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Colaizzi (1978)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lock system class experiences in nursing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primal data to improve curriculum efficien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 participants who were students at a nursing university in the city of G from 20th of June to 10th of July 2015. This study investigated nursing student's block system class experience. The study results show six theme clusters consisting of 'Discomfort', 'Unsystematic study', 'Holding back an urge', 'Ever intensifying relationship', 'New discovery', and 'Chance for development', 17 themes, and 42 sub themes, which are included in those clusters in 58 configured meanings. This demonstrates that nursing students could reestablish their resolve for personal betterment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managing time by finishing the procedure with their best efforts although they suffer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convenience due to massive amounts of learning and assign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development of stress management and an emotional support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Keywords : Class, Experiences,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http://dx.doi.org/10.5762/KAIS.2016.17.6.629 cooperation Society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Vol. 17, No. 6 pp. 629-641, 2016

   김영숙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Experiences on Block System Class in Nursing Students Young- Sook Kim Department of Nursing, Uiduk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여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기 위해 2015 년 6 월 20 일부터 7 월 10 일까지 G 시에 소재한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18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질문은 ‘ 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 경험은 어떠한가 ?’ 이며 Colaizzi(1978) 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58 개의 구성된 의미에서 ‘ 불편한 마음 ’, ‘ 비체계적인 학습 ’, ‘ 안간힘 쓰기 ’, ‘ 힘들어지는 인간관계 ’, ‘ 새 로운 발견 ’, ‘ 발전의 기회 ’ 의 6 개 주제 모음과 이에 포함된 17 개의 주제와 42 개의 하위 주제가 확인되었다 . 따라서 간호 대학생은 블록제 수업을 통하여 방대한 학습량과 과제의 홍수로 신체적 , 정신적 불편감을 경험하지만 , 나름 최선의 노력으 로 이 과정을 무사히 마침으로써 이전에는 몰랐던 시간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 더 나은 자신을 위해 새로운 각오를 다져나가는 기회가 됨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을 위해서 이들의 경험에 기초한 스트레 스 관리 및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

1. 서론

에서 자율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갖춘 전문인을 길러내는 학문으로 간호교육의 목표는 간호학생이 교육과정을 마 1.1 연구의 필요성 친 후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간호학은 과학적 지식 체를 기반으로, 임상 실무 상황 도록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 Corresponding Author : Young- Sook Kim(Uiduk University) Tel: +82-10-8516-1786 email: Received March 8, 2016 Revised (1st April 12, 2016, 2nd May 16, 2016, 3rd June 1, 2016) Accepted June 2, 2016 Published June 30, 2016
    [1].

   62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2016 따라서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는 이론 교육뿐만 아니 라 임상 현장에서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임상실습 교육이 필수적이 다. 이러한 임상실습 교육을 통해 간호대학 생은 총체적 인 간호 지식과 실무를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며, 의사소통과 기본간호술을 실제에 적용해 보고, 문제 해 결, 의사결정 및 조직과 시간관리 능력을 익히고, 전문직 업인으로서의 가치체계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 로써[2]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기본 능력을 갖추게 된다. 우리나라 간호교육에서 임상실습은 22-24 학점으로 1,000시간 이상의 이수시간이 요구되고 있는데[3] 학기 중 실습시간을 맞추기 위해 우리나라 간호교육기관에서 채택하고 있는 교육과정 운영 체계는 한 학기 수업의 경 우 8주간 이론을 2배로 수업하고 남은 8주간 실습교육 을 실시하는 블록제 방식이나 주 중 이론과 실습을 격주 나 2주 간격으로 병행하는 방식들 중 한 가지 방법을 채 택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의 운영체계별 장 단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현재 연구자가 소 속된 대학을 포함한 많은 학교에서 이론 후 실습형 블록 제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 외를 막론하고 간호대학 생은 취업에 대한 걱정 뿐만 아니라 간호사 면허증 취득을 위한 국가고시에 대 한 스트레스가 일반 대학생들 보다 많고, 엄격한 교육과 정과 위계질서, 과중한 학습량,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의 실습수행, 환자간호에 대한 책임감, 간호사로서 직업관 과 가치관 확립 등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4, 5]. 따라서 간호대학 생이 이러한 교육과정 속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극복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여 학습목표에 도 달하고 원하는 곳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어려운 상황이나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대학 생은 임상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보다 학 업 스트레스가 더 높다는 연구결과[6]를 고려할 때 간호 대학 생이 학업수행 과정 중 겪는 어려움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까지 간호대학 생이 겪는 어려움을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질적 연구가 여러 편 수행되어왔는데 분만실 실습 경험, 아동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임 상 실습 경험, 기본간호학 실습 경험, 보건진료소 실습 경험[7, 8, 9, 10, 11], 학과 적응 경험[12], 학년별 경험[13, 14] 등 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임 상실습에 국한되어 있거나 간호학과에 대한 전반적인 