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2, No. 3 pp. 1427-1438, 2011
142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1428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142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1430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143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1432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143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1434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143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1436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143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2011
신뢰성 확보를 위한 u-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시험 방법
Hae-Sool Yang1*, Jin-Yu Jin1
Abstract
Currently, efforts towards pursuit of standardization of u-Health technology and for development of our own source technologies and functions in Korea are being made continuously. Accordingly, base technologies in the area of u-Health software as well as trends in and standards of u-Health software market were investigated, a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reliable evaluation model for u-Health software. For this purpos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types of u-Health software were examined, and u-Health technological trend and standard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preliminary research, reliable evaluation model for u-Health software was developed. Key Words : U-Health, Reliability, Evaluation models
양해술 1* , 김금옥 1 1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The u-Health care Software Testing Method For a Reliability Secure
요 약 현재 u-Health 기술의 표준화 추진 및 국내 자체의 원천 기술 및 기능개발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 어지는 시점이다 . 이에 따라 u-Health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반 기술을 조사하고 u-Health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및 표 준을 조사하였으며 , 신뢰성 있는 u-Health 소프트웨어의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u-Health 소프트웨어의 특성 및 서비스 유형을 조사하고 u-Health 기술 동향 및 표준을 분석하였으며 , u-Health 소프트 웨어 기술적 , 기능적 요소를 분석하여 u-Health 소프트웨어를 국제표준 ISO/IEC 9126 에 입각하여 품질평가 항목을 개발하였다 . 이를 기반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으며 , 개발된 평가모델을 바탕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 품질 시험평가를 하였다 . 신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모델 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경쟁력을 갖춘 u-Health 제품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1. 서론 인의 생체신호 및 건강정보를 측정(sensing)하여 건강관 리회사나 의료기관이 운영하는 건강정보 시스템으로 전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인 u-Health 시대가 도래하고 있 송한다. 건강정보시스템이 전송된 정보에 패턴을 분석해 다. 유헬스(u-Health)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와 헬스 주면, 건강관리사나 주치의는 대상고객에 대해 원격으로 (health)의 약어로서 환자가 병원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언제나,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를 u-Health 서비스의 시작으로 병원에서 단발성 치료에 받을 수 있는 의료 서비스를 말한다. 유헬스(u-Health)는 국한되었던 기존 서비스가 이제는 가정 등 실생활 전 영 개인의 생체신호 및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전문의에게 전 역에서 평생에 걸쳐 제공되어 시.공간적으로 확대되었다 송하여 분석 및 피드백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 [1,2,7]. "이 논문은 2009년도 호서대학교의 재원으로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09-0152) * 교신저자 : 양해술(hsyang@hoseo.edu) 접수일 10년 09월 27일 수정일 (1차 11년 01월 11일, 2차 11년 03월 02월, 3차 11년 03월 09일) 게재확정일 11년 03월 10일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공간이 의료기관 내에서 가정, 가능토록 하는 개념이다. RFID센서를 응용하여 병원이나 피트니스 클럽, 길거리 등 실생활 영역으로 연장(공간적 지원기관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입원한자 상 확대)이 되면서 무선 화상통신기술 등의 발전으로 어디 태 및 병상정보 등의 병원정보와 건강정보 네트워킹을 서나 의사와 건강상담 및 진료가 가능하며, 이동 중에서 의료기관 내부 정보 시스템에서 구현하여 유무선 단말기 도 환자의 심전도 및 혈압 등을 측정하는 센싱기술의 발 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등의 형태를 전으로 의료서비스 공간이 급속히 확대된다. 의료서비스 띠고 있다. 가 단발성 질병치료 개념에서 확대(시간적 확대)되면서 두번째로 홈&모바일 헬스케어형은 병원외부에서 이 개인의 건강정보가 전 생애에 걸쳐 축적됨에 따라 개인 루어지는 환자의 혈압, 맥박, 혈당 등 생체 및 건강정보를 별 맞춤서비스 및 예방서비스가 가능하며, 특히 만성질환 측정하고 운동.식이.투약 등 원격서비스를 제공하며 질병 자의 경우, 24시간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8]. 본 연구에서는 u-Health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반 기술 과 u-Health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사하고 u-Health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u-Health 소프트웨어의 특성 및 서비스 유형을 조사/분석하고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 사/분석하며 수요를 예측하며 이를 기반으로 u-Health 소 프트웨어의 신뢰성 확보하기 위한 기능 정의 및 평가항 목의 도출과 평가모델을 개발한다. 본 연구 u-Health 소 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통해 현재 u-Health 기술의 표준 화 추진 및 국내 자체의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u-Health 소프트웨어 의 품질향상을 구축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욱이 본 연구를 통해 u-Health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테스트 기 술, u-Health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제도화 및 실질적인 시험에 활용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 u-Health 유형 분류 2. 