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1, No. 12, pp. 5207-5215, 2010
한승희 1 , 김성길 1* 1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Site-Suitability Analysis Using Spatial Information Analysis
1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요 약 단지계획 또는 특정 목적의 시설물 설립을 위한 적지선정은 제반여건과 주변환경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 다 . 특히 , 인간의 생활공간이라면 채광 및 통풍 , 부지활용의 효용성 등이 중요한 요소이다 . 이를 위해서 3 차원 지형 모델링과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한 다각적인 입체분석이 필요하다 . 이러한 지형모델링에 필수적인 고해상 위성영상이 아리랑 2 호 위성 (KOMPSAT2) 을 통해 국내기술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해 졌다 . 본 연구에 서는 특정목적의 단지계획을 위해 몇 개의 후보지를 선정하고 3 차원 지형모델링과 토지정보를 이용하여 적지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필지분석 , 지가산정 , 경사도 분석 , 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후보지 별 평가지표를 마련 하여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한 결과 효율적이며 합리적으로 적지선정을 할 수 있었다 .
Abstract Selecting proper location for complex facility with special purpose nee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Key Words : Site planning, Site suitability analysis, Attribute analysis, Spatial analysis, Terrain modeling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이용한 적지분석

SeungHee Han1, SungGil Kim1*

Abstract

on the condi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Especially, in case of living space for human, lighting, ventilation, efficiency in land use, etc. are important elements. Diverse 3D analysis through 3D topography modeling and virtual simulation is necessary for this. Now, it can be processed with relatively inexpensive cost sinc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essential in topography modeling is provided with domestic technology through Arirang No. 2 satellite (KOMPSAT2). In this study, several candidate sites is selected for complex planning with special purpose and analysis on proper lo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3D topography modeling and land information. For this, land analysis, land price calculation, slope analysis and aspect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evaluation index for each candidate site and attempting the quantitative evaluation, proper location could be selected efficiently and reasonably.

   1. 서론 기존의 적지선정을 위한 분석은 2차원적인 평면계획과 도시기본계획에서 거론되는 토지이용계획 등의 속성정보 를 이용하여 왔으나 GIS 기술응용이 보편화되고 고해상 위성영상의 유통이 활발해 짐에 따라 3차원 지형분석을 통한 적지분석이 보편화되고 있다. 대상지역이 100만   이상의 넓은 지역일 경우에는 공간정보분석기법을 이용하 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본다. 3차원 지형모델링을 위해 필 수적인 고해상 위성영상은 외국영상을 고가로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었다. 그러나 다행 히도 2006년 7월28일 발사된 아리랑2호(KOMPSAT2)에 탑재된 고해상카메라(1m)가 촬영하는 국산 영상을 저렴하 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3차원 지형모델링 및 시 뮬레이션 분야뿐만 아니라 지형공간정보 등 폭넓은 과학 및 공학영역에서 그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7] 적지분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도시기본계획 상에 표시된 토지이용계획, 지적, 지목, 센서스조사자료 등과 같은 속성 자료는 물론 위상관계(topology)분석을 위해 3차원 지형모 델링이 선행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8]

   [그림 1] 적지분석 흐름도 속성분석은 지적필지분석과 토지이용계획에 대해 실 시하였으며 공간분석에서는 접근성 분석, 가용지분석, 경

   3.2 속성분석 3.2.1 필지분석 1) 제1후보지 필지 수는 후보지 중 가장 적은 21개 필지이다(그림 3). 상대적으로 필지 당 면적이 가장 크며 임야 18필지, 답 3필지로 이루어져 있는 759,163   의 면적부지이다. 전체 부지의 형상이 복잡하며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20필지 이상의 추가적인 매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면적에 비해 21개의 필지로 필지수가 적고 필지 당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어서 부지매입 이 비교적 수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목은 3개 필지가
[그림 4] 제 2 후보지 지적경계 3) 제3후보지
   [그림 6] 제 4 후보지 지적경계 5) 필지총괄분석 부지매입 문제 중 하나의 장애요인은 종중이 가지고 있는 토지이다. 제1후보지와 제2후보지의 경우에는 이러 한 면에서 가장 문제가 없을 것으로 평가된다. 제2후보지

