호작용하는 개발효과에 초점을 둔 문화관 는 관광객으로부터 소외되고, 관광지라이프사이클 측면 광개발 접근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제 실시 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이 논문은 2011년 대구과학대학교 교육역량강화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교신저자 : 김사영(..kr) 접수일 11년 11월 08일 수정일 (1차 11년 11월 08일, 2차 11년 12월 02일, 3차 11년 12월 15일, 4차 11년 12월 21일) 게재확정일 12월 01월 05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관광만족 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관광목적지의 개발접근요인에는 어떤 요소들이 있고, 이 요소들이 각각의 수준 내에서 관 광만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하는데 연구 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 연구목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광 만족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 는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을 관광시장 영역(관광 활동과 관광편익)과 관광대상 영역(관광자원가치와 관광 잠재력)으로 나누어 각 요인들과 관광만족과는 어떤 관 계인지, 그리고 관광시장ᆞ관광대상 접근영역에서 각 요 인들의 구성요소들이 관광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를 분석함으로써 미래 문화관광목적지의 개발환경 변화 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지방자치단체들 이 문화관광목적지를 개발ᆞ운영하고자 할 때 관광만족 수준을 개선할 개발접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있다.

2. 이론적 고찰


   관광개발 접근요인은 전체관광시스템 내에서 관광객 과 관광지역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관광대상지역의 자원조건, 시장조건, 그리고 개발조건을 명확하게 할 개 발기능을 창출할 관련요소를 의미한다[1]. 관광개발 접근 요인에 대한 세부적 구성내용으로는 정책적, 기획적, 마 케팅적, 조직적, 재무적, 인적, 운영적, 경제적, 법규적, 사 회문화적, 지리공간적, 기술적 요소 등이 있다[2]. 그러나 관광개발 접근요인은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개발대상지역 의 특성, 개발규모, 개발주체 등에 따라 차별되고 있다. 특히 문화관광대상지역은 관광목적지 각각의 고유한 특 성에 따라 개발접근요인이 다르고, 각 요인들이 관광만족 에 미치는 영향도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화관광목적지를 대상으로 한 관광개발접근에서는 Leiper[3]의 기능적 시스템접근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 다. 기능적 시스템접근방법에 있어서 접근영역은 크게 관 광객의 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시장 영역과 관 광지역의 희망조건 충족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대상 영역 으로 이원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관광시장 영역을 관광활동과 관광편익 부문으로 나누어 관련요소들을 조사하였고, 관광대상 영역은 관광자원가 치와 관광잠재력 부문으로 나누어 관련요소들을 조사하 였다. 양성수ᆞ허향진ᆞ서용건[4]은 제주지역 관광개발에서 관광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를 분석하였는데, 경제

   적 영향요인에는 지역주민 고용증대, 지역주민 소득증대 [5], 지역경제 활성화 등, 사회ᆞ문화적 영향요인에는 여 가기회와 활동 증가, 삶의 질 향상에 기여[6], 자긍심 향 상 등, 환경적 영향요인에는 생활환경 개선, 청결한 환경 유지 등이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유인혜ᆞ고도완[7]은 지역사회기반형 관광개발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내외적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는데, 내적 환경요인으로는 의식성, 연대감, 권한요인, 외적 환경요인으로는 상품, 가격, 수요, 공급요인을 추출하였다. 특히 상품요인은 자연 및 문화자 원의 중요성, 관광지로서의 지역 매력도[6], 관광객의 흥 미와 욕구 충족 등이 주요 요소이었고, 공급요인에는 기 반시설 적절성, 편의시설 적절성, 숙박시설 적절성 등이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영숙ᆞ양길승[8]은 민속마을 관광지화에 따른 주민 의식 변화에 대응할 문화관광개발 접근으로 지역주민 대 상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지역특성에 맞는 지속가능한 관 광지개발 등을 주요 요소로 제시하였다. 함석종ᆞ박선희 [9]는 문화관광개발에 대한 관광지역주민들의 인식이 관 광태도로 이어지는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문화 관광목적지 관광활동 유형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대한 기대, 문화관광목적지 관광자원을 관광객들 에게 추천할 정도로 지역에 대한 주민의 애착 등을 결과 로 도출하였다. Marzano and Scott[10]는 문화관광목적지 브랜드화에 영향하는 요소로 익숙하고 편안한 관광환경, 전통과 현대 가 조화된 가치변화 경험, 지속가능성[11], 다른 관광목적 지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차별화된 관광활동, 관광객과 관 광지역주민과의 정서적 유대, 관광체험에서 불만족스러 운 위험 감소 등을 중요한 변수로 분석하였고, 이들 변수 들은 관광목적지 개발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았다. Russo and van der Borg[12]는 문화관광목적 지의 개발기획요소로 관광정보, 관광지역주민의 환대 [13], 다양한 관광상품과 서비스, 관광이벤트, 재방문욕구 충족, 관광발전 비전, 관광이미지, 편리한 관광환경 등을 중요한 변수로 제시하였다. Russo and Segre[14]는 관광 목적지 모형을 통하여 무형적인 질적 관광요소(이미지, 가치, 교육)와 문화적 생산성 요소(지속가능성, 삶의 질 향상, 문화관광대상 선호)를 통하여 관광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김채옥ᆞ송운강[15]은 관광목적지 관광경험이 관광만 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스트레스와 긴장감 해소, 자발 적 행동 기회, 흥미롭고 새로운 활동, 취미나 스포츠와 관 련된 자원가치 등을 제시하고, 이들에 대한 관광경험을 하면 할수록 관광만족도는 높아진다고 분석하였다. 손일 화[16]는 문화관광지 체험척도 개발에서 가치체험요인으

