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2, No. 1 pp. 301-311, 2011
박승필 1 , 권인선 2 , 조영채 2* 1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2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 Perceived Fatigue among White Collar Male Workers
1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Research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s
요 약 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 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 2 월 1 일부터 2009 년 4 월 트레스 요인에 따른 피로수준은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 , 하게 높았다 . 결과 ,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 동유무 , 수면시간 , 외래진료유무 , 업무요구도 , 연구결과를 볼 때 , 직장인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
본 연구는 사무직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피로수준 간 피로수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조사대상은 50 인 이상 300 42 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남성 근로자 872 명으로 하였으며 , 자료수집방법은 2009 년 30 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조사대상자의 직무스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 상사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유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피로수준은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주관적 건강상태 , 근무경력 , 결근횟수 , 직장생활만족도 , 규칙적 운 상사의 지지도 및 자기존중감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 위와 같은 직업관련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의 실천여부 뿐만 아니라 ,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Abstract
Key Words :
Fatigue, Job Stress, Type A behavior pattern, Self-esteem, Male Worker
1. 서론
산업장에서 근로자 개인이 경험하게 되는 피로수준은

사무직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 심리적 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

Seung-Pil Park1, In-Sun Kwon2, Young-Chae Cho2*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elf-perceived fatigue and its association with job stress cont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among white collar male worker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872 workers employed in 42 work places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1st to April 30th, 2009. As a results, in terms of levels of self-perceived fatigue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ontents and psychosocial factors, under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elf-perceived fatigue were those with higher level of job demand, lower job autonomy, lower supervisor support and higher locus of control than their respective counterparts. Multiple stepwis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of influence on self-perceived fatigue included age, subjective status of health, job career, experience of sick absence, sense of satisfaction in work, regular exercise, sleeping hours, visiting out-patient department, job demand, supervisor support and self-esteem.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elf-perceived fatigue is so complicatedly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to a greater extent, by JCQ and psychosocial factors.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건강관련행위 특성과 상호 관련 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1]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업적 특성으로 교대근무나 장시간 근무를 비롯하여 직무스트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연령, 학력, 결혼상태, 신장 및 체중, 주관적인 건강상태 등을 측정하였다. 연령은 「 39 세 이하 군 」 , 「 40 ~ 49세군 」 , 「 50세 이상 군 」 으로 구 분하였고, 학력은 「 고등학교 이하 군 」 , 「 대학 이상

   타내는 Cronbach's α 값은 업무 요구도 0.886, 업무의 자 율성 0.762, 상사의 지지도 0.906, 동료의 지지도 0.874로 비교적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3.2 직업관련 특성별 피로수준 조사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피로수준을 비교 하기 위하여 피로점수를 정상군(Q1, Q2, Q3)(94점 이하)
500(81.3) 174(67.7)28(59.6) 19(40.4) 0.000 115(18.7) 83(32.3)326(80.5)15(65.2) 659(77.6) 674(77.3)79(19.5) 0.161 8(34.8) 190(22.4) 198(22.7)178(76.1) 327(77.5) 93(81.6) 674(77.3)56(23.9) 95(22.5) 21(18.4) 198(22.7)
   군, 직장생활에 만족하지 않다는 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 지 않는다는 군, 수면시간이 적당하지 않다는 군, 외래진 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군, 업무요구도가 높을수록, 상 사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피로수

   수로 하여 분석한 연구일 뿐 직무스트레스 요인이나 사 회심리적 요인 등과 같은 중재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중재변수를 포함하여 여러 독립변수들의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