적응에 초점을 두고 있어, 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과정 동안의 경험을 이해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인간적인 이해를 증진시킨다는 목표로 살아있는 경험을 지향하며 그 경험의 의미를 포 함하여 구조, 즉 현상의 본질을 발견하는 것으로, 특히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심리적 경험을 직접 관찰할 수는 없지만, 경험은 인식하에 있으 므로 지각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는 참여자가 진술한 내용 가운데 공통적인 진술 을 묶어 단계적으로 추상화시켜 나가는 방법으로 참여자 의 확인을 통해 연구자가 분석한 맥락적 의미가 왜곡되 지 않았는지에 대한 검증과정을 거치므로 연구자의 선입 견을 여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 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 생이 블록제 수업과 관련하여 어떤 경험을 했는지를 이해함으로서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효과적인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점집단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간 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것 으로 연구 질문은 ‘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 경험은 어 떠한가?’이다.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 생의 블록제 수업경험의 구조와 본질을 기술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며, Colaizzi (1978)의 방법론을 통해 참여자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효과적인 학습 목표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2 연구 참여자 선정 연구 참여자는 블록제 수업을 경험한 U대학 간호학 과 3,4학년 학생 중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대한 설명 을 듣고 참여에 동의하는 자로 목적적 표집으로 하였다. 총 참여자는 18명으로 남학생 2명, 여학생 16명이었다. 초점집단은 동질성 확보와 분할전략에 따라 집단의 동질 630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
   성을 유지하면서 집단 간 차이를 통해 서로 다른 시각과 견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집단의 크기와 수는 6-10 명 정도의 크기와 3-5개 집단이 적당함으로 이를 고려하 여 구성하였다[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룹원의 수 를 6명으로 구성하여 개개인에게 적절한 발언의 기회를 주고 면담분위기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2.3 윤리적 고려 연구 참여자를 윤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연구 참여 자의 모집에 있어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익명성 보장, 자발적인 연구 참여 동의와 거부, 중 도 포기 가능, 발생 가능한 이익과 불이익, 녹음기 사용, 연구 결과의 출판 가능성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구두와 서면으로 설명하여 연구 참여자를 보호하였으며, 참여자 전원이 자유의사에 의해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였으 며, 참여자에게는 문구세트를 선물하였다. 2.4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6월 20일부터 7월 10 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참여자의 블록제 수업 경험에 대 한 심층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반 구조화된 면담을 수행 하였다. 면담은 각 초점 집단마다 전 참여자들이 동의하 는 면담 일시를 정하여 시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참여자 와의 협의 하에 연구자의 연구실이나 간호학과 강의실을 주로 이용하였다. 면담 시에는 편안한 분위기 조성을 위 해 도시락, 차, 다과 등을 준비하였다. 면담 회수는 한 집 단 당 1-2회씩 시행하였고 1회 집단 면담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문헌고찰을 통해 구성된 반 구조적인 질문을 미리 고지 하여 초점집단 면담 시 이야기할 내용을 생각하고 준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담은 최근의 근황이나 기분을 묻 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시작하여 “블록제 수업은 어떠하 였습니까?”, “블록제 수업 중 경험한 것들은 무엇입니 까?”,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등의 연구 질문 으로 옮겨갔다. 연구자는 경청하는 자세로 참여자들이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고 도중에 말이 끊어지 지 않도록 하였다. 면담 중에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중요 한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디 브리핑 노트를 작성하였 고 면담 끝에는 연구자가 면담 중 중요하다고 생각한 진 술이나 요약에 대한 현장 노트를 발표함으로써 참여자의 말을 적절히 이해하였는지 확인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

   음하고, 면담이 종결된 후에 연구자가 이를 직접 필사하 였다. 2.5 연구자 준비 본 연구자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 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대학 질적 연구회의 정기 적인 모임을 통한 질적 연구 활동으로 질적 연구의 감각 을 익혔다. 그리고 선행문헌은 분석이 완료된 후 고찰하 거나, 정해진 분석절차를 충실히 따르는 등의 방법으로 연구자가 지닌 선입견을 배제하려고 노력하였다. 2.6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는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 중 Colaizzi (1978) 가 제시한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간호학과 학생들이 블록제 수업과정 동안에 겪은 경험을 파악하였 는데, 참여자의 진술 내용을 보다 깊이 느끼고자 면담 상 황, 표정, 호소 등을 떠올리거나 면담 시 기록한 메모를 동시에 검토하고 녹음된 면접 내용을 반복 청취하며 기 술하였다. 그리고 원 자료를 여러 차례 주의 깊게 읽으면 서 의미 있는 진술을 분류하였고, 이 진술들에 구성된 의 미를 통찰력과 직관력을 가진 분석기술로 주제어를 도출 하였으며, 이를 다시 조직화하여 범주화하였다. 2.6.1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본 연구의 엄격성을 높이기 위해 Lincoln과 Guba (1985)가 제시한 질적 연구의 평가 기준인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에 근거하여 이에 부합되도록 연 구를 진행하였다[16]. 심층면담 즉시 녹음된 자료를 여 러 번 반복하여 듣고 필사된 자료는 연구자가 읽은 후 일부 참여자들에게 이메일과 직접 면담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사실적 가치(truth value)를 확보하고자 하 였고, 자료 분석 결과를 연구 참여자뿐만 아니라 연구 참 여자가 아닌 간호학과 학생에게 제시하고, 간호학과 학 생들의 블록제 수업경험을 잘 보여주고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validation)을 거쳐 적용성(applicability)을 높이고 자 하였다. 일관성(consistency)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선정과 심층면담의 방법 및 과정, 자료수집과 분 석의 전반적 연구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여 추후 반복연구 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끝으로 중립성(neutrality)을 높이 고자 연구자는 자료수집 및 분석의 매 과정에서 개인적 편견과 판단을 배제하였고, 그 결과를 본 연구에 참여하 63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2016 지 않은 질적 연구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1인에게 확 인하였다.