   로 역사문화에 대한 관심,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자연 경관으로서의 가치 등이 주요 요소이었고, 전통체험요인 으로 전통의상ᆞ공예 제작활동, 전통소리ᆞ무용 교육기 회, 원시시대 전통생활체험 등이 주요 요소로 분석되었으 며, 그 외에도 정보체험 등을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Yoon and Uysal[17]은 관광목적지 충성도에 대한 관 광만족 효과조사에서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체험하는 관광활동의 높은 비중, 우수한 편의시설, 역사 적으로 보존할 필요성이 큼, 신기하고 특이한 관광활동, 지역문화에 부합하는 관광상품화, 고유한 문화이벤트, 전 통적 요소를 살린 개발, 교육ᆞ체험과 같은 다양한 관광 가치[11], 편익적 기능을 살린 관광개발, 관광지역주민의 참여 등을 제시하였다. Buckley, Ollenburg and Zhong[18]은 몽고관광에 있어서 문화경치자원이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신기한 관습, 관광대상으로서의 자연과 문 화가치, 고유한 관광상품, 관광객에 대한 적극적인 환대 등을 중요한 변수로 분석하였고, 이를 문화관광목적지 개 발과 마케팅방안에 활용가능하다고 제시하였다. Garrod[19] 가 관광목적지 이미지가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관광활동, 관광객과 지 역주민의 환대적 관계[5], 모험적 관광활동, 자연과 인간 이 어울리는 관광환경, 편안한 휴식공간, 좋은 지역이미 지, 지역문화 가치인식과 관광활동의 조화, 좋은 교육기 회, 편리한 숙박시설, 관광기대와 조화된 관광활동 등을 유의한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표 1과 같 이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 구성요소로 조사한 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표 1] 개발접근요인 구성요소 [Table 1] Composition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 구 구성요소 분 모험적인 관광활동 [19], 구경보다 체험하는 관광활동 [17], 다른 관광목적지와 차별화된 관광활동 [10], 전통 관 공에 제작활동 [16], 신기하고 특이한 관광활동 [17], 문 광 화가치를 인식하는 관광활동 [19], 지속가능한 관광활 활 동 [14], 종류가 다양하고 선택이 용이한 관광활동 [12], 동 흥미롭고 새로운 관광활동 [15],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 [10], 관광 참여에 대한 신뢰감 높은 관광활동 [16], 관광 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관광활동 [19] 관광시설에 대한 욕구 충족 [19],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7], 관광객과 주민의 관계 [10], 좋은 교육기회 관 제공 [19], 효율적 관광정보 안내 [12], 높은 재방문 의사 광 [13], 문화유산에 대한 관광가치 인식 [16], 주변 관광지 편 와 효율적 연계 [4], 자연경관에 대한 관광가치 인식 익 [16], 편의시설이 상대적으로 우수 [17], 차별화된 관광 상품 개발 [18]
매력성이 큰 관광자원 [15], 보호.보존의 필요성이 큰 관 역사성 [17, 19], 관광체험으로 유인성이 큰 민속성 [16], 광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가치변화 체험 [10], 특수목적 관 자 광서비스 [18], 관광자원의 사회성 [17], 지역문화에 부 원 합된 관광상품화 [16],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관 가 광환경 [18], 관광대상의 지속 가능성 [8], 관광자원의 치 고유성 [14], 교육.체험.관람 등이 조화된 관광가치 [11] 적당한 관광수용력 [7], 지역주민의 환대 [18], 전통문화 이벤트 활성화 [14], 지역이미지 부각 [12], 고유하게 발 관 굴된 문화이벤트 [8], 장기적으로 높은 관광발전 비전 광 [13], 휴식.기분전환 기능 강화 [4], 부정적 요소를 극복 잠 한 대안관광 [11], 지역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관광사업 재 유치 [5], 지역균형발전 [12], 주민의 자발적 참여 [18], 력 주민의 삶의 질 향상 [6, 9], 주민과 민간.공공부문의 협 력관계 [7]