   [그림 7] 후보지 별 국유지와 사유지의 면적분포 [표 3] 후보지 별 공시지가 (2007.1.1 서산시 공시지가 조서 참고 , 단위 : 만원 ) 제1후보지 제2후보지 제3후보지 제4후보지 전체 185,152 242,028 237,525 201,028 국ᆞ공유지 137,711 138,736 181,319 155,715 제외

   (c) 제3후보지 (d) 제4후보지 [그림 9] 후보지 경계와 접근성 제1후보지의 경우 일부의 부지가 도로에 접해 있으나
[그림 10] 제 1 후보지의 종단면도
   2) 제2후보지 비교적 높은 산정상과 능선을 가지고 있는 부지이다. 북측 입구부분 a 경로에 대한 경사는 약 11%로 부지 내 에서 가장 완만함을 보인다(그림 계곡 양측의 경사
[그림 12] 제 3 후보지의 종단면도
   1단계로 하였으며[6] 분석단위는 10m*10m로 하였 다.(ArcGIS Desktop 9.3) 결과는 그림 14와 같다.

   제1후보지의 경우 능선과 계곡이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어 향(向)이 분명히 구별되며 나타나고 있다(그림 15(a)). 부지 전면은 주로 남, 남동, 남서향이며 중간 부분 과 윗부분은 북, 북서, 북동향이다. 그림에서 A지구는 대 체적으로 북향이나 남서, 남동향이 포함되어 있으며 경사 도 비교적 완만한 지역이므로 조성이 용이할 것으로 판 단되며 B지구는 좁은 계곡이나 향이 좋으므로 역시 적절 한 개발지로 판단된다.

   a) 1

   b) 2

   분에 남, 남동, 남서향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경사도 완 만하여 주된 캠퍼스 부지로 적합할 것이다. 4) 제4후보지 부지의 전체적인 방향이 북동쪽을 향하고 있고 지형이 평면경사를 보이며 상당히 높은 표고로부터 낮은 표고까 지 거의 등경사를 보이고 있다. (그림 15(d))에서 보듯이 남, 남동향의 부지는 거의 없어 바람직하지 않은 후보지 라 할 수 있다.

   c) 3 d) 4 [그림 16] 3 차원 지형모델 비행시뮬레이션은 고도 1km 상공에서 후보지역을 고 저각 60°, 시야각 90°로 360° 선회하는 동영상을 제작하 여실시하였다. 경관분석을 통해 후보지역에 국한하지 않 고 주변지역과의 조화와 쾌적함을 평가할 수 있었다. 다

   2 2.00 2.00 0 10.00 12.00 26.00 3 1.11 0 0 4.32 4.00 9.43 4 1.56 2 2.00 2.00 2.00 9.56 4.2.2 공간적합도 산정 평가요소는 접근거리, 표고차, 적합 경사비율, 적합 향 비율이며 적합경사비율은 33.4%를 기준으로 하였고 적 합향 비율은 21.21%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였다[2][5].  

   제1후보지 22.80 15.11 3 38.51 제2후보지 26.00 26.11 5 53.11 제3후보지 9.43 24.83 6 35.46 제4후보지 9.56 11.50 4 21.86 속성적합도, 공간적합도, 경관선호도를 산정하고 최종 적합계를 산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제2후보지가 53.11 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제1후보지가 38.51점으로 두 번째 적합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1]

  • 제4권 제2호, pp. 107~119, 1996.
  • [6] 조명희,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이용한 라오스 남칸 유역 분지의 토지이용평가 및 미작적지분석”, 대한원 격탐사학회지 제11권 제1호, pp. 1~17, 1995.
  • [7] 한승희,이진덕, “지구단위계획을 위한 GIS응용”, 한국 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1호, pp.53-59, 2009.
  • [8] 한승희,이진덕,"아리랑2호 영상을 이용한 3차원지형 분석 및 적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08학술발표대 회, 2008.
통실 책임연구원 • 2005년 3월~ 현재 :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 공학전공 교수 <관심분야> U-Eco City, 대중교통지향의 도시개발(TOD), 도시경제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