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1, No. 8 pp. 2906-2916, 2010
김지연 1 , 정애화 2* 1 대구가톨릭대학부속 칠곡가톨릭병원 간호사, 2 청주대학교 시간강사
A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in related to Working Posture of Operation-Room Workers.
1 2 Chilgok Catholic Hospital Nurse, Cheongju University Part-time Lecturer
요 약
평가를 REBA
필요하다 ’ 는 것을 의미한다 . 또한 대상자 대부분이 주
목적 : 본 연구는 수술실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상태를 파악 하고자 실시하였다 . 방법 : 수술실 근무자 73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동영상 촬영을 통하여 수술실 근무자의 작업 이용하여 인간공학적 작업분석을 실시하였다 . 결과 : REBA 로 측정한 수술실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부 담정도와 근골격계 통증 정도는 상당히 높은 상태였으며 이것은 조치수준 2 에 해당되며 ‘ 대상자에게 어떠한 조치가 3 〜 4 회 통증을 경험하고 , 다리 , 목 , 어깨에서 심한 통증을 경 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통증간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성별 , 연령 , 결혼상 태 , 체중 , 과거직장 경험 , 하루 평균 근무시간 , 근무형태 , 근무부서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 결론 : 수술실 근로자 는 작업과 관련하여 높은 근골격계 부담과 심한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의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in related
Key Words :

수술실 근무자의 업무수행 관련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연구

Ji-Yeun, Kim, Ae-Hwa Jaung

Abstract

working posture with operation-room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 people who were working from hospital operating-room.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pain symptoms, and pain frequency was given. Objective working posture analysis was done by using REBA after recording moving images in hospital operating-rooms. Results: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risk level of musculoskeletal symptom related working posture was high, and the management level was at the least 2; ‘some management was required for musculoskeletal symptom'. The frequency of pain was 3〜4 times/week and the severe pain were experienced from legs, neck, and shoulder. The result of rel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in were significant variable with sex, age, marital status, weight, past working history, average working time(hr/day), working style, and working depar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operation-room workers have high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are severe musculoskeltal pain related working posture.
Musculoskeletal System, Pain, Operation-Room, Workers
   에 걸쳐 특정 신체부위의 반복 작업과 불편한 작업 자세, 강한 노동 운동, 과도한 힘 등이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발 생된다[1,2]. 발생되는 신체부위로는 목, 어깨, 팔꿈치, 손

   미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인정받은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을 활용하여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통증에 대한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구학 적 특성에 대한 통증 빈도와 정도, REBA에 대해 평균과 t-test ANOVA을
39(53.3) 7.18±1.48 19(26.1) 7.73±1.75 45(61.6) 7.16±1.52 1.314 * 28(28.4) 7.68±1.859(47.4) 10(52.6) 28(62.2) 17(37.8) 8(28.6) 19(67.9)14(19.2) 28(38.3) 13(17.8) 12(16.4) 28(38.4) 13(17.8) 15(20.6) 32(43.7) 15(20.6)
   각 필요함)은 나타나지 않았고, 가장 낮은 점수가 REBA

   따라 목과 어깨 부위 통증, 연령은 목과 어깨부위 통증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한 결과와 이경재 등[33]의 연구결 과인 연령에 따라 어깨, 등, 하지가, 결혼 상태에 따라 등,
참고문헌

[1]

  • [32] 최호달 , 김현호 , 정병용 , 양홍석 , “ 인쇄업종 근로자들 의 작업위험성 평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제 7 권 3 호 , pp.63-72, 2005.
  • [33] 이경재 , 황성환 , 정현기 , 김정철 , 윤혜경 , 안성희 , 이남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