3. 연구방법


   3.1 조사설계 설문지 구성은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 특성에 기초 하였다. 이론적 고찰에 기초한 선행연구 결과를 조사설계 (설문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개발접근 특성설정을 위한 조사설계는 크게 관광시장과 관광대상 접근영역으 로 대별하였고, 관광시장 접근영역은 관광활동과 관광편 익 부문으로 구분하였으며, 관광대상 접근영역은 관광자 원가치와 관광잠재력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으로 관광시장 접근영역인 관광활동 특성요소는 모험적인 관 광활동 등 12개 항목, 관광편익 특성요소는 관광시설에 대한 욕구 충족 등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관광대상 접근영역인 관광자원가치 특성요소는 매력성이 큰 관광 자원 등 11개 항목, 관광잠재력 특성요소는 적당한 관광 수용력 등 13개 항목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각 항 목에 대하여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3.2 자료수집 본 연구의 목적인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이 관 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관광목적 지인 가야역사문화유적지와 경주국립공원을 방문한 관광 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추출방법 은 두 문화관광목적지 내 관광객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 출법을 사용하였다. 표본 크기는 250매이었고, 회수된 설 문지 236매 가운데 부적합한 설문지 24매를 제외한 유효 표본은 212매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4월 5일부터 2011 년 4월 10일까지와 2011년 5월 16일부터 2011년 5월 23 일까지 실시하였고, 주로 자기기입식 방법을 사용하였으

   며, 일부 대상자에 대해서는 조사원이 보완설명하거나 읽 어주는 방식의 개별면접 방법을 병행하였다. 3.3 분석방법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관광만족도 와 개발접근요인의 중요도 수준은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도 차 이는 t-검정,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은 scheffe검증, 문화 관광목적지 개발접근 영역인 관광시장ᆞ관광대상 관련요 인과 관광만족과의 관계는 단순상관관계분석의 피어슨상 관계수,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 영역인 관광시장ᆞ관 광대상 관련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단계 다 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접근요인 의 구성타당도 검증은 요인분석으로 하였다.