관련연구 셋째로 웰니스형은 일반인의 건강증진 도모를 위한 가 정 및 이동공간에서 일반인의 건강증진 도모를 중점으로 2.1 u-Health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Health 산업은 원격진료 등 u-Health 서비스를 직접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이용자의 평소 상태를 측정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부분과 생체 정보의 센싱과 전송을 위한 온라인 및 모바일을 통해 이용자의 건강상태에 맞춘 식 장비 및 솔루션 부분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이법, 운동법 등을 카운슬링을 제공하는 형태이다. 아래 체계적인 u-Health관련 산업의 유형 분류가 마련되지 않 의 그림 1은 위에서 말한 u-Hospital형, 홈&모바일 헬스 은 상황이다. 하지만 기술의 이용 대상에 따라 케어형, 웰니스형의 분류에 대해서 나타낸 그림이다. u-Hospital, 홈&모바일 헬스케어형, 웰니스형의 3가지 유 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서비스의 특성에 따 2.2 u-Health 서비스 유형별 주요기능 분석 라 헬스케어(Healrhcare)형과 웰니스(Wellness)형으로 분 u-Health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유형별 주요기능은 아 류될 수 있다[13,15]. 래와 같다. 먼저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u-Hospital형은 병원이라 는 특수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진료, 수술, 처치 등을 포 2.2.1 생체신호 측정센서 기술 함하는 의료행위 및 진료예약, 수납, 처방 기록, 약제관리 생체신호의 특성으로는 생체신호의 경우 통신에서 일 등을 무선통신, RFID기술 등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 데이터, 영상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심전도(ECG), 뇌파도(EEG), 근전도(EMG) 등은
[그림 2] 생체신호의 특징
기본적으로 전기적 신호이며, 혈액 및 혈당 등은 화학적 수 있다. 임상용으로 사용하는 심전계는 채널에 따라 1∼ 신호이므로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트랜 12개 채널에서 동시 측정이 가능하며, 5∼10개 리드선을 스튜서(Transducer)가 필요하다. 또한 생체 신호는 주기 심장 부근, 손목과 발목에 전극으로 연결하여 심전도 검 적이며, 비대칭적 특성을 가지며, 어떤 신호는 실시간 응 사를 한다. 답을 필요로 하며, 어떤 신호의 경우는 에러가 발생해서 는 안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측면에서 QoS(Quality of 2.3 국내 u-Health 동향 Service)를 보장해야 한다. 그림 2에서는 생체신호의 특 현재 국내는 체중, 체성분, 혈당, 혈압 등 다양한 생체 징에 대해서 나타낸 그림이다.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통합형 생체측정단말기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혈당 등 일부에 국한되어 상용 화되어 있다. 최근 홈헬스케어 업체인 에버케어와 코스텔 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홈헬스케어 단말기 HUCAARE 를 발표하였고, 서비스 기능과 서비스 장면 등을 시연하 면서 홈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였으나, 아직 개발 초기단 계로 생체측정단말기의 경우 디자인만 개발한 상태이다. 최근의 국내외적으로 정보통신 서비스가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생체 계측기와 치료기에 융합시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환자의 질병 및 건강관리가 가능한 원격 재택형 의 료정보 시스템을 경쟁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다. 2.2.2 생체신호 전송 모니터링 기술 LG전자에선 2006년 초 IT 헬스케어 전문업체인 인성 이 기술은 혈압, 초당 호흡수를 측정하여 즉시 자동적 정보와 홈네트워크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으로 의사나 가족에게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를 상업용으 체결하고, 홈네트워크 기능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접목아 로 폭 넓게 사용하게 하는 기술이다. 파트나 맨션 입주자들에게 원격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 이러한 기술은 의사의 노약자나 환자 방문의 필요성을 정이다. 감소시키고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을 이용하여 규칙적인 SK텔레콤은 2006년 9월 정통부와 함께 독거 및 저소 자료 갱신이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건강상태를 공유할 수 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u-Health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의사들이 환자 치료의 우선순위를 였으며, 노인들에게 당뇨, 고혈압, 호흡기 등의 질환을 점 결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검할 수 있는 단말기를 나눠 주고, 이를 통해 환자의 병 원격지에서 의료 진료를 제공하는 기술은 새로운 것은 세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니다. 의사들은 수년간 전문가와 통신하는 “텔레메디 슨(Telemedicine)"에 의존하고 있었다. 최근의 텔레메디 2.4 국외 u-Health 동향 슨은 원거리 환자에게 로봇 수술을 하는 것까지 확대되 u-Health 시장으로서의 진출에 있어 가장 활발한 움직 고 있다. 임을 보이고 있는 SI 및 솔루션 업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u-Health의 시작은 병원정보화에서부터 시작되기 2.2.3 생체신호 측정기기 기술 때문에 기존 IT산업에서 SI 및 솔루션 제공업체였던 기업 생체신호의 측정기기 기술중에서 심전계(ECG, 들의 진출이 가장 먼저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가장 대 Electrocardiograph)는 심장이 박동하면 심근에 발생한 미 표적인 기업으로는 IBM으로서 국내에서도 의료 서비스 소한 활동전위차(1mV의 전압)를 생체표면에 부착한 전 업체와 협력관계를 형성, 인터넷 기반 의료영상전송저장 극으로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변동곡선(0.1 ~ 200Hz 정 시스템(PACS)을 도입함으로써 IT 인프라의 초기 도입비 도의 주파수 성분)을 기록하여 표시하는 기기를 말하며, 용과 관리 부담을 줄여 대형 병원 뿐만 아니라 중소병원 이 때 얻은 곡선을 심전도(Electrocardiogram)라 한다. 심 의 병원정보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또한, IBM은 인체 전도에 나타난 심장박동으로 인한 전기적 파형(심전도) 의 3차원 모형 아바타를 이용해 의사들에게 환자의 건강 을 분석하여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심장마비) 등의 허 기록을 시각화해 보여주는 3차원 시각화 소프트웨어 혈성 심장질환, 심방과 심실의 비대, 확장 등의 진단을 할 (S/W) 'ASME(Anatomic and Symbolic Mapper Engine)'를
개발하여 마우스로 아바타 인체의 특정부위를 클릭해 손 3.1 기능성 평가요소 쉽게 환자의 이전 진료 기록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 u-Health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특징과 요구사항을 바 다. 탕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의 기능성 특성을 분류하고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인 인텔 역시 IT 진출이 가장 분석하고자 한다. 적은 헬스케어 부문에서의 가능성을 예견하고 ‘05년 디 지털 헬스 사업부를 발족, 반도체를 이용한 u-Health 기 [표 1] 기능성 평가요소 술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텔은 현재 컴퓨팅 성능 no 구분 기능적 요소 을 높여주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 환자의 정보를 지켜주 • u-Health 소프트웨어의 필수기능을 는 보안기술, 효율성과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켜주는 무 갖추고 있어야 한다 . 선 통합기술, 가상화 기술 등 디지털 헬스의 성공을 이끌 1 기능적 ex) 다양한 기능 버튼 - 실행 및 핵심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에 맞게 만 중지 기능 , u-Health 서버와의 통신기능 , 다양한 입출력 장치에 들어진 태블릿 PC들도 개발중으로 이를 바탕으로 u-병원 대한 인터페이스 등 . 