3.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 생의 블록제 수업경험은 58개 의 구성된 의미에서 42개의 하위주제가 형성되었고, 다 시 17개의 주제로 조직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개의 주제 모음을 구성하였다(Table 1). 간호대학 생의 블록제 수 업 경험의 핵심 의미는 ‘인내를 통한 발전’으로 도출되 었으며 6개의 주제모음은 ‘불편한 마음’, ‘비체계적인 학 습’, ‘안간힘쓰기’, ‘힘들어지는 인간관계’, ‘새로운 발 견’, ‘발전의 기회’로 드러났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블 록제 수업 기간 동안 늘어나는 학습량과 쏟아져 나오는 과제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체계적인 학습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스스로를 격려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효율적 으로 시간을 관리하고 최선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서 그 과정을 무사히 이겨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지난 생활을 돌아보는 새로운 시선을 가지게 되 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노력하면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겠는 자신감을 갖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주제모음 1. 불편함 주제 1. 예민해짐 참여자들은 블록제 수업에 따른 바쁜 일상으로 시간 에 쫓기다 보니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주위사람이나 가족들에게 자신의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 거나 드러내게 되어 싸우는 일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관 계가 나빠지게 되었다. 서로 예민해져 가지고 뭐 요청하면 전에는 막 그냥 기 쁘게 해 줬을 것을 아 이거 그냥 네가 해라 이런 것도 늘 었고 특히 통학 버스 아저씨한테 짜증이 많이 늘어났고 요 . 빨리 가서 과제도 하고 그래야 되는데 이 아저씨가 너무 태평하게 운전 하시고 하니까 . 아침에도 막 정해진 시간에 안 오시고 한참 20 분 늦게 오시고 이러니까 저희 는 시간도 버리는 것 같고 이래서 조급해지고 아저씨한 테 몰래 문자도 보내고 ‘ 아저씨 좀만 더 빨리 운행해주 세요 .’ 막 이런 것도 학교에 막 문의하고 좀 . 그런 게 생긴 거 같아요 . 약간 여유롭지 않은 마인드 ? 집에서 과제 때문에 바쁜데 누가 말을 걸면 짜증을 자 주 냈었어요 . 스스로 생각해도 예민해지고 여유가 많이 없어졌고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났어요 . 남자 친구랑도 너무 피곤한데 만나다보니 많이 싸워 서 헤어지게 되었어요 . 주제 2. 우울 또한 참여자들은 이러한 과정들이 간호학과를 졸업하 기 위해선 반드시 거쳐야 하는 것임을 알기에 나름 쉬지 않고 열심히 한다고는 하였으나 해야 할 일이 줄어들지 않고 항상 시간이 부족하여 힘겹게 느껴졌다. 또한 자신 을 제외한 다른 친구들은 이러한 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 는 것처럼 보이고 자신만 뒤쳐지는 것 같이 생각되어 마 음이 편하지 않았다. 잠이 많고 게으른 편인데 블록제 수업동안 나름 꽤 열 심히 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도 불구하고 할 일이 끊이 지 않고 잠잘 시간도 부족하니 엄청 우울했어요 . 진짜 한숨을 많이 쉬었어요 . 그리고 왠지 나만 힘든 것 같고 딴 애들은 잘 따라 가는 것 같고 여유도 있어 보이는데 나만 이렇게 힘든 것 같이 느껴졌어요 . 주제 3. 화가 남 또한 참여자들은 해야 할 일이 많다보니 그것을 빨리 해결하지 못하는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나게 되었고, 힘든 이 과정을 중도에 포기하고 싶은 갈등을 겪게 되었다. 대상도 없는 분노가 여기에 치밀어 오르는데 대상이 없으니까 표출할 곳이 없어요 . 그래서 모니터보고 집에 서 막 고함지르니까 엄마가 놀라서 뛰어오고 그랬어요 , 언니는 정신이상자라고 놀렸죠 . ‘’ 내가 이런 것도 이해 못하고 할 건 이렇게 많은데 ‘’ 이러면서 책 이렇게 한번 씩 던지고 ... 난 그랬는데 난 책 많이 던졌어 . 다 하기 싫고 때려 치고 싶고 그만두고 싶은 마음이 계속 생겼어요 , 내가 왜 이걸 해야 하나 싶기도 하고 . 632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