4. 분석결과

4.1 대상자의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전체 212명 중 연령은 20세 미만 51명(24.1%), 21-30세 미만 15명(7.1%), 31-40 세 미만 54명(25.5%), 41-50세 미만 38명(17.9%), 51-60 세 미만 33명(15.6%), 60세 이상 21명(9.9%)로 31-40세 미만이 가장 많았다. 이용 교통수단은 승용차 106명 (50.0%), 관광버스 97명(45.8%), 대중교통 9명(4.2%)으로 승용차와 관광버스가 많았다. 동반자 형태는 가족 74명 (34.9%), 단체 72명(34.0%), 친구.동료 36명(17.0%), 개별 30명(14.2%)으로 가족과 단체가 많았으며, 방문유형은 경유지 방문 131명(62.8%), 최종목적지 방문 81명 (38.2%)으로 경유지 방문이 많았다. 숙박 유무는 숙박함 93명(43.9%), 숙박하지 않음 119명(56.1%)으로 나타났다 [표 2].[표 2] 대상자의 특성 [Table 2] Subject's characteristics 특성 분류 N % 20 세 미만 51 24.1 21-30 세 미만 15 7.1 31-40 세 마만 54 25.5 연령 41-50 세 미만 38 17.9 51-60 세 미만 33 15.6 60 세 이상 21 9.9 승용차 106 50.0 이용 교통수 관광버스 97 45.8 단 대중교통 9 4.2
   가족 74 34.9 개별 30 14.2 동반자 형태 단체 72 34.0 친구.동료 36 17.0 경유지 방문 131 61.8 방문 유형 최종목적지 방문 81 38.2 숙박함 93 43.9 숙박 유무 숙박하지 않음 119 56.1 4.2 개발접근요인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개발접근요인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은 주성분분석 모형을 선택하였 고, 요인회전은 요인들 사이에 상호독립적인 관계를 유지 하고 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각회전인 배리 맥스방식을 선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고유값 1 이상인 요인수가 4개 이었으며, 요인별 의미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요인 부하치가 .45이하인 문항은 제거하여, 총 47항목 중 35항목이 선정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설명분산은 관광잠재력요인 33.8%, 관광활 동요인 17.3%, 관광자원가치요인 15.3%, 관광편익요인 15.2%이었으며, 누적 설명분산은 81.8%로 나타났다[표 3]. 4.3 대상자의 관광만족도와 개발접근요인의 중요도 수준 대상자의 관광만족도 수준은 5점을 만점으로 하여 평 균평점 3.55점으로 나타났으며, 개발접근 요인의 중요도 수준은 5점을 만점으로 하여 관광활동 3.55점, 관광편익 3.40점, 관광자원가치 3.65점, 관광잠재력 3.31점으로 나 타나 관광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발접근 요인별로 중요도가 높은 요소들을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관광활동 요인에서는 문화가치를 인식하는 관광활동 3.84점, 신기하고 특이한 관광활동 3.70점, 구경 보다 체험하는 관광활동 3.66점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 며, 모험적인 관광활동이 3.37점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았 다. 관광편익 요인에서는 편익시설이 상대적으로 우수 3.57점,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 3.54점, 차별화 된 관광상품 개발 3.51점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관 광시설에 대한 욕구 충족이 3.10점으로 중요가 가장 낮았 다. 관광자원가치 요인에서는 보호.보존의 필요성이 큰 역사성 3.99점, 관광대상의 지속 가능성 3.89점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교육.체험.관람 등이 조화된 관광가치 가 3.47점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았다. 관광잠재력 요인에 서는 지역이미지 부각 3.64점, 전통문화이벤트 활성화 3.42점, 장기적으로 높은 관광발전 비전 3.39점 순으로