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 효율적인 피드백 또는 고정형 피드 2 기능적 백 장치의 활용을 위해 원격 외부 2.5 기존연구 한계점 분석 장치와 통신 기능이 제공 되어야 한다 . 기존에 연구되었던 자료들을 분석해보면 “U-Health 시 3 기능적 • 다중 생체 신호를 처리 할 수 있어 야 한다 . 스템의 휴먼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성 평가모델 • 생체신호 센서가 u-Health 단말과 적용 연구”[13]에서는 U-Health 시스템의 사용성을 중심 4 기능적 통신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로토콜 으로 사용환경에서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 을 지원되어야 한다 . 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직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사용 • 피드백 장치가 u-Health 응용프로그 자를 전문가와 일반 사용자로 구분하여 사용성을 평가하 5 기능적 램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어 가능 였다. 이 연구에서는 평가모델을 구성하여 성공적으로 해야 한다 . Task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결과를 분석 • 비상시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경보 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나 유비쿼터스 환경이나 건 를 알려야 한다 . 도움이 필요한 환 자나 이에게 보호자나 간호사에게 강서비스를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6 기능적 알려줌으로서 보다 관리하는 분들에 U-Health 시스템의 다양한 평가관점을 다루지 못하고 사 게 도움이 되고 도움이 필요한 환자 용성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에게 큰 의지가 된다 . 그리고 “컨버전스 시대에 로봇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 u-Health 정보가 인가된 사용자에게 개발”[14]의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사회와 고령화 사회의 7 기능적 만 접근이 허용되며 불법사용자에게 마켓 동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트랜드를 분석하고 마켁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 • u-Health SP(Service Provider) 서 가치사슬 구성과 분석을 통해 유비쿼터스, 헬스 그리고 8 기능적 버가 다른 CP(content Provider) 서 로봇이 통합된 컨버전스 서비스 형태의 u-Health 로봇에 버와 연동이 되어야 한다 . 초점을 맞추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에서 • u-Health 소프트웨어에서 수치 형태 는 로봇산업 비즈니스나 u-Health 로봇산업(하드웨어) 비 9 기능적 로 진단결과를 획득하는 경우 규정 즈니스에 한에 다루었으며, u-Health 소프트웨어에 관한 된 정밀도 수준에 따라 결과를 획득 되어야 한다 . 품질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는 점에 한계점이 있 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관해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3.2 기술적 평가요소 유비쿼터스 환경이나 건강서비스를 고려한 품질평가를 u-Health 의료기기 시스템의 기술적 평가하기 위한 부 도출하였으며, 개발된 품질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 분은 쳇째로 u-Health의료기기, 둘쩨로 홈헬스서버/홈게 해 시험방법도 명시하였다. 이트웨이, 셋째로 u-Health 의료기기와 홈헬스서버/홈게 이트웨이 간의 통신, 넷째로 u-Health용 진단지원시스템 (DSSH)1)로 나뉘어진다. 표 2는 의료기기의 적용범위를 3. u-Heath 소프트웨어 평가모델 나타낸 표이다.
[표 2] 기능적 평가요소 구 분 내 용 u-Health 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식품의약 적용규정 품안전청 고시 ‘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 급에 관한 규정 ’ 에 명시된 의료기기 유무선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의료기기로써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활용기술 구성된 센서기술과 센서로 측정된 데이터의 전송 및 기기의 제어를 하는 통신기술 등이 활용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체온 , 혈압 , 혈당 , 기능 심전도 , 심박수 , 산소포화도 등 주로 생체현 상을 측정 및 관리하는 의료기기 전문의료인의 직접적인 관리나 감독이 행해 사용 장소 지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되어지는 의료기기 의료기기의 전자파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험은 전자파 장해와 전자파내성시험을 평가하는 것으로 식품의약품안 전청고시 2007-32호 ‘의료기기의 전자파안전에 관한 공 통기준규격’이나 IEC60601-1-2 규격을 적용한다. 그리고 u-Health 의료기기의 필수성능 및 일반성능 기준은 식품 의약품안전청고시에 의한 ‘의료기기기준규격’과 ‘전자의 료기기기준규격’을 만족하여야하며, 그 외 품목별 안전을 위한 필수성능으로는 표 3과 같은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 다. [표 3] 품목별 안전을 위한 필수 성능 no 내 용 1 백업전원 구비 (생명지원용) 2 배터리상태 표시 3 과전류 및 이상전원전압에 대한 보호 4 자체교정 및 고장진단기능 5 사용자 식별기능 6 손가락이나 살포획에 대한 보호 7 시각적이나 청각적 경보장치 구비 3.3 u-Health 평가항목 현재 u-Health에 대해서 특화해서 적용할 수 있는 표 준이나 모델이 없으므로 일반적인 국제표준 소프트웨어 평가 모델인 ISO/IEC 9126과 ISO/IEC 12119를 기반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하였다. ISO/IEC 9126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모 델과 이에 대한 평가 절차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으며, 특 히 ISO/IEC 9126에서는 품질 평가 모델이 규정되어 있 다. ISO/IEC 9126-1에서는 내부 품질(Internal Quality),
외부 품질(External Quality), 사용 품질 (Quality in use) 측정을 위한 특성들을 규정하며 각 특성별 품질을 측정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세부 사항으로서 부특성을 제시 한다. 내부 품질은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원시 코드 등이 얼마나 올바르게 작성이 되어 있는가는 것을 뜻하며, 외 부 품질은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를 올바르게 처리하는 등 의 성능을 의미한다. 사용 품질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있어 얼마나 편리한가 등을 나타내며 각 품질 별 특성은 품질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측정지표를 정의한다. 그리고 부특성은 각 특성 별 측정지표를 보다 세분화 한다. ISO/IEC 9126은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품질 요구사항 을 기술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개발 중에 있거나 또 는 개발 완료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측정하는 데 사용 할 수 있는 척도들을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u-Health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외부 품질 측정을 통해 인증 유무를 결정한다. 이러한 외부 품질을 측정하는데 실제로 도움이 되는 측정지표를 ISO/IEC 9126-2 문서에 서 명시하고 있다. 다음의 그림 3은 6가지 특성(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이 있다.
[그림 3] ISO/IEC 9126 u-Health 평가항목에서는 기능성, 신뢰성, 사용성, 효 율성 등의 평가항목이 있다. 3.3.1 기능성 기능성이란 u-Health 소프트웨어가 특정 조건에서 사 용될 때, 명시된 요구와 내재된 요구를 만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능력을 의미한다. 기능성의 평가 항목은 표 4와 같이 적합성, 정확성, 상호운영성, 보 안성, 준수성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품질 부특성은 표 5와 같이 세분화 하였다.
