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0, No. 5, pp. 1141-1147, 2009
이태용 1 , 김광환 2* 1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A Study on the Treatment Status and Treatment Compliance of Diabetics Who Visited the Health Centers of Daejeon City
1 Dep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 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 Gykonyang University
요 약 태를 2007 년 7 월 30 일부터 2008 년 2 월 58.5%, HbA1C 가 7% 미만인 경우가 후 혈당수준과 HbA1C 로 높았게 나타났고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해 식이 ,
본 연구는 대전시 보건소에서 당뇨병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577 명을 대상으로 치료순응도 및 혈당 조절 실 24 일까지 조사하였다 . 조사결과 식후 혈당수준이 200mg/dl 미만인 경우가 67.9% 로 많은 당뇨병환자에게서 혈당조절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다 . 또한 식 조절 정도는 보건소마다 차이가 있었다 . 당뇨병 치료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경우는 88.0% 운동요법이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환자가 많았다 . 결론적으로 환자 들은 약의 규칙적인 복용과 식이 및 운동요법이 당뇨병관리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HbA1C 와 식후 혈당수준으로 평가한 혈당조절은 제대로 되고 있지 못했다 .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소마다 차이가
로 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본다 .
Abstract
Key Words
: Health Education, Diabetes, Treatment compliance
1. 서론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당뇨병의 연간 의사
대전시 보건소 내원 당뇨병환자들의 치료실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Tae-Yong Lee1, Kwang-Hwan Kim2*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rom July 30, 2007 to February 24, 2008 on 677 patients who were receiving diabetic treatment at the Health Centers of Deajeon City to find out their blood sugar level adjustment and their treatment compliance. As a result, 58.5% of them showed less than 200mg/dl of blood sugar level, and 67.9% showed their HbA1C of less than 7%, meaning that many of diabetic patients did not have their blood sugar level properly adjusted. And their after-meal blood sugar level and HbA1C adjustment varied depending upon the Health Centers. 88.0% of them were taking medicines for diabetic treatment regularly, and many of them were recognizing the need of dietary and exercise therapies to treat their diabetes. In conclusion, patients were recognizing that regular intakes of medicines, dietary and exercise therapies were very helpful to treatment of diabetes, but their treatments of HbA1C and blood level adjustment were not properly done as shown by their after-meal blood sugar level. The results were greatly different between the Health Centers, so there is a great need to cope with this situation.
2001년 35.4명, 2005년 51.2명으로 연도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 연령에서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30세 이상 성인의 연령별로 검진조
2.3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엑셀에 입력하였고, 통계처 리는 윈도우용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Social
85 (100.0) 61 (100.0) 51 (100.0) 496 (100.0)
상담참여 횟수는 1-2회가 47.4%, 3-5회가 28.2%이었 으며, 보건소별로는 모든 보건소에서 1-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 상담이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 내용에 대한 문항
땅한 의료기관이 없고, 보건소의 서비스에 대한 주민의 믿음이 반영된 결과로 사료된다. 조사결과 식후 혈당수준이 200mg/dl 이하인 경우가
[10] Stern MP, Williams K, Haffer SM, Identification of persons at high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do we need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n Intern Med 2002; 136: 57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