   [표 3] 개발접근요인의 신뢰도 및 타당도 [Table 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 요인 1 항목 관광잠재력 전통문화이벤트 활성화 .786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773 지역이미지 부각 .719 부정적 요소를 극복한 대안 관광 .693 지역주민과 민간.공공부문의 원활한 협력관계 .602 고유하게 발굴된 문화이벤트 .596 장기적으로 높은 관광발전 비전 .591 지역주민과 민간.공공부문의 원활한 협력관계 .569 휴식.기분전환 기능 강화 .523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관광사업 유치 .453 문화가치를 인식하는 관광활동 관광 참여에 대한 신뢰감 높은 관광활동 모험적인 관광활동 관광 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관광활동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 지속가능한 관광활동 신기하고 특이한 관광활동 구경보다 체험하는 관광활동 종류가 다양하고 선택이 용이한 관광활동 관광체험으로 유인성이 큰 민속성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관광환경 보호.보존의 필요성이 큰 역사성 지역문화에 부합된 관광상품화 교육.체험.관람 등 조화된 관광가치 관광대상의 지속 가능성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가치변화 체험 매력성이 큰 관광자원 차별화된 관광상품 개발 관광시설에 대한 욕구 충족 주변 관광지와 효율적 연계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편의시설이 상대적으로 우수 높은 재방문 의사 효율적인 관광정보 안내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 Initial Eigenvalues 3.387 Cronbach' α .760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explained(%) 33.875 Cumulative Variance(%) 33.875 중요도가 높았으며, 부정적 요소를 극복한 대안관광이 2.98점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았다[표 4]. 4.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도 차이분석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2.619, p=.025), 이용교통 수단(F=6.185, p=.002), 동반자 형태(F=3.319, p=.021)에 따라 유의한 관광만족도 차이가 있었다.
요인 2 요인 3 요인 4 관광활동 관광자원가치 관광편익.856 .809 .769 .759 .747 .716 .650 .632 .624 .831 .806 .792 .724 .694 .663 .637 .590 .828 .780 .779 .746 .739 .714 .712 .583 2.602 2.439 2.346 .746 .807 .766 17.391 15.315 15.243 51.267 66.582 81.825연령에 따른 관광만족도를 구체적으로 보면 20세 미 만 3.92점, 21-30세 미만 3.73점, 31-40세 미만 3.37점, 41-50세 미만 3.71점, 51-60세 미만 3.64점, 60세 이상 3.81점으로 나타나 20세 미만이 가장 높았다. 이용교통 수단에서는 관광버스 3.89점, 대중교통 3.56점, 승용차 3.49점으로 관광버스를 이용한 대상자가 관광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동반자 형태에 따른 관광만족도는 친구 . 동 료 4.00점, 단체 3.74점, 개별 3.53점, 가족 3.51점으로 친 구.동료가 가장 높았다[표 5].
   [표 4] 대상자의 관광만족도와 개발접근요인의 중요도 수 준 [Table 4] Test of the subject's tourism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pproach factor 변 표준 구성요소 평균 수 편차 만 관광만족도 3.67 .82 족 모험적인 관광활동 3.37 .86 구경보다 체험하는 관광활동 3.66 .91 신기하고 특이한 관광활동 3.70 .88 문화가치를 인식하는 관광활동 3.84 .97 지속가능한 관광활동 3.64 .80 관 종류가 다양하고 선택이 용이한 3.47 .86 광 관광활동 활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 3.38 .83 동 관광 참여에 대한 신뢰감 높은 3.40 .91 관광활동 관광 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3.58 .83 관광활동 계 3.55 .46 관광시설에 대한 욕구 충족 3.10 .96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3.38 .89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 3.54 .83 관 효율적인 관광정보 안내 3.44 .89 광 높은 재방문 의사 3.33 .90 편 주변 관광지와 효율적 연계 3.35 1.02 익 편의시설이 상대적으로 우수 3.57 1.02 차별화된 관광상품 개발 3.51 1.03 계 3.40 .58 매력성이 큰 관광자원 3.52 .87 보호.보존의 필요성이 큰 역사성 3.99 .95 관광체험으로 유인성이 큰 민속성 3.64 .91 관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3.58 .92 광 가치변화 체험 자 지역문화에 부합된 관광상품화 3.52 .84 원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3.63 .94 가 관광환경 치 관광대상의 지속 가능성 3.89 .91 교육.체험.관람 등 조화된 3.47 .93 관광가치 계 3.65 .59 전통문화이벤트 활성화 3.42 .81 지역이미지 부각 3.64 .82 고유하게 발굴된 문화이벤트 3.33 .92 장기적으로 높은 관광발전 비전 3.39 .92 관 휴식.기분전환 기능 강화 3.33 .93 광 부정적 요소를 극복한 대안관광 2.98 .97 잠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3.32 .91 재 관광사업 유치 력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3.17 .96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3.36 .79 지역주민과 민간.공공부문의 3.23 .91 원활한 협력관계 계 3.31 .50

   [표 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도 차이 [Table 5] Tourism satisfaction test based on subject's characteristics 특성 분류 M(SD) t or F p scheffe 20 세 미만 a 3.92(.91) 21-30 세 미만 b 3.73(.73) 31-40 세 마만 c 3.37(.68) 연령 2.619 .025 a>c 41-50 세 미만 d 3.71(.73) 51-60 세 미만 e 3.64(.69) 60 세 이상 f 3.81(.99) 이용 승용차 a 3.49(.87) 교통 관광버스 b 3.89(.74) 6.185 .002 b>a 수단 대중교통 c 3.56(.52) 가족 a 3.51(.94) 동반자 개별 b 3.53(.57) 3.319 .021 d>a,b 형태 단체 c 3.74(.75) 친구.동료 d 4.00(.82) 방문 경유지 방문 3.76(.86) 1.827 .069 유형 최종목적지 방문 3.54(.74) 숙박 숙박함 3.68(.72) .243 .808 유무 숙박하지 않음 3.65(.89) 4.5 개발접근요인과 관광만족과의 관계분석 개발접근요인과 관광만족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관 광만족과 관광활동 요인(r=.508, p=.000), 관광편익 요인 (r=.581, p=.000), 관광자원가치 요인(r=.423, p=.000), 관 광잠재력 요인(r=.508, p=.000)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표 6]. [표 6] 개발접근요인과 관광만족과의 관계 [Table 6]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approach factor and tourism satisfaction 관광활동 관광편익 관광자원가치 관광잠재력 변수 r(p) r(p) r(p) r(p) 관광만족 .508(.000) .581(.000) .423(.000) .503(.000) 4.6 개발접근요인의 관광만족 영향분석 4.6.1 설명변수의 다중공선성 전체 설명변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다중공선성을 분석한 결과 공차한계가 .73에서 .98의 범위로 나타나 1 에 근접하므로 다중공선성이 없어 회귀분석의 과정을 만 족시킨다고 볼 수 있다. 4.6.2 관광시장 접근영역의 관광만족 영향분석 우선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활동요소를 파악 하기 위하여 9개의 관광활동 하위 요소를 가능한 영향요 인으로 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영