   Formulating means Grew impatient if bus don’t come at appointed time Get fractious at tiny things because I was up against a wall So much more to do although I studied so hard Others seem to keep up well but i’m not. Upset at unseen object Blamed myself that can’t resolve something well Wanted to quit everything Final exams started right after mid-term exams Lots of work to do made me uncomfortable even when I take a rest Though test had ended, it felt like it hadn’t Having an upset stomach often A fistful of hair fell out Don't have regular periods because of stress Bleed at the nose frequently A great deal of things to learn Simply memorize got a large share of study Memorized only questions and answers that would show up on test There was not much time to study because the test was right after class Hard to gather all the group members I hate group project because of lots of assignments Had done assignment with pressing mind Couldn’t submit high standard assignment because of lack of preparation Lots of things to study made me don’t sleep well Wanted to sleep when I have only few minutes Felt drowsy in class Didn’t have a meal to study at that meal time Took lunch box to save time Had a late meal because I didn’t have a proper meal during the day Studied in bus during wasting commuting time Ballpoint pen worn out because I drew a line on sentences that I studied in class Friends misunderstood that I lied because I don’t want to attend Left out of my friends’ crew There was no common subject because of different interests. Couldn’t participate family affair because of study or assignments Not enough time to meet family because I come back home at late night I was happy if class finish only little early The department of nursing has to have more practice hours than other departments so this system is essential Chance to focus on practical exercise during practice time Realize one’s idle life of the past Had courage to do something other by spending time efficiently Proud of myself for finishing the hard procedure Felt a sense of fulfillment for having done something
633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2016 주제 4. 불안 - 저는 매달 생리주기가 변했어요 . 매달 ... 하는 생리주 참여자들은 4주에 한번 씩 시험을 치게 됨으로 개강 기 한 날부터 시험공부를 해야 했고, 쉴 때조차도 해야 할 삼일내리 코피가 났어요 . 샤워하다가 갑자기 코피가 과제나 공부를 떠올리게 되어 편안하게 쉬지 못하였다. 떨어지고 밥 먹다 갑자기 떨어지고 ... 또한 자신이 쉬는 동안에도 친구들이 쉬지 않고 공부한 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이로 인해 불안하여 쉴 수가 없 었다. 제일 힘든 건 중간고사 끝나고 ‘’ 아 좀 쉬자 !‘’ 그랬는 데 3 주 뒤 기말이래 ... 그래서 그게 너무 쉬지도 못하고 애매했죠 . 그리고 확실히 더블 수업 하고는 개강 다음날 부터 공부하는 애들 꽤 있었어요 . 쉬는데도 압박되고 불안하고 , 놀러나가도 별로 편하 지도 않고 뭔가 과제도 많고 할 건 진짜 많은데 , 놀러 나 왔는데 재대로 놀지도 못하고 가서 또 해야 되니까 ‘ 안 놀고 그냥 할 걸 ..’ 이런 생각도 들고 ... 9 월 달에 중간고사를 쳤어요 . 그러면 주말 2 일은 쉬고 싶었는데 , 딴 애들 공부하면 나도 빨리 해야 되는데 싶 고 , 전화해서 ‘’ 너 공부했어 ?‘’ 물어보고 공부했다하면 또 불안 해가지고 .. 주제 5. 신체적 이상 이러한 힘든 상황이 계속됨에 따라 참여자들은 소화 불량, 탈모, 생리불순이나 코피 등의 신체적인 이상이 나 타나기 시작하여 공부에 지장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 또한 고통받게 되었다. 저 진짜 안 체하거든요 . 진짜 세상에 태어나서 고등학 교 때 딱 한번 체하고 안체했는데 , 저 3 학년 1 학기 들어 와서 계속 체했어요 . 뭐만 먹으면 체하고 이전엔 배부른 상태에서도 안체하고 잘 먹었는데 , 딱 무슨 냄새 잘못 맡 으면 바로 체하고 ... 시험기간에 그게 유독 심했어요 . 