[표 4] 기능성 평가 항목 [표 5] 기능성의 품질검사표 부특성 항목명 평가 평가항목의 목적 평가방법 평가메트릭 사용자 문서에 내 구현된 용 기능의 수 / 제공하는 것으로 명세된 기능의 u-Health 제품의 제품설 구현된 기능의 수 기능 완전성 구현 명서와 기술되어 사용자문서에 있는 모든 기 수 으로 / 제공하는 명세된 기 것 측정항목 A 프로그램의 메뉴 , 단축키 , 도구상자 , 능의 구현 여부를 평가 능의 수 도움말 등을 통해 나타난 기능을 확인하고 사용자 문서로부터 관련 기능에 대한 정보를 대응시킨다 . u-Health S/W 의 필수기 능을 갖추고 있는가를 프로그램에 구현된 기능의 수 - 평가 ( 예 ) : 실행 및 중지 필수 기능 중 구 기능구현 완전성 않는다 기능의 .( 수는 예 : 동일한 중복 가산하지 기능에 대해 메뉴 , 충분성 기능 기능 업데이트 , 다운로딩 , 제거기능 / 업로딩 , 다 , 제품별 현된 기능의 필수 수 기 / 측정항목 B 단축키 수행할 , 수 도구상자 있는 경우 등에서 ) 기능을 양한 입출력 장치에 대 능의 수 단 , 사용자문서에서는 단축키와 한 인터페이스 , 도구상자 등에 대한 사항을 명시하고 적합성 u-Health 서버와의 통신 있어야 함 기능 등 측정식 기능 구현 완전성 = B / A 외부장치와 통신 보다 을 외부장치와 또는 치의 제공하는지 활용을 고정형 효과적인 통신 위해 피드백 평가 피드백 기능 원격 장 구현된 수 통신 원격 외부장치와 기능의 기능의 수 / 측정항목 측정 영역 A 질환을 소프트웨어에서 0 질환을 ≤ 기능 판단하는 추론할 구현 완전성 시 판단할 경우의 u-health ≤ 수 수 1 있는 진단 경우의 수 u-Health S/W 가 감지 정확성 측정항목 B 진단하는 경우의 수 생체신호 다중 신호를 또는 측정된 처리할 다중 수 생체 있는 다중 처리할 생체신호를 수 있는 측정식 진단 정확성 = B / A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지 평 기능의 수 측정 영역 0 ≤ 진단 정확성 ≤ 1 u-Health 가 S/W 의 각 기 문서기술 정보에 변경 측정항목 A 수 내용 변경에 쓰여지는 암호경우의 기능 정확성 구현 능이 부합하는지 되어 명세된 요구하는 여부를 대로 수준에 구현 평 따라 능의 어야 구현된 하는 수 / 평가되 기능 기 방지 측정 측정식 영역 변경 변경 방지 방지 = = A Y or N or NA 정확성 가 의수 진단 정확성 어느 평가 특정 진단하는 정도 질환을 경우 정확한가를 추론하여 , 진단이 질환을 진단하는 및 상황의 추론하여 수 기능 3.3.2 신뢰성이란 신뢰성 명시된 조건에서 사용 되었을때, 소프트웨 어가 가지고 있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의 능력을 운영성 상호 지원 단말 프로토콜 표준 ( 센서와 사이 ) 토콜을 가 수 생체신호 u-Health 있는 지원하는지 표준화된 단말과 센서가 통신할 프로 평 와 데이터 수 다른 이터 이 / 데이터 호환 요구되는 유형의 소프트웨어 가능한 유형의 호환 수 데 성 허용성, 말한다. 품질검사는 신뢰성의 회복성, 표 준수성 평가 7과 항목은 같이 등으로 세분화 표 구성하였으며 6과 하였다. 같이 성숙성, 품질 부특 결함 [표 6] 신뢰성 평가항목 보안 정책 에 수립되어 헬스케어 추론결과로 대한 보안 있는지 시스템 나오는 정책이 평가 운용 데 지의 는 시스템 안 경우의 정책에 수 운용 수 취하 / 보 탐 부특성 회피율 항목명 결함 평가 결함이 정도를 일정한 평가항목의 운용 평가 발생하지 시간 목적 않는 내에 운용시간 1- min(1, 평가 ) 방법 결함수 / 환자 이터를 축적 / 보관 시 데이터 암호화 보안성 데이터 개인 식별이 포함된 정 변화 시키는 데 u-Health 시스템에 발생 시스템에 발생한 암호화 평가 보를 암호화시키는지 이터의 수 성숙성 탐지율 결함 한 용자에게 결함을 제공할 탐지하고 수 사 있 사용자에게 결함을 인식하여 제공 는지를 평가 되는지의 여부 변경 방지 타인이 가 임의로 없도록 내용을 되어 사용자 있는지 바꿀 모르게 평 수 의수 내용 여지는 변경에 암호경우 쓰 평균시간 결함발생 (MTBF) u_Health 함발생 을 시스템의 평가 평균시간 결 의 결함수 min(1,( 한계값 )/ 운용시간 ) MTBF / 결함 다운 발생되는 결함 중 시스 1 - 다운횟수 / 결 허용성 회피율 템 다운을 가져오는 결 함수
함이 발생하지 않는 정 측정식 장애 회피율 (FAR) = 1- B/A 도 측정 영역 0 ≤ 장애 회피율 (FAR) ≤ 1 발생되는 결함 중 장애 장애 를 발생시키는 정도의 1 - 장애발생 횟 u-health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회피율 심각한 결함이 발생하 수 / 결함수 수준에 대한 정보 제공 여부 지 않는 정도 측정항목 A ( 신뢰성 수준 관련 정보의식별 ) 데이터 이 u-Health 발생할 시스템에 경우에 환자 결함 데이터가 경우의 수 복구된 / 오류 정보제공 신뢰성 수준 u-health 대한 정보가 소프트웨어의 제공되고 신뢰성 있는지 수준에 확인 복구율 에 대한 진단 데이터가 발 생 수 ( 데 이 터 측정식 신뢰성 수준 정보제공 (RCI)= A 복구되는 정도 관련 ) 일정 시간 사용중에 이용 가능한 시 측정 영역 신뢰성 N or NA 수준 정보제공 (RCI)= Y or u-Health 시스템이 다운 간 / ( 이용가능한 이용 가능률 이나 기타 이유로 인하 시간 + 장애로 여 사용할 수 없는 기 인해 이용하지 3.3.3 사용성 간을 평가 못한 시간 ) u-Health 시스템에 결함 사용성이란 명시된 조건에서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회복성 평균 시간 복구 이 구가 기까지 발생되었을 시작되어 소요되는 경우 완료되 복구 복 간한계값 1 구횟수 - ( 복구시간 )/ 복구시 / 복 소프트웨어의 이해하고 학습하고, 능력을 사용하며 말한다. 