   향을 미치는 관광활동 요소는 관광 참여에 대한 신뢰감 높은 관광활동(.328)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관광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관광활동(.303), 지속가능한 관광활동 (.149),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134) 순서로 나타 났다. 이러한 관광활동 요소들이 관광만족을 42.0% 설명 하였다[표 7]. 관광활동 요소는 선행연구[7, 10, 19] 결과와 도 관련이 높았다. [표 7]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활동 요소 [Table 7] Tourism activity exert a influence upon tourism satisfaction 관광활동 요소 β t p R 2 Ad. R 2 F 관광 참여에 대 한 신뢰감 높은 .328 5.166 .000 관광활동 관광 기대와 실 제 잘 조화된 관 .303 4.960 .000 광활동 .431 .420 39.249 *** 지속가능한 관 .149 2.817 .005 광활동 관광내용이 체 .134 2.124 .035 계적 관광활동 *** p<.001 다음으로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편익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8개의 관광편익 하위 요소를 가능한 영 향요인으로 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관광편익 요소는 편의시설이 상대적으로 우수(.382)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202),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189), 효율적인 관광정보 안내(.182)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편익 요소들이 관광만족을 42.5% 설명하였다[표 8]. 관광편익 요소도 관련 선행연구[5, 7, 10, 11, 12, 13, 17, 18]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 8]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편익 요소 [Table 8] Tourism benefit exert a influence upon tourism satisfaction 관광편익 요소 β t p R 2 Ad. R 2 F 편의시설이 상대 .382 6.638 .000 적으로 우수 관광객과 지역주 .202 3.302 .001 민의 활발한 관계 39.958 .436 .425 관광대상에 대한 *** .189 3.543 .000 높은 선호도 효율적인 관광정 .182 2.811 .005 보 안내 *** p<.001

   4.6.3 관광대상 접근영역의 관광만족 영향분석 우선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자원가치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8개의 관광자원가치 하위 요소를 가능 한 영향요인으로 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매력 성이 큰 관광자원(.315), 교육.체험.관람 등이 조화된 관광 가치(.274)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관광자원가치 요소들이 관광만족을 24.0% 설명하 였다[표 9]. 관광자원가치 요소도 관련 선행연구 [6, 7, 10, 11, 15]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표 9] 관광만족에 영향하는 관광자원가치 요소 [Table 9] Tourism resources value exert a influence upon tourism satisfaction 관광자원 β t p R 2 Ad. R 2 F 가치요소 매력성이 큰 관 .315 4.751 .000 광자원 34.330* 교육.체험.관람 .247 .240 ** 둥이 조화된 관 .274 4.134 .000 광가치 *** p<.001 다음으로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잠재력 요소 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의 관광잠재력 하위 요소를 가 능한 영향요인으로 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휴 식.기분전환 기능 강화(.290),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277), 전통문화이벤트 활성화(.164)가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광잠재력 요소들이 관광 만족을 29.0% 설명하였다[표 10]. 관광잠재력 요소도 관 련 선행연구[4-6,9,12,1 5, 6, 9, 12, 15, 19] 결과와 유사하였다. [표 10] 관광만족에 영향하는 관광잠재력 요소 [Table 10] Tourism potentiality exert a influence upon tourism satisfaction 관광잠재력 β t p R 2 Ad. R 2 F 요소 휴식 . 기분전환 .290 4.652 .000 기능 강화 지역주민의 삶 29.517 .277 4.245 .000 .301 .290 의 질 향상 *** 전통문화이벤트 .164 2.551 .001 활성화 *** p<.001

