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1, No. 12 pp. 5165-5176, 2010
-천안시
명동패션거리 일대 가로를 중심으로-
이기석 1* 1 선문대학교 건축학부
A Study on the Street Revitalization for Downtow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Myeong-dong Fashion Street in Cheonan City-
1 Division of Architecture, Sunmoon University
요 약 가로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 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 다 .
내에 휴식 및 녹지공간 조성 , 등이 제안된다 . 행길 ’, ‘ 옛시청길 ’
본 연구는 최근 극심한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천안역 앞 명동패션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심재생차원에서의 천안시내 기존도심 지역의 물리.환경적 측면 , 역사.문화적 측면 ,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현 아울러 가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가로이용행태와 가로활성화와 관련한 의식을 조사하였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해당 지역의 잠정적인 가로활성화 방안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물리.환경적 측면에서는 기존도심 토지소유자들의 개발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법적 인센티브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며 , ‘ 명동거리 ’ 기존건물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하공간을 활용한 공영주차장 조성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가로별 업종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획일적이지 않도록 ‘ 명동거리 ’, ‘ 은 등 가로별로 독특한 테마를 설정하고 각각의 테마업종들이 예시된다 . 역사.문화적 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이 갖고 있는 역사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역사탐방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패션거리와 연
계하여 보행네트워크화 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
Abstract
Key Words :
Street Space, Revitalization of Street, Downtown Regeneration, Cheonan City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기존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Ki-Seok Lee1*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 main streets in local city with regard to urban regeneration. It focuses on the case of Myeong-dong Fashion Street located in front of Cheonan Station, which recently lost its vitality. In order to explore causes of the decline and solutions for restore, this paper investigate the concerned urban area by approaching through three different aspects: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social and economic aspects, historic and cultural aspects. In addition, the street visitors were surveyed on their visiting patterns, priorities and discontents about the components of street, and preferences for its restoring, etc. The investigation resulted in following findings and proposals. In phys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 it is needed to create legal incentives for encouraging local residents to develop their own district, and suggested to plan green space for relaxation and cultural arts space by using existing building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public parking. In regard of social economic aspects, it is proposed to give each street specialized commercial theme. At the historic and cultural level, it is suggested to plan the pedestrian network which links the Fashion Street with surrounding historic elements.

   국내의 도시는 급격한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주로 시가지 개발의 양적 수요충족에 치중하여 기존도심의 삶 의 질을 위한 도시 조성에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 온 결과 기존도심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특히 주요 관공서 및

   심재생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최근경향과 한계를 살피 고, 천안시의 기존 개발계획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3장 조사대상지 분석에서는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측면에 서 문헌 및 관찰조사를 통해 기존도심의 현황과 문제점

   성화시키기 위한 중요한 측면은 도심이 갖는 특성을 최 대한 활용하여 전문성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심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각 도시의 도 심 전문화 기능을 선별하고 업종별 상권 분석결과와 도 심지역별 업종 전문화 수준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강화

   한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대상지의 남측으로는 ‘버들육거리’에서 서쪽방향으로 경부선철도 하부를 관통하는 ‘동서간 연결도로(폭30m)’ 가 예정되어 있다. 지하차도로서 지상의 양측부는 각각 1 차로를 형성하고, 중앙부는 보행자용 휴게 및 축제의 거
600이상~800미만 1 0.50 800이상~900미만 0 0.00 900초과 8 3.96 합계 202 100보행자전용도로의 아스콘 포장마감 노후된 건축물 입면 않은 가로분위기와 시설들의 맞지 혼재
   와 음식/음료점이 각각 25.00%로 가장 많은 업종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가로는 세 가로중에서 음식특화거리의 가능성을 가장 많이 보이고 있는 가로이다. 또한 천안역 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가로로서 1층 공실률은 세

   데 있어 실질적인 가로방문자들의 가로이용 행태 및 의 견을 참고하는 것은 유의미할 것이다. 사례 대상지의 방 문자 50명을 대상으로 직접 1:1 인터뷰를 통해 설문조사 취지에 대하여 설명한 뒤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다.

   자들의 가로이용행태 및 가로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사 업, 가로이용시 불만사항 등을 조사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 활성화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 . 환경적 측면에서는 기존도심의 쇠퇴원인으로는

   ‘명동거리’에서 시작되어 A 중앙초교(객사터)⟶ B 중앙시 장(사직로) ⟶ C 남산 용주정(사직단)으로 이어지는 코스 와 ‘명동거리’에서 시작되어 A 중앙초교(객사터)⟶ D 서 릿말( 西里 )⟶ E 온양나드리로 이어지는 코스를 생각할 수

[1]

  • 제9호, 2008. 9.
  • [11] 오덕성외 1인, “기존도심 활성화사업의 기초적 평가 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 계 제20권 5호, 2004. 5.
  • [12] 김영환, “성장관리형 도심재생 가이드라인 설정에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