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0, No. 4, pp. 877-886, 2009
정석용 1 , 황규진 2 , 김기범 2* 1 동양공업전문대학 전산정보학부 2 동양공업전문대학 경영학부
The Effects of Auditor Turnover Ratio on the Quality of Earnings
1 School of Computing and Information, Dongyang Technical College 2 School of Management, Dongyang Technical College
요 약 선행연구를 통해 자유선임제도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제도의 도입이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개선시켰다는 점이 밝혀졌다 .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들은 제도 도입 전후만을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 따라서 제도의 도입이 장 기적으로도 효과가 있었는지 여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1995 년부터 2004 년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 (KRX) 에 상장되어 있는 12 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외부감사인 교체빈도가 회계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 회계이익의 질은 [12] 모형과 수정 Jones 모형 (1991) 을 통해 측정하였다 . 실증 분석결과 , 외부감사인 교체빈도가 높은 기업의 재무보고 신뢰성 ( 회계이익의 질 ) 이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경우보다 유 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 회계이익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이 결과는 여전히 유의적이면서 일관되 었다 . 이는 외부감사인 자유선임제도 하에서 경영자에게 제공되는 외부감사인 선임권이 이익조정을 하기 위한 우호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해당 기업의 회계이익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 한다 .
Abstract Since 1982, the auditee have selected the auditor under market mechanism. Under the system on which
Key Words : Auditor turnover ratio, earning's quality, discretionary accrual

경영자의 외부감사인 교체빈도가 기업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Suk-Yong Jung1, Kyu-Jin Hwang2, Ki-Beom Kim2*

Abstract

the auditor have been chosen by client, there have been chances for opinion shopping, etc. To prevent those, some audit regulations have been introduced. Prior studies have documented the positive effect of these audit regulations. Those studies, however, had some limitations which they dealt with just short event period for empirical tes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uditor Turnover Ratio on the Quality of Earnings using a sample of firms that were listed on Korea Exchange(KRX) from 1995 to 2004. The firms that change auditor frequently are expected to have low disclosure quality. The CEO with the incentives to manage or manipulate earnings could accomplish this purpose by replacing existing auditor with more friendly auditor, which could result in eventually lowering earning's quality of the firm. The result of empirical test shows that the accrual quality of firms which have high auditor turnover ratio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irms which have low ratio.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that the more frequently a firm changes auditor, the lower the quality of earning is. This evidence might give the implication to policy-making supervisor.

   1. 서론 적격성과 독립성을 갖춘 외부감사인(이하 감사인)은 경영자의 재무제표 주장에 대하여 신뢰성을 부여함으로 써 기업과 정보이용자간에 존재하는 정보불균형을 해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감사인의 활동에 의해 대 리인비용이 감소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의 증대 를 가져온다. 감사인의 적격성과 독립성은 재무보고의 신뢰성을 보 장하는 외부감사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1982

   원활한 이익조정을 시도할 경우 장기적 관점에서 이익의 질 저하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 행연구는 제도의 도입 전후만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점을 간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 도입이 단기적으 로는 기업의 이익조정을 억제할 수 있지만, 그러한 효과

   기업의 지정기간의 재량적 발생액은 비지정기간 및 비지 정기업의 재량적 발생액보다 유의하게 낮다고 보고하였 다. [7]은 감사인지정 종료 후 기존의 감사인과 다시 계약 을 체결하는 기업은 감사인지정기간의 마지막 연도에 감 사인의 독립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를 제 시하였다. 비자발적 감사인 교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감사인 지정제도 관련 선행연구 들에 따르면 감사인지정 직전년도부터 지정기간 동안 재 량적발생액은 감소하며, 지정요건에서 벗어나 자발적 감 사인교체가 가능한 시점에 재량적발생액은 다시 증가한 다는 연구결과가 있다(1,2,7). 즉, 감사인지정 후 감사인 선임권한이 다시 경영자에게 돌아오는 일련의 과정 동안