   4.6.4 개발접근요인의 관광만족 영향분석 대상자의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접근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접근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로 구성된 관광활동 요인, 관광편익 요인, 관장자 원가치 요인, 관광잠재력 요인 등 4개의 개발접근요인을 가능한 영향요인으로 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 다. 관광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개발접근요인은 관광편익(.311)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관광활동 (.283), 관광자원가치(.145) 요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발접근요인들이 관광만족을 51.4% 설명하였다[표 11]. [표 11]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접근요인 [Table 11] Development approach factor exert a influence upon tourism satisfaction 개발접근 요인 β t p R 2 Ad. R 2 F 관광편익 .311 4.371 .000 56.249 관광활동 .283 3.851 .000 .523 .514 *** 관광자원가치 .145 2.439 .016 *** p<.001

5. 결론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관광목적지의 개발접 근요인에는 어떤 요소들이 있고, 각 요인과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수준 내에서 관광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 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이용교통 수단, 동반자 형태 에 따라 유의한 관광만족도 차이가 있었다. 이는 문화관 광목적지를 대상으로 하는 관광시장세분화 연구결과에 따른 관련요소들과도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과 관광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광만족과 관광시장 접근영역(관광편익, 관 광활동 요인), 관광대상 접근영역(관광잠재력, 관광자원 가치 요인)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문화관광목적지를 대상으로 한 Leiper[3]의 기능적 시스 템접근요인들과도 일치를 보이는데 향후 문화관광목적지 를 활성화하고자 할 때 관광객에게 관광만족을 줄 수 있 는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 이다.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 요인별 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선 관광활동 요인 가운데는 관광 참여에 대한 신뢰감 높은 관광활동, 관광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관광활동, 지속가능한 관광 활동,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 요소 순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관광활동 요소들 이 관광만족을 42.0% 설명하였다. 관광 참여에 대한 신 뢰감 높은 관광활동 요소는 선행연구[7, 10] 결과와도 관 련이 높았다. 관광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관광활동 요 소는 Garrod[19]의 연구결과와도 일치되었다. 지속가능한 관광활동 요소도 선행연구[4, 8, 14] 관련결과와도 유사하 게 나타났다.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 요소도 관련 선행연구[12, 15, 16] 결과와 유사하였다. 둘째, 관광편익 요인 가운데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편 의시설,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효율적인 관광정보 안내 요소 순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관광편익 요소들이 관광만족을 42.5% 설명하였다. 상대적으로 우 수한 편의시설 요소는 관련 선행연구[7, 12, 17] 결과와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 요 소는 관련 선행연구[5, 10, 13, 18] 결과와도 유사하게 나타 났다.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요소도 관련 선행연 구[12, 19]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효율적인 관광정보 안내 요소도 선행연구[7, 12]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관광자원가치 요인 가운데는 매력성이 큰 관광 자원, 교육.체험.관람 등 조화된 관광가치 요소 순서로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관광자원가 치 요소들이 관광만족을 24.0% 설명하였다. 매력성이 큰 관광자원 요소는 관련 선행연구[6, 7, 15]결과와도 유사하 게 나타났다. 교육.체험.관람 등 조화된 관광가치 요소도 관련 선행연구[10, 11, 16, 17, 18, 19] 결과와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광잠재력 요인 가운데는 휴식.기분전환 기능 강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전통문화이벤트 활 성화 요소 순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이러한 관광잠재력 요소들이 관광만족을 29.0% 설 명하였다. 휴식.기분전환 기능 강화 요소는 관련 선행연 구[15, 19]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 상 요소도 관련 선행연구[4, 5, 6, 9]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 다. 전통문화이벤트 활성화 요소는 관광이벤트 활성화 요 소와 일치하였다[12]. 결과적으로 관광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문화 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은 관광편익 요인으로 나타났으 며, 다음은 관광활동, 관광자원가치 요인 순서로 나타났 다. 이러한 개발접근요인들이 관광만족을 51.4% 설명하 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관 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을 효율적으로 조화시켜 개발대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접근요인을 체계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문화관광목적지를 방문 한 관광객의 관광만족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때 문화관