사용성은 선호할 수 표 8과 있는 같이 u-Health 이해 평균 시간을 평가 가능성, 학습 가능성, 운영성, 선호도, 준수성 등으로 구 가능률 복구 있는 제품에 었을 가능성 경우 결함이 복구 정도 발생되 할 수 복구완료횟수 구시도횟수 / 복 하였다. 성하였으며 품질 부특성 품질 검사는 표 9와 같이 세분화 준수성 신뢰성 효과율 준수율 복구 표준 성 어 u-Health 제품에 도 었을 에 표준에 복구하는 있는지 경우 결함이 시스템이 따라 목표 평가 능력의 구현되 발생되 시간내 신뢰 정 의 규정시간내 완료 ` 준수 뢰성 시도횟수 항목별 합 항목수 / 관련 평가할 횟수 성공률 / 복구 표준 복구 신 부특성 친화적 매뉴얼 사용자 항목명 평가 [표 8] 명서를 수 공하는 u-Health 사용성 있는 평가항목의 읽고 기능을 S/W 정도를 품질검사표 제품이 제품의 목적 평가 이해할 제 설 기능 는 해 제품 기능의 이해할 평가 설명서를 수 방법 수 수 / 전체 있 통 사용자 수준을 고 평가메트릭 [표 7] 측정항목 신뢰성의 A 단위 각 부특성 운용시간 내 품질검사표 용 가능성 이해 사용자 안내성 는 는 따라 제품이 기능을 정도 사용할 사용자 제공 수 하고 있게 수준에 하 있 을 있는 ( 려하고 의 예 수 고려할 : / 기능의 사용자 메뉴 있는 필요가 , 기능 단축 수준 수 : 발견된 결함 수 키 , 매크로 등 ) 회피율 결함 측정항목 측정식 B 운용 측정 결함 회피율 시간 중 (FOR)=1- 발견된 결함의 min(1, B/A) 수를 메시지 용이성 이해 타나는 용이 u-Health 정도 메시지의 S/W 사용시 이해 나 수 이해된 수 / 전체 메시지의 메시지의 측정항목 측정 영역 A 0 MTBF ≤ 결함 의 한계값 회피율 (FOR) ≤ 1 이해도 페이스 인터 기타 고 있는 u-Health 기능을 정도 인터페이스를 S/W 이해 의 메뉴 할 수 보 및 기능수 는 해 인터페이스를 기능의 이해할 수 수 / 전체 있 통 운영시간의 결함수 기능 사용자가 제품를 사용 학습을 쉽게 할 진단 측정항목 B 운용 시간 중 발견된 결함의 수를 학습 하기 위한 기능을 쉽게 수 있는 기능의 정확성 측정 학습 용이성 학습할 수 있는 정도 수 / 전체 기능의 수 측정 측정식 영역 0 결함발생 ≤ 결함발생 평균 시간 평군 =1- 시간 min(1, ≤ B/A) 1 가능성 접근용 도움말 이성 게 사용자가 참조할 도움말을 수 있는 정도 쉽 말의 쉽게 말 접근 수 참조된 / 전체 회수 도움 도움 발견된 결함수 u-Health 시스템 사용자 가 일반인이라는 점을 사용하는데에 있 측정항목 A u-health 소프트웨어 운영 중 발견된 조작 단순화 고려하여 조작 방법을 어서 단순화의 여 결함의 수 최대한 단순화하였는지 부 결함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 평가 회피율 장애 발생한 장애 횟수 수 ( ) 재시동이 요구된 결함이 운영성 u-Health 제품의 현재상 측정항목 B 재시동이 경우의 재시동이 수를 필요한 요구된 측정 결함이 경우에 대한 발생한 가능성 상태 파악 전압 태 자에게 파악할 ( 배터리 상태 수 보여주는 상태 있도록 등 ) , 를 전류 사용 기능 쉽게 및 수 가능한 진행상태 메시지의 / 진행상태 메시지의 수 파악이 관련 정의가 필요 제공 정도
용이성 오류 복구 u-Health 어느 수 는 있는가를 도중 정도 제품을 발생한 쉽게 평가 복구할 오류를 사용하 의 사례의 오류 적으로 수 복구가 / 오류 끝난 발생 사례 성공 부특성 항목명 평가 [표 10] 효율성 평가항목의 평가항목 목적 평가 방법 u-Health 시스템에서 선호도 페이스 변경성 인터 조정하는 제품의 사용자의 정도 인터페이스를 기능이 필요에 있는 따라 변경가능한 페이스의 되는 의수 가능하다고 인터페이스 수 / 인터 변경 예상 시간 실시간 전송 측정된 서비스 실시간으로 시스템으로 평가 데이터가 제공자 전송되는지 안전하게 지시간의 평균탐지시간 1 - min(1, 한계값 / 탐 ) 효율성 u-Health 시스템이 평가메트릭 [표 측정항목 9] 사용성의 A 제품 기능의 부특성 설명서를 수 품질검사표 내 통해 용 이해할 수 있는 처리율 평균 시간 성능을 규정된 수행할 평가 내에 제공하여 수준의 수 진단 있는지를 처리 기능을 정해진 평균처리량 1 처리량의 - min(1, 한계값 / 평균 ) 메뉴얼 사용자 친화적 측정항목 B 전체 제품설명서의 기능 수 기능의 수 소형화 생체 소형이어야 신호 측정 함 센서는 신체에 지닐수 제품의 크지 쉽게 있는지 여부 측정 측정식 영역 0 사용자 ≤ 사용자 친화적 친화적 매뉴얼 매뉴얼 = A/B ≤ 1 효율성 자원 저전력 생체 낮은 동작되어야 신호 전력으로 측정 함 센서는 작동가능 낮은 전력으로 여부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을 변경할 있는지 수 여부 있도록 하는 기능이 사용률 