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1, No. 4, pp. 1436-1441, 2010
안상균 1 , 백기자 1* , 정수현 2 1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뇌과학전공, 2 명지대학교 바둑학과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brain activation and emotion by child Baduk study
1 Dept. of Neuroscience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2 Dept. of Baduk Myungji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바둑 학습을 하는 아동들이 학습 전과 후에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바둑 학습을 하는 J 시 I 바둑학원 원생 20 명과 바둑 학원을 다니지 않은 대조군 20 명을 대상으로 바둑 학습 전 뇌파 측정은 2008 년 10 월 27 일부터 11 월 7 일까지 실시하였으며 , 바둑 학습 후 뇌파 측정은 2009 년 11 월 2 일부터 4 일까지 실시하였다 . 연구의 결과로 두 집단의 활성지수와 정서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이는 바둑 학습이 아동들의 뇌의 활성화 와 정서적 안정을 주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
Abstract
Key Words : Brainwave, Baduk Study, Activity Quotient, Emotion Quotient

아동 바둑 학습이 뇌의 활성도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연구

Sang-Kyun Ahn1, Ki-Ja Bak1*, Soo-Hyun Jeong2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the effect on children's brain before and after learning Baduk. The research was performed on 20 pupils attending I Baduk school with the contrast group of 20 pupils who did not take Baduk instruction. The pre-test on the brain waves before learning Baduk were measured from October 27, 2008 to November 7, 2008 and the post-test on the brainwaves after learning Baduk were measured from November 2, 2009 to November 4, 2009. The result confirmed the differences of both resistance activity quotient and emotion quotient.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baduk study possibility in positively affecting the subjects' brain activation and emotion.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인간이 개발해 낸 최고의 지적인 게임으로 알려진 바 둑은 뇌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되고 있다. 바 둑을 둘 때 사람들은 바둑 수의 의미를 분석하고 장차 일 어날 사건을 논리적 추리에 의해 예측하는사고 작용을 끊임없이 사용한다[1]. 바둑을 둘 때 매수마다 사고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뇌의 기능을 활용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사고 과정에서 바둑 학습을 하

   는 아동들은 자연히 분석력, 논리력, 판단력 등과 같은 기 능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뇌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또 한 바둑은 인지적 기능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측면에서 도 뇌 기능이 작용하고 있는데 즉, 현상에 대해 판단하는 사고 과정 속에서 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통제능력, 인내 심, 지구력, 충동억제력, 용기, 절제력, 감정이입능력 등 을 배울 수 있게 한다[2]. 오늘날 바둑은 아동의 지적 능력 배양, 인성훈련 등을 위한 교육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두뇌를 계발시키고 정서훈련과 함께 인간성 함양은 물론 바둑 내면에 있는

   첫째, 바둑 학습을 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활성 지수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둘째, 바둑 학습을 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정서 지수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바둑과 뇌의 관계 바둑은 체스나 장기 등과 함께 “보드 게임(board

   인간의 뇌에서 나오는 뇌파는 [표 1]과 같다. 뇌파 (Brain waves)는 뇌에서 발생하는 0.1~80Hz에 걸친 넓은 저주파 영역을 포함한 작은 파동 현상이다. 뇌파는 두피 로부터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군에서 발생한 미세한 전기 적 파동을 체외로 도출하고 이를 증폭해서 전위를 종축 으로 시간을 횡축으로 해서 기록한 것이다. 뇌파는 뇌 활 동의 지표 혹은 뇌세포의 커뮤니케이션 상태를 나타내며 [8], 뇌파 측정은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뇌기능 상태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신경과학적 검사법이라 할 수 있다[9]. [그림 1]은 본 연

   는 기존의 분석법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10]. 뇌기 능 분석은 뇌의 발달정도를 나타내는 기초율동지수, 자율 신경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자기조절능력지수, 뇌의 각성 정도를 알 수 있는 주의지수, 뇌의 활성상태를 파악하는 활성지수, 정서적인 균형 정도를 파악하는 정서지수, 육 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는 항스트레스지수, 좌뇌와 우뇌의 균형 상태를 파악하는 좌우뇌균형지수, 이 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뇌기능 상태를 판단해 주는 뇌기 능지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활성 정도를 나 타내는 활성지수와 정서적 안정, 불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바둑 학습 전 뇌기능 분석 측정은 2008년 10월 27, 28 일과 11월 3, 4, 7일에 실시하였으며, 바둑 학습 후 측정 은 2009년 11월 2, 3, 4일에 실시하였다. 3.2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J시 I바둑학원에 다니고 있는 원생 실험군 20명과 바둑 학원을 다니지 않은 대조군 20명이 다. 대상자는 초등학생들이며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의 대상자는 모두 남자였다. 중재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쟁점을 최소화하고, 대상자의 권익을 옹호하기 위

   3.5 자료분석방법 자료 분석은 SPSS 1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바둑 학습 전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차이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이용하였다. 모든 자료 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을 * p<.05로 설정하였다. 4. 연구 결과 및 가설 검증

   [표 5] 바둑 학습 전과 후 활성지수 ( 좌 ) 공분산분석 결과 제 III 유형 자유 분산원 평균제곱 F p 제곱합 도 수정모형 2198.211(a) 2 1099.106 13.275 .000 *** 절편 2208.209 1 2208.209 26.670 .000 *** 활성좌전 46.030 1 46.030 .556 .461 집단 2108.823 1 2108.823 25.470 .000 *** 오차 3063.459 37 82.796 합계 225690.046 40 수정합계 5261.670 39

[1]

  • *p<.05, **p<.01, ***p<.001 a. R 제곱 = .516 (수정된 R 제곱 = .490)

   5.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일정기간 바둑 학습을 하는 아동들과 바둑 학습을 하지 않은 아동들의 관계를 뇌 기능 지수로 분석 하였다. 활성지수는 뇌의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정신적 활동과 사고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 과와 관련하여 백기자는 바둑전문인 집단 간의 뇌기능

   바둑 지식 습득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3] 김바로미, “아동 바둑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의식 조 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4] 안상균, “아동 바둑 학습이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5] 임해봉, “바둑 첫걸음”, 서울 : 삼신서적, 1970. [6] 최일호, “Study on brain activation in Baduk problem solving", 한국바둑학회지, 국제 바둑학 학술대회, Vol.3. pp. 25-34, 2005. [7] 정수현, “인생과 바둑”, 서울 : 창작시대, 2001. [8] 박만상, 윤종수, “뇌파학 개론”, 서울: 고려의학.
원대학교 경영학박사 (뇌과학 전 공) • 2005년 6월 ~ 2008년 2월 : 호원대학교 겸임교수 • 2005년 2월 ~ 현재 : 서경대학교 출강 • 2009년 2월 ~ 현재 : 불교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 2005년 10월 ~ 현재 : 뉴로피드백뇌훈련센타 센터장 <관심분야> 뇌과학, 뉴로피드백, 자기주도 학습, 유치원 컨설팅, 대체 의학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