머리가 계속 빠졌어요 . 머리가 진짜 감으면 여기 이만 큼 다 떨어지고 , 이게 근데 한번 이렇게 해서 빠지는 게 아니고 한 번하고 두 번하고 또 빠지고 머리 털면 다시 다 빠지고 그래가지고 진짜 너무 심하게 빠지다 못해서 눈썹도 빠졌어요 .주제모음 2. 비체계적인 학습 주제 1. 깊이 없는 공부 참여자들은 빠른 진도로 인해 짧은 기간에 많은 양의 공부를 해야만 하였다. 심지어 진도가 느릴 경우에는 시 험 1시간 전에 배운 것까지 시험을 쳐야 했으므로 깊이 있게 이해하여 공부를 하기 보다는 단순히 중요한 문제 와 답을 외우는 것에 치우치게 되었다. 친구들끼리 폭격기라고 ‘’ 두 두 두 두 지나간다 ‘’ 고 그렇게 나가는 것 같다고 이야기 했어요 . 2 주 만 지나도 배운 게 엄청 많은 거예요 그걸 다 복 습하려면 정말 장난 아니죠 . 제일 문제는 수업 양이 너무 많다 보니까 그냥 단기 암기로만 외어서 지금은 뭐 그렇게 기억에 많이 남는 그 런 공부가 안 되는 거 같아요 . 저랑 00 랑 시험기간에 버스에서 한번 만났는데요 . 서 로 인사 한번하고는 다 책을 보는 게 아니라 문제집이랑 답만 외우고 있었어요 . 전 그 날이 정말 최악이었어요 . 1 교시에 진도 나간 것 까지 2 교시에 바로 시험 치니까 그게 너무 슬펐어요 . 학 생 입장으론 ‘ 너무 가혹하다 ’ 그런 생각 ... 너무 힘들었어 요 . 버스에서도 안 배운 부분을 보려고 해도 눈에 들어오 지도 않고 그 앞에 것도 완벽하게 외우지 못한 것 같은 데 그 50 분 동안 집중도 잘 안되고 그 전께 계속 걸려서 그래서 ‘ 아 이건 1 시간짜리니까 많이 안 나올 거야 ’ 했 는데 생각보다 많은 범위를 차지해서 힘들었어요 . 주제 2. 부담스러운 조별과제 과목별 과제가 발표되고 제출해야 될 기간이 서로 중 복되다보니 참여자들은 여러 개의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 여야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이 조별 과제이므로 각 조별 모임 일정을 잡기도 어려웠고 성실하지 못한 조원이 포 함되면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늘어남으로 인해 더 고통을 받게 되었다. 634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 이게 그냥 개별 과제 면 혼자 그냥 그날 가서 빨리할 아 항상 엄마가 그거 물을 때 슬펐어요 “ 안 자나 ?” 수 있는데 , 조별 과제가 워낙 많다 보니까 조별 과제는 “ 못 자요 .” “ 밤새야 된다 ” 라고 하면 “ 아 어떻게 하노 .” 조원 중 한 명이라도 그날 뭐 “ 가야 된다 . 약속 있다 .”, 이러고 엄마는 자고 ... 나는 못 자는데 . 카톡 안 보거나 이렇게 하면 , 다른 애들이 더해야 하니까 늘 피곤하니까 살면서 자양강장제 , 카페인 많이 든 에 서로 말은 안 해도 ‘ 얘 진짜 같이 하면 안 되겠구나 ’ 이 너지 음료를 제일 많이 먹은 것 같아요 . 커피도 먹고 ... 런 생각이 들죠 . 근데 도움은 별로 안되었어요 . 아 그게 과목들이 여러 개 과목이 있잖아요 ? 그중에 서 뭐 한두 개 정도가 조별 과제 면 그래도 뭐 어떻게 버 티고 할 수 있겠는데 뭐 세 개 네 개의 조가 막 갑자기 조별 과제가 많으면 정말 죽음이죠 . 수업 양도 어마어마 한데 과제 양도 어마어마하니까 조별 과제 너무 싫어요 . 주제 3. 때우기 식 과제작성 참여자들은 잠을 줄여가면서 과제를 수행하였으나 짧 은 기간 동안 여러 개의 과제를 해결해야하므로 주제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고 준비하여 과제를 작성할 수가 없 었다. 기한 내에 빨리 제출하는데 주안점을 두게 되어 스 스로도 만족할 수 없는 과제가 작성되었고 이로 인해 좋 지 못한 평가를 받게 되어 답답해하였다. 경험해보니까 과제를 진짜 그냥 막 급하게 하게 되고 , 그게 머릿속에 안 남아요 . 막 한꺼번에 세 개조가 같이 개인 과제도 끼이고 이러다 보니까 진짜 막 빨리해야 되 니까 그것도 이 주안에 다 몰려 있으면 , 하고 나서도 기 억도 잘 안 나고 이 조에서 내가 뭐 지금 저번 학기 때 뭐 했는지도 잘 기억 안 나요 . 아침에 해 뜨는 거 보고 , 새소리 들으면서 잠드는데 그렇게 죽기 살기로 과제해 내는데 교수님 마음에는 안 드시나 봐요 “ 너네는 의욕이 없다 ” 고 하시는데 정말 답 답했어요 . 주제모음 3. 안간힘 쓰기 주제 1. 잠과의 싸움 참여자들은 과제를 해결하고 시험에 대비하기 위해서 는 잠을 자지 않고 공부해야 하지만 새벽이 되면 피로가 밀려와 공부하는 중간에 잠드는 경우가 많아졌고, 또한 충분한 수면시간을 갖지 못하다 보니 수업시간에도 졸게 되었다. 이러한 생활이 반복되다 보니 항상 피곤하여 틈 만 나면 잠을 자게 되었다.만성피로처럼 . 틈만 나면 자고 쉬는 시간마다 엎드려 서 자고 ... 그래서 쉬는 시간에 자려고 화장실을 억지로 참은 적도 있어요 . 쉬는 시간 10 분 자려고 화장실이 아 무리 급해도 가고 싶어도 그냥 ‘ 수업시간에 가야지 ’ 하 고 잔 적도 있어요 . 그 10 분 동안 꿀잠 자기 위해서 . 밤에 못 자니까 수업시간에 정말 멍해요 . 제 스스로도 너무 답답하고 ... 수업시간에 졸지 않으려고 뒤에 가서 서서 공부해도 제가 졸고 있는 거예요 . 저는 시험기간에 안 자려고 했는데 ... 근데 잠들어요 . 저도 모르게 자고 있어요 . 중간 중간에 잠이 들어요 . 그리고 자다가 깨면 다행인 데 . 새벽 2 시나 3 시쯤에 하다가 잠들었는데 일어나니까 아침일 때도 있고 . 최대한 ‘ 안 자야지 ’ 하고 하는데 그게 안 돼요 . 주제 2. 