CPU u-Health 사용 정도 S/W 의 CPU CPU 사용 정도 ( 사용자 특성 ) u-Health SP(Service 사용자 측정항목 A 지식 ( 기반으로 이전에 사용자 , 숙련도 다른 특성을 기능학습이 , 제품 훈련 반영하는 , 사용경험을 경험 용이 수준 기능 ) QoS(Quality Service) of 요구수준의 동시 만족하는 Provider) 클라이언트에게 서버가 수행성능을 QoS 를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수준 제공하는 성능 요구 여부 안내성 초보자가 제품 사용이 용이 제공하는지 평가 평가자의 컴퓨터 운용 / 활용능력 , 다른 사용자가 관련제품 따라 학습에 사용경험이 소요되는 있는지 시간에 여부에 차이 성능 다중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 동시에 보내는 측정식 사용자 안내성 (UGA) = A 데이터 데이터를 동시에 보낼시 여부 / 서버컴퓨터 혼성여부 혼선여부 상태의 평가 에서 확인할 수 측정 영역 사용자 안내성 (UGA) = Y or N or 있는 데이터 정보 NA 정도 측정항목 A 학습에 설정하고 학습을 소요되는 쉽게 목표 할 시간에 수 목표 있는 시간을 도달하는 기능의 수 데이터의 신뢰도 전송된 전송된 신뢰성의 데이터의 정확도는 평가 전송된 손실 데이터 여부 데이터의 여부 / 전송한 전체 기능의 기능의 기능의 수를 수는 중복 측정 수 가산하지 준수성 효율성 준수율 표준 구현되어 효율성과 및 관례에 있는 관련된 따라 정도 제품이 표준 항목 효율성 준수 총수 / 효율성 관련 표준 항목의 표준 준수 기능 학습 않는다 .( 예 : 동일한 기능에 대해 메뉴 , 용이성 측정항목 B 단축키 , 도구상자 등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 단 , 사용자문서에서는 메뉴 , 단축키 , [표 11] 효율성의 부특성 품질검사표 도구상자 등에 대한 사항을 명시하고 평가메트릭 내 용 있어야 함 측정항목 A 탐지시간의 한계값 측정식 기능 학습 용이성 (FLA) = A/B 평균탐지 시간 측정항목 B 측정 영역 0 ≤ 기능 학습 용이성 (FLA) ≤ 1 실시간 전송시 탐지되는 시간 측정 실시간 전송 평균 시간 = 1- min (1, 실시간 B/A) 3.3.4 효율성 전송 측정식 ∑ i = n 1 T i B = N 효율성이란 명시된 조건에서 사용되어지는 자원의 양 Ti = i 번째의 처리량 에 따라 요구된 성능을 제공하는 u-Health 소프트웨어의 N= 처리량 테스트 케이스 수 측정 영역 0 ≤ 실시간 전송 ≤ 1 효율성, 능력을 말한다. 준수성 등으로 효율성은 구성하였으며 표 10과 같이 품질 시간효율성, 부특성 검사는 자원 저전력 측정항목 A u-health 적정 전력량 소프트웨어 유형에 따른 표 11과 같이 세분화 하였다. 측정항목 B 실제 사용되고 있는 전력량
- 대상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 양을 측정 측정식 저전력 = 1- B/A 측정 영역 0 ≤ 저전력 ≤ 1 QoS 측정항목 A 수준 클라이언트에게 성능 여부 제공하는 요구 (Quality of 측정식 QoS(Quality of Service) = A Service) 측정 영역 QoS(Quality of Service) = Y or N 서버컴퓨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측정항목 A 데이터 정보 정도 측정된 데이터 수를 측정 다른 사용자가 동시에 보내는 측정항목 B 데이터 여부 각각 보낸 데이터 상태 확인 측정 신뢰성 효율성 표준 준수율 (ESR) = B/A 정보제공 수준 B = ∑ i = A 1 Success Total _ _ TC TC i i Success_TC : i 번째 효율성 표준 측정식 준수 확인을 위한 수행한 테스트케이스 중 성공한 건 수 Total_TC : i 번째 효율성 준수 확인을 위한 수행한 모든 테스트케이스 수 측정 영역 0 ≤ 다중 데이터 혼성 여부 ≤ 1 4. u-Health S/W 품질평가 및 시험 평가 본 논문의 u-Health S/W 품질 및 시험 사례에서는 신 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S/W 평가모델을 기반으로 한 대상을 평가 수행하여 품질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평가한 사례 중 신뢰성에 관한 평가 사례를 통해 평가 방법에 대 해 소개하기로 한다. 신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S/W 평가 모델은실시간 으로 화상, 음성, 자료 등을 제공하여 원거리 진료를 지원 하는 웹 기반 화상진료 솔루션 제품에 대해 평가 하였다. 4.1 시험 환경 신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S/W 평가 모델을 기반으 로 한 웹 기반 화상진료 솔루션 제품의 시험환경구성은 그림 4와 같이 서버에는 WAS: Apache 2.2.9, DBMS: PostgreSQL 8.2.9 와 클라이언트에는 Internet Explorer v6.0, 일반 응용프로그램: MS-Office 2003, 바이로봇 ISMS Client 3.5 등을 설치하였고, 10/100Mbps 스위칭 허브를 설치하였다.