   광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향 후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을 고려할 때 관광편익 요인의 구성요소(상대적으로 우수한 편의시설,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활발한 관계, 관광대상에 대한 높은 선호도, 효율적인 관광정보 안내), 관광활동 요인의 구성요소(관 광참여에 대한 신뢰감 높은 관광활동, 관광기대와 실제로 잘 조화된 관광활동, 지속가능한 관광활동, 관광내용이 체계적인 관광활동), 관광자원가치 요인의 구성요소(매력 성이 큰 관광자원, 교육.체험.관람 등 조화된 관광가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문화관광개발접근요인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문화관광목적지를 방문한 관광객만 을 대상으로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관광 지역주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관광잠재력 요인의 비중 이 낮아지는 측면을 반영하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이 다. 문화관광목적지 개발접근요인은 관광시장요인인 관 광객의 요구충족도 중요하지만 관광대상요인 가운데 하 나인 관광지역주민의 희망조건 충족도 중요하기 때문에 향후 문화관광목적지 관광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개발 접근요인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도 효율적인 문화관광개발을 위하여 요구된다.

References

  • [1] A. Sessa, "The Science of Systems for Tourism Development",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15(2), pp.217-232, 1988.
  • [2] S. Berry & A. Ladkin, "Sustainable Tourism: A Regional Perspective", Tourism Management, Vol 18(7), pp.433-440, 1997.
  • [3] N. Leiper, "The Framework of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6(4), pp.390-407, 1979.
  • [4] S. S. Yang, et. al., "A Study of Resi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23(4), pp.199-210,, 2009.
  • [5] S. C. Kim, et. al., "Percep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Tourists and Civil servants toward Anmyundo Tourism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0(3), pp.1-19, 2006.
  • [6] S. Y. Kim, "An Empirical Study on the Approach Factors of Development Plan in the Tourism Complex of Confucian Type",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6(6), pp. 153-166, 2001.
  • [7] I. H. Yu, et. al., "The Relations of Residents' Environment Perception,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for Community Based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33(1), pp.157-179, 2009.
  • [8] Y. S. Lee, et. al., "A Study of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for the Tourist Spot of Traditional Folk Village : Focusing on the Naganeupseong Folk Village",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23(4), pp.211-228, 2009.
  • [9] S. J. Ham, et. al., "Residents' Perceptions toward Tourism Development",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22(3), pp.101-112, 2009.
  • [10] G. Marzano & N. Scott, "Power in Destination Brand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36(2), pp.247-267, 2009.
  • [11] J. D. Kim, "Formation of Tourism Governance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The Case of G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21(3), pp.391-407, 2007.
  • [12] A. P. Russo & J. van der Borg, "Planning Considerations for Cultural Tourism: A Case Study of Four European Cities", Touirsm Management, Vol 23(6), pp.631-637, 2002.
  • [13] K. I. Cho, et. al., "Structural Equation of Resident Attitudes to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ourisn Sciences, Vol 26(2), pp.31-51, 2002.
  • [14] A. P. Russo & G. Segre, "Destination Models and Property Regimes: An Explor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36(4), pp.587-606, 2009.
  • [15] C. Y. Jin, et. al., "The Effect of Tourist Experience on Touris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ase of Non-institutionalized Domestic Tourist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1(4), pp.23-41, 2007.
  • [16] I. H. Sohn, "Development of Experience Scale in Cultural Touring Spots: Evaluations of Busan Museums Visitor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33(1), pp.181-202, 2009.
  • [17] Y. Yoon & M. Uysal,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Destination Loyalty: A Structural Model", Touirsm Management, Vol 26(1), pp.45-56, 2005.
  • [18] R. Buckley, C. Ollenburg, & L. Zhong, "Cultural Landscape in Mongolian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35(1), pp.47-61, 2008.
  • [19] B. Garro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stination Imagery and Tourist Photography",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 47(3), pp.267-274, 2009. 김 사 영 (Sa-Young Kim) [정회원] • 1990년 8월 : 한양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문학석사) • 1995년 8월 : 한양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문학박사) • 1993년 3월 ~ 현재 : 대구과학 대학교 호텔관광과 교수 <관심분야> 관광개발, 여행사경영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