불규칙한 식사 야간에 보충수업이 많다 보니 식사시간 없이 수업을 하게 되어 참여자들은 제때 저녁을 먹지 못하게 되거나 짧은 시간에 끼니를 때우기 위해 즉석음식을 주로 먹는 경우가 많았다.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하다 보니 늦은 밤에 뭔가를 먹게 되고 다음날 속이 불편하게 되는 좋지 못한 식습관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도시락을 싸오는 학생들도 있었는데 이는 참여자의 어머니들을 힘들게 만드는 게기가 되었다. 밥을 굶게 돼요 . 야간에 수업을 연달아서 하니까 10 분 20 분 만에 밥 다 먹어야 되고요 . 삼각 김밥 이런 거 먹어 야 되고요 . 매점 가면 또 저녁에는 밥이 없어요 . 그래서 대충 때우던가 아예 안 먹던가 그렇게 해요 . 도시락을 싸다니게 됐어요 . 근데 엄마가 이갈았어요 . 아침에 도시락 싸주신다고 “ 고 3 때도 안 하던 네 뒷바라 635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2016 지를 지금 한다 ” 고 ... 맨날 라면 먹고 , 삼각 김밥 이런 거 먹다 보니 허기도 빨리 느끼고 , 급하게 먹어서 먹은 것 같지도 않고 그래서 다 마치고 밤늦게 뭘 먹는 게 습관이 되었어요 . 주로 치 킨 , 족발 같은 것 시켜 먹으니까 다음날 속도 좋지 않고 그래서 또 아침도 못 먹게 되는 거예요 . 주제 3. 촌음을 아껴가며 공부하기 참여자들은 점점 빨라지는 진도를 따라가기 위해 자 신을 다독여 통학버스 속에서도 공부를 해야만 했다. 이 를 위해 버스의 독서 등을 켜달라고 기사 아저씨께 부탁 하게 되었는데 이 일이 반복되자 기사 아저씨는 참여자 들이 버스에 탈 때마다 독서 등을 켜야 되는지 먼저 확 인하게 되었고 간호학과 학생들이 어떤 공부를 하는지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중요한 것을 놓 치지 않기 위해 수업시간에 읽은 내용을 모두 형광펜으 로 표시를 하다 보니 한 달 동안 사용한 필기구의 양이 엄청나 놀라기도 했다. 통학버스 아저씨가 독서 등 켜달라고 하면 “ 꼭 켜야 되냐 ? 그렇게 공부해야 되냐 ?” 고 그랬어요 . 시험기간에 차 안에 있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서 , 안 그래도 더블 수업 때문에 양도 많고 집에 가면 잠이 많 이 오기 때문에 차에서라도 보려고 그렇게 하는 거예요 . 어떤 날은 친구랑 저랑 뒤에 4 학년 선배님들이 타고 계셨어요 . 그때 아저씨가 “ 혹시 독서 등 켜야 돼요 ?” 이 렇게 물어보면서 손을 들래요 손을 들었는데 다 우리 과 밖에 없었어요 . 그 아저씨도 뭐 봐요 하면서 책을 한번 보시고 가시더라고요 형광펜이요 막 사실 성인 말씀 하시는 거 줄 다 그으 면 거의 포인트들이잖아요 . 읽은 부분이 중요하다 싶어 형광펜으로 막 긋다 보면 이 형광펜이 막 빨리 닳아요 . 그리고 솔직히 안 중요하지만 언급을 하시면 뭔가 나올 것 같고 공연히 미련 남아서 우린 모르니까 . 그렇게 형광 펜 5 개를 한 학기가 다 가기 전에 중간고사 전에 다 써 버렸어요 .참여자들은 과제나 시험공부로 인해 친구들을 만날 시간적 여유가 없게 되어 만날 약속을 미루거나 모임에 참석하지 못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간호학과의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없는 친구들은 참여자들이 친구 들에게 관심이 없거나 만나기 싫어 핑계를 대는 것으로 오해를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모임에서 제외시키게 되 었다. 연락을 하던 남자앤데 “ 야 언제 뭐 할래 ? 할 수 있 냐 ?”. 이러면 아 “‘ 난 과제 때문에 안 된다 , 시험기간이 라서 안 된다 .” 이러면 그게 그 남자 입장에서는 만나기 싫은 핑계가 되는 거예요 . 그래서 그렇게 발전이 안 되는 거죠 . 고등학교 친구들이 생일이 되어서 막 어디 “ 모이자 ” 이렇게 했는데 , 제가 “ 오늘 과제 있어 !, 오늘 뭐 시험 있 어 ” 이렇게 하면 걔들은 다 나오기 싫어서 거짓말하는 줄 알아요 . 정말 진짜 과제 이만큼 있는데 ... 걔네는 ‘ 제 는 나오기 싫어서 맨날 그러니까 ,’ 이렇게 생각하고 “ 너 는 일부러 안 불렀어 ” 이러거나 자기들끼리 일정 다 짜 놓고 “ 너는 되 ?” 라고 나중에서야 묻고 .. 걔네는 4 개월 내내 그러니까 ... 진짜 제가 거짓말 하는 줄 알고 그랬던 거죠 . 남자친구와 이야기할 때 항상 과제 이야기만 하니까 서로 이야기할 주제도 사라지는 것 같고 내가 지쳐있으 니까 상대방도 지치는 것 같아 헤어지게 되었어요 . 주제 2. 가족과 어울리지 못함 잦은 보강으로 귀가가 늦어지고, 집에서도 과제나 공 부에 매달리느라 가족과 접촉할 시간도 적어지고 가족행 사에도 함께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가족들은 참여자 들이 과제나 공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참여자 들을 제외한 체 집안 행사를 진행하게 되었다. 집에 가도 내 방에서 할 일만 하다 보니깐 가족들과 대화도 자연히 줄어들고 시험기간 중에는 다 같이 가족 행사나 외식하러 갈 때도 혼자 집에서 공부나 과제만 했 어요 . 주제모음 4. 힘들어지는 인간관계 가족들도 “ 너는 시험공부해야 되니까 우리 놀러 갔다 주제 1. 멀어져가는 친구들 올게 ” 이렇게 당연히 나 빼고 가고 ... 