[그림 4] 시험환경 구성 4.2 시험 방법 3장에서 도출한 각 부특성 품질검사표의 점검표에 따 라서 측정 및 시험평가 하였다. 다음의 표 12와 표 13은 복구 가능률 점검표와 오조작 회피 점검표를 나타낸 것 이다. [표 12] 복구 가능률 점검표 순번 항목이름 검사결과 비고 입력 자료의 유형에 따라 입력 수작업으로 1 자료를 자동적으로 검사하는 N/A 입력하는 기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 능이 없음 2 작업의 있도록 보로부터 다음 설계되었는가 분명하게 단계가 결정될 제시된 ? 수 정 N/A 해당 음 사항 없 사용자가 필 3 필드 절한 수단이 길이를 나타내기 제공되는가 위해 ? 적 N/A 필요가 록 드 길이를 구성되어 없도 알 있다 . 메뉴 선택은 논리적 , 구별적이 4 며 상호 배타적인가 ? Y 시스템이 다수의 윈도우를 디 스플레이 한다면 윈도우 사이 해당 사항 없 5 의 내비게이션은 단순하고 가 N/A 음 시적인가 ?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기능 6 은 키 사용되는 결과를 또는 단축키는 키와 일으키는 멀리 심각하지 키 떨어져 및 많이 않 있 N/A 음 해당 사항 없 는가 ? 7 있는가 그 데이터 박스는 ? 입력 기본값을 화면과 포함하고 디이얼로 Y 대부분 서 록 진 되어 선택하도 후보군에 있음 정해 시스템 실패가 예상될 때 실제 실패가 발생하기 전에 잠정적 8 인 문제에 대한 지시가 경고 메 Y 시지의 형태로 제공되는가 ?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종료하거 나 로그 오프할 때 시스템이 파 9 일 상태와 현재 수행되는 작업 N/A 을 검사하는가 ?
사용자가 수행한 가장 최근의 해당 사항 없 [표 14] 신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S/W 품질평가 10 작업이 사용자의 취소될 작업이 수 심각한 있는가 ? 결과 N/A 음 품질 특성 부특성 메트릭 측정값 를 초래하고 취소될 수 없는 경 결함 회피율 0.92 11 우 그 작업이 수행되기 전에 경 NA 결함 탐지율 0.87 고 또는 확인 메시지가 제공되 는가 ? 성숙성 문제해결 정보제공 Y 시스템 또는 데이터에 손실을 결함발생 평균시간 0.95 12 주지 연하거나 않고 취소할 진행 중인 수 있는 작업을 기능 지 NA 문제 해결률 0.92 이 제공되는가 ? 다운 회피율 0.95 사용자가 정의한 작업 순서를 결함 허용성 장애 회피율 0.87 13 한 한 따르지 옵션과 정보를 않을 그런 제공하는가 때 옵션을 시스템은 ? 얻기 유용 위 N/A 어떤 해당 음 사항 화면에 없 신 뢰 성 데이터 데이터 오조작 복구율 회복 회피율 정보제공 0.92 Y 1.00 사용자가 가능한 원하지 않는 서든 Home 이용 가능률 0.95 14 상황에서 쉽게 나오기 위한 수 Y 페이지로 되 회복성 평균 복구 시간 0.87 단을 제공하는가 ? 돌아 갈 수 있음 복구 가능률 1.00 Y 의 개수 4 복구 효과율 0.92 N 의 개수 0 장애 회피율 0.95 결 과 1.00 신뢰성 표준 준수율 0.92 준수성 신뢰성 수준 정보 제공 Y [표 13] 오조작 회피 점검표 순번 오조작 기능 회피 상세 설명 여부 회피 비고 실험결과 표 14와 같이 신뢰성의 관점에서 전반적으 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모든 입력이 콤보 박스에서 선 그 외 다른 품질특성의 결과는 표 15같이 나타났다. 1 " 없음 이 오조작의 되는 “ 기능이 대상 레디오 크박스를 택하거나 어 있어 버튼을 오조작의 체크하는 버튼을 클릭하거나 가능성이 클릭하거나 형태로 체 없 되 1 [표 15] 다른 품질특성의 품질 평가 음 특성 품질 부특성 메트릭 측정값 Y 의 개수 1 적합성 기능 구현 완전성 0.96 N 의 개수 0 기능성 정확성 진단 정확성 0.92 결 과 1.00 보안성 변경 방지 Y 사용자 친화적 메뉴얼 0.95 이해 가능성 4.3 시험 결과 사용성 사용자 안내성 Y 본 시험사례의 품질 평가결과는 표 14와 같다. 선정은 가능성 학습 기능 학습 용이성 0.87 평가 대상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요성이 낮거 시간 효율성 실시간 전송 0.96 나 평가 대상이 준비되어 있지 않거나 적용하기에 적합 자원 효율성 저전력 0.96 효율성 하지 않은 것들은 제외될 수 있다. 회복성 QoS Y 메트릭 결과에 대해 메트릭 측정값의 범위에 따라 매 준수성 신뢰성 수준 정보 제공 0.92 우미흡(0.6미만), 미흡(0.6이상-0.7미만), 보통(0.7이상-0.8 미만, 우수(0.8이상-0.9미만), 매우우수(0.9이상) 등으로 대상 제품에 대한 시험결과 품질 특성별 결함내역은 레벨을 분류할 수 있으나 축적된 평가결과를 분석하는 다음 그림 5와 같다. 기능성 결함수는 11개, 신뢰성 결함 연구를 통해 타당성이 검증될 필요가 있다. 수는 4개가 나타났다. 그리고 사용성 결함수는 8개, 이 식성 결함수는 1개 효율성의 결함수는 2개 유지보수성의 결함수는 나타 나지 않았다. 시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 안한 u-Health S/W 품질평가 모델은 u-Health S/W의 기
능적 기술적 및 신뢰성에 대하여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본다.
[그림 5] 시험 결과 4.4 기존 평가 방법과의 비교분석 이 절에서는 지금까지 연구하여 제시된 다양한 평가방 법들과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평가방법을 비교분석하여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툴을 이용하여 소스코드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방 법은 코드 자체를 입력으로 하여 복잡도 척도를 평가하 는 방법으로 자동화하여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하지만 적 용 대상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며 특정 프로 그래밍 언어를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체크리스트 이용 품질평가 방법은 사전에 효과적인 체 크리스트를 보유하고 있다면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구현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개발과정에서의 중간산춤 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 평가범위가 넓으나 중간산출물에 대한 평가결과가 반드시 소프트웨어 제품의 평가를 정확 히 대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품질평가 모듈은 u-Health 소프트웨어의 품질 요구사 항과 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되었으므 로 범용적인 평가방법이 아닌 특성화된 평가방법으로서 상대적으로 평가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이 다. 다만, 특정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한정된 특성을 갖는 제품군의 품질평가에만 적용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표 16] 품질평가 방법의 장단점 비교 평가방법 장점 단점 소스코드의 복잡도를 평가하는 적용 대상이 실행 평가 소스 복잡도 코드 도구 효율적인 유지보수 방법은 복잡도를 코드 평가하며 품질을 평가가 자체를 가능하고 높일 자동화를 입력으로 수 있는 S/W 통해 하여 의 가능한 한정되며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에 특정 한다는 언어를 장점이 있다 점에서 한계가 있다 .