   3.2.1 이익의 질(Quality of Earning) 측정 이익의 질은 [12]모형(이하 DD모형)과 [17]모형을 통 해 측정하였다. [12]는 발생액과 미래실현될 현금흐름이 일치하는 정도로 이익의 질을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발생액과 전기, 당기, 차기 영업현금흐름의 관계를 이용 하였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자산총계를 의미한다. 식 (3)을 사용하여 각 기업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재량적 발생액(  )의 표준편차인    를 구한다. 여기 서    의 역수를 두 번째 이익의 질 측정치인 EQ2 로 정의한다. 같은 논리로    가 클수록 EQ2는 작

   권)    는 기업 자 산총계의 자연대수 값의 시계열 평균,   은 기업 i의 대주주 1인 지분율의 시계열 평균,   은 기업 i의 외국인 지분율의 시계열 평균,   은 기업 i의 기관투자 자(은행, 증권, 보험 등) 지분율의 시계열평균, v i 은 기

   4.1 감사인 교체 현황 [표 1]에는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에 대한 연도별 감사 인 교체비율, 업종별 감사인 교체율 그리고 시장별 감사 인 교체율을 보여주고 있다. Panel A는 연도별 교체비율 및 전체 교체비율을 제시
기타 11 16.7 합계 970 19.10 Panel C: 시장별 감사인 교체율 시장 기업수 평균교체율(%) 유가증권시장 555 20.75 코스닥시장 415 16.90 1) 교체 비율 = 연도별 감사인 교체 기업 수 / 표본 수
   ***, **, * : 각각 1%, 5%,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EQ1 = DD 모형에 의한 이익의 질임 . EQ2 = 수정존스모형에 의한 이익의 질임 TRA = CEO 교체 횟수 /CEO 정보가 존재하는 연도의 수 Loss = 적자 연도의 수 / 재무제표 정보가 존재하는 연도의 수 SD(Sale) = 매출액 표준편차 OC = [360/( 매출액 / 평균 매출채권 ) + 360/( 매출원가 / 평균 재고자산 Log(TA) = 자산 총계의 자연 대수 값의 평균

   . )]/360

   측정치가 EQ2인 경우도 상위그룹의 평균이 11.07, 하위 그룹의 평균이 15.59로 제시되었다. 즉 감사인 교체율이 높은 상위그룹의 이익의 질이 감사인 교체가 없었던 하 위그룹의 이익의 질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 한 결과는 감사인교체가 많이 이루어질수록 이익의 질이 낮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

   Large = 대주주 1 인 지분율의 평균 Foreign = 외국인 지분율의 평균 Inst. = 기관투자자 지분율의 평균 또한 지분율 변수들을 고려한 모형2의 경우도 감사인 교체율(TRA)의 계수값이 -0.08의 유의한 음(-)의 값으로

   부합하는 행동을 취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5]. [표 6]은 종속변수로 수정존스모형을 이용하여 이익의 질(EQ2)을 사용한 회귀식의 결과이다. [표 6]의 결과도 [표 5]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감사인교체율(TRA)의 계수값이 모형1과 모형2에서 각각 -0.10(t=-4.31)과
다른 수들에 대한 정의는 [ 표 5] 와 동일함 Group1= 더미변수로 감사인교체빈도 (TRA) 가 “0” 인 집 단의 경우 Group1 은 0 의 값을 가지며 , TRA 가 “1” 인 집 단의 Group1 은 1 의 값이 부여됨 Group2= 더미변수로 TRA 가 높은 상위 사분위 (75% 이상 ) 와 하위 사분위 (25% 이하 ) 에 해당되는 표본을 구분하여 , 하위 사분위에 해당되는 경우 Group2 는 0 의 값이 부여

[1]

  • 여 감사인 교체빈도라는 변수가 추가적인 고려사항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 중 하나는 이익의 질을 시계열 자료 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과정에서 시계열자료의 특성상 계 수 추정시 긴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Client Firm Agency Costs and Auditor Switch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 11(Springl), pp.16-31, 1992. [11] Dhaliwal, D., J. Schatzberg, and M. Trombley. "An Anal ysi s of t he Economi c Fact or s Rel at ed t o Auditor-Client Disagreements Predicting Auditor Changes",
<관심분야> 정보경영, 정보통신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