636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 저희 부모님은 맞벌이를 하시는 데요 야간에 보강까 지 하고 오면 늦게 집에 가니까 다 주무시고 아침엔 출 근하시느라 엄마 , 아빠 얼굴을 잘 못 봤던 것 같아요 . 주제모음 5. 새로운 발견 주제 1. 시간에 대한 느낌이 달라짐 수업과 보강으로 채워진 빡빡한 일정 가운데서 간혹 조금 일찍 수업이 마치거나 보강이 없는 날은 이전에는 생각지도 못 했던 생활의 여유가 생긴 것 같아 기분이 좋아졌다. 근데 좋은 점 있어요 . 9 시부터 5 시에 마쳐도 대개 기 쁘고 조금만 일찍 마쳐도 기분 좋아요 . 10 분만 일찍 마쳐도 좋고 점심시간 10 분만 더 줘도 좋았어요 . 주제 2. 블록제 수업의 장점을 알게 됨 참여자들은 진도 빠른 수업을 따라가기 버겁고 겹치 는 과제로 힘들지만 이 과정이 간호학과의 특성상 어쩔 수 없음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2주 간격으로 수업과 실 습을 병행하는 다른 학교 학생들이 실습 기간에 시험공 부를 하느라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서 블록제 수업으로 인해 이론 수업이 끝난 후 실습을 함으로 실습 기간 동 안 실습에만 전념할 수 있는 자신들의 생활이 훨씬 낫다 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냥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 우리 과는 다른 과에 비해서 실습시간을 많이 이수해야 하니까 이렇게 수업할 수밖에 ...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저는 그래도 과제하고 이런 거 많긴 했는데 2 주하고 힘들긴 했지만 이 기간만 지나면 괜찮다고 생각하니 2 주 실습하는 이런 학교보단 이게 더 나은 거 같아요 . 2 까 오히려 시험기간은 다른 학기보다 더 짧았지만 시간 주하고 2 주 나가면 시험기간에도 막 겹쳐 가지고 그 학 조절을 잘하고 집중할 수 있었어요 . 그래서 지나고 나니 교 애들은 거기서 실습 안하고 앉아서 책을 계속 보고 대견 한 것 같아요 무사히 따라가기라도 했으니 있더라고요 . 저희는 다 끝내고 왔으니까 실습 기간에 시 2 학년 때가 지금까지 공부해온 중에서 제일 힘들고 험이나 학교 일에 신경 쓰지 않고 실습에만 집중을 할 바쁘다고 생각했는데 , 3 학년 때는 시험 준비할 시간이 수 있으니까 이게 더 나은 것 같아요 . 훨씬 적었는데도 2 배의 집중력을 발휘해서 했어요 . 막상 힘들다 해도 끝나고 나니깐 내가 했긴 했구나 싶은 게 주제모음 6. 발전의 기회 뿌듯하기도 했어요 . 주제 1. 나를 돌아봄 참여자들은 짧은 기간 동안에 한 학기의 모든 과정을끝내는 것을 경험하고 난 뒤 자신들이 그동안 나태하였 고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지 못하였다는 것을 깨 닫게 되었다. 따라서 이전에는 그냥 흘려보냈던 시간을 잘 활용하여 자신의 발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 다고 생각하였다. 근데 지나고 나니까 무슨 생각이 드느냐면 블록제 수 업을 해서 진도도 얼추 나갔고 시험도 한 달 내에 한 개 씩 쳐서 두 달 안에 다 끝내니까 ‘ 내가 지난 2 년 동안 너 무 나태했구나 !’ ‘ 그 중간고사를 준비할 수 있는 2 개월 동안 뭘 했는가 기말고사 2 개월 동안 뭘 했는가 ?.’ ‘ 그 때도 2 학년 때도 힘들다 불평했는데 바쁘다 이랬는데 ...’ 4 달 할 때도 그때도 뭔가 할게 많아가지고 그때도 바 빴어요 . 그때 학교 행사가 많았어요 . 근데 두 달 안에 끝내는 블록제 수업을 하다 보니까 만약에 이런 수업을 먼저 하다가 4 달이라는 시간이 주어 지면 그만큼 배분을 잘할 것 같은 , 그러니까 내가 이 4 달 동안 아 이 기간 땐 뭘 해도 되겠다 . 뭘 다른 걸 공부해 도 되겠다 . 뭐 그런 자기만의 시간 배분을 개인적으로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주제 2. 성장 참여자들은 블록제 수업을 하지 않았던 때도 항상 간호학과 수업이 힘들게 느껴졌는데 그때보다 더 바쁘 고 힘든 과정을 자신의 노력으로 무사히 마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성장한 자신을 대견하게 여기고 있 었다.637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2016

4. 논의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 경험의 핵심 의 미는 ‘인내를 통한 발전’으로서 ‘불편함’, ‘비체계적인 학습 ’, ‘안간힘 쓰기’, ‘힘들어지는 인간관계’, ‘새로운 발견’, ‘발전의 기회’의 주제 모음으로 도출되었다. 각 범주들은 따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된 과정으 로 참여자들에게 나타나고 있었다. 첫 번째 주제 모음인 ‘불편함’은 참여자들이 블록제 수업을 통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건강 장애를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간호대학 생은 학업에 대한 부담감으 로 스트레스 수준이 올라가고 이로 인해 불안, 우울, 절 망감 등이 나타난다고 한 선행 연구들과[15, 16] 같은 맥 락으로 간호대학 생이 간호학과의 블록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 일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를 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하지 못 하면 심리장애뿐만 아니라 행동장애, 신체질환까지 초 래할 수 있고[17] 나아가 학습과 간호수행에 방해요인 이 될 수 있음을[11] 고려할 때 간호대학생의 부정적 정 서를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며 어려운 상황을 극 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고 생각된다. 