소프트웨어 개발 전 과정에 걸쳐 중간산출물에 대한 체크리스트 를 품질점검 활용한 적용할 소프트웨어뿐만 개발과정에서의 광범위하게 수 있어 적용할 평가범위가 중간산출물에도 아니라 수 있고 구현된 넓은 평가결과가 평가를 소프트웨어 대변하지 정확히 못한다는 제품의 반드시 장점이 있다 . 점에서 한계가 있다 . 품질평가모듈은 u-Health 품질평가 품질평가 적용한 모듈을 아닌 특성 소프트웨어의 구축되므로 상대적으로 특성화된 분석 결과를 평가결과의 범용적인 품질 평가방법으로 바탕으로 요구사항과 평가방법이 타당성을 수 갖는 또는 특정 품질평가에만 있는 소프트웨어 한정된 제품군의 한계가 특성을 적용될 있음 제품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이다 . 5. 결 론 현재 국내 소프트웨어 제품 인증에 대한 관련 기반 연 구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산업용 소프트웨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의료용 소프트웨어, 생체인식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급격히 발 전하고 있는 u-Health 소프트웨어 분야의 벤치마크테스 트 평가모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u-Health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및 현 황과 동향을 기반으로 u-Health 소프트웨어의 기능적/기 술적 평가요소를 분석하고 관련 표준인 ISO/IEC 9126을 근간으로 한 신뢰성을 확보를 위한 방법론을 확립하고자 했다. 확립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u-Health 소프트웨 어인 웹 기반 화상진료 솔루션 제품을 대상으로 시험하 였다. 신뢰성에 대한 시험 결과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 를 보이고 있다. 과거의 연구는 소프트웨어 품질특성의 전반적인 부분 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사용성과 같은 품질특성의 일 부분만을 다룸으로써 단편적인 품질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에서는 u-Health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다 루고 있으며 국제표준을 근간으로 하여 객관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그동안 u-Health 서비스 수준 에 대한 평가모델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u-Health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하는 전반적인 평가방법을 구축하는 연구는 미흡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 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신뢰성 확보를 위한 u-Health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 모델 개발과 향후 실질적인 활용을 통해 고품질의 u-Health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높은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제품의 개발 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양 해 술 (Hae-Sool Yang) [정회원]
[1]
- 김신효, “의료정보화 및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한 국전자통신연구원. [2] “요양기관 정보화 실태조사 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 가원, 2005.
- [3] 손미숙, “u-Health 서비스 지원을 위한 웨어러블 시스 템”, ETRI,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1권 3호, 2006. 9.
- [4] 이상학 외, “정보시스템 벤치마크 테스트 방안 연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연구보고서, 2006. 12.
- [5] S/W 벤치마크테스트 평가모델 개발 이슈, TTA 시험 인증연구소 S/W 시험인증센터, 2006.
- • 1975년 2월 : 홍익대학교 전기공 학과 졸업(학사) • 1978년 8월 : 성균관대학교 정보 처리학과 졸업(석사) • 1991년 3월 : 日本 오사카대학 정보공학과 S/W공학 전공(공학 박사) • 1975년 5월 ~ 1979년 6월 : 육 군중앙경리단 전자계산실 시스 템분석장교
- • 1980년 3월 ~ 1995년 5월 : 강원대학교 전자계산학과 교수
- [6] 권영일, “u-Health 서비스 배경 및 추진현황”, HN Focus Vol.19, 2008. 2.
- [7] 김법완, “국내 u-Health 등장에 따른 정책대응 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12.
- • 1986년 12월 ~ 1987년 12월 : 日本 오사카대학교 객 원연구원
- • 1995년 6월 ~ 2002년 12월 : 한국소프트웨어품질연구 소 소장
- [8] 정병주, “유비쿼터스사회의 의료 보건 비즈니스 트렌 드”, 유비쿼터스사회연구시리즈 제 17호, 2006.6
- • 1999년 11월 ~ 현재 :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교 수
- [9] 지경용, 김문구, 박종현, “u-health 수용 전망과 시장 개발 방향”, IITA, 주간기술동향, 1281호, 2006.2
- • 2010년 3월 ~ 현재 :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원 장
- [10] 강성욱, 김재윤, “유헬스(u-Health) 시대의 도래”, CEO Information 602호, 삼성경제연구소, 2007. 5.
- [11] 염춘영, 김선배, “건설 분야 ERP 시스템의 품질측정 방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0, no.8, pp2044-2054, 2009. 8.
- <관심분야> S/W공학(특히, S/W 품질보증과 품질평가, 품질감리 및 컨설팅, OOA/OOD/OOP, SI), S/W 프로젝트관리, 품질경 영
- [12] 김경묵, 양해술, “VPN(Virtual Private Network) SW 의 시험사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1, no.8, pp3012-3020, 2010. 8.
- [13] 이희은, “u-Health 시스템의 휴면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성 평가 모델 적용 연구”, 아주대학교대학 원 석사논문, 2009.
- [14] 서광규, 안범준, “컨버전스 시대에 로봇산업의 비즈 니스 모델 개발” 한국산학기술학논문지, v10, no.4, pp895-899, 2009.
- [15]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BBC Research. 2006.9.
- 김 금 옥 (Jin-Yu Jin) [정회원] • 2005년 2월 : 호서대학교 벤처전 문대학원 기술경영학 졸업(석사) • 2009년 2월 : 호서대학교 벤처전 문대학원 정보경영학 졸업(박사) • 2009년 2월 ~ 현재 : 호서대학 교 벤처전문대학원 IT응용기술 학과 재학 • 2009년 3월 ~ 현재 : 호남대학 교 정보통신학과 겸임교수
- [16] "Home Monitoring Technologies in the Community/ Home Care Environment",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
- <관심분야> 소프트웨어 품질관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 [17] Bureau Van Dijk, 「OSIRIS DB」, 2007.
- [18] Phlilips, "Annual Report 2006", 2007.
- [19] “The vault is open: Microsoft makes its big move into health care", Economist,. 2007. 10. 4
- [20] "Home Monitoring Technologies in the Community/ Home Care Environment",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