두 번째 주제 모음인 ‘비체계적인 학습’은 2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한 학기 분량의 진도를 나가야 하고 그 에 따라 학습을 하고 과제 제출 및 시험을 거쳐야 하므 로 참여자들이 스스로를 격려하며 계획적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학습과 과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보다는, 시험에 대비하기 위해 단순 암기에 의한 학습을 주로 하 였으며, 우선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데만 급급한 수동 적인 학습을 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간호 전문직 은 이론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임상에서 통합, 적용하 여 살아있는 간호지식체로 창조해 낼 수 있도록 교육하 여야 하며[18, 19], 2006년부터 국내 간호교육평가에서 간호교육의 성과로 비판적 사고능력이 제시되고, 간호교 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 음을 고려할 때 그냥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라고 생각된 다. 따라서 간호대학 생이 방대한 학습량과 과제로 인해 힘겨운 시간으로 느껴지는 상황에서도 단순히 지식을 암 기하는 학습유형에서 탈피하여 스스로 비판적으로 사고 하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다양한중재와 지지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간호대학 생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법이 동시에 설계 및 운영되어야 하며, 과제를 제시 할 때도 모든 과목별로 과제를 제시하기보다는 다양한 과목에서 요구되는 주제를 통합하여 1-2개의 과제를 줌 으로서 해결해야 할 과제의 수를 줄여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세 번째 주제 모음인 안간힘 쓰기는 참여자들이 블록 제 수업에 적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방대한 학업 량 과 과제를 수행하느라 항상 수면시간이 부족하였고 이로 인해 수업시간에 조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이에 대처하 기 위해 쉬는 시간을 아껴 잠을 자거나 약물을 섭취하기 도 하였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이 낮으며, 짧은 수면시간은 낮은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 [20]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수면은 기억에 중요한 변 수로 학습내용이 저장되는데 필수적이며 신체적 피로나 감정적 피로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여 낮 시간 동안의 활 동력과도 관계된다[21]. 따라서 수면의 질 저하는 배우 는 것, 집중하는 것, 사회활동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지능력과 행동 수행에 문제를 야기한다[22].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시간을 확보하고 수면의 질 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이 필요하다. 또한 참여자들은 바쁜 일정에 쫓겨 식사시 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식사를 거르거나 대충 때우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가 높은 간호대학 생이 스트레스 가 낮은 군보다 식사 횟수가 적다고 한 Park과 Park(2014)의 연구결과와도 같은 맥락으로 생각된다 [23]. 이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간호대학 생이 행복 지수가 높음을 고려할 때[24] 대학에서 보강 시간을 정 하거나 과제를 제시할 경우 간호대학 생이 규칙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을 확보해주어야 하며, 간호대학 생이 식생활에 대한 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올 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주제 모음인 힘들어지는 인간관계는 참여자 들이 바쁜 일정 속에서 자신의 과업을 수행하느라 항상 시간이 부족하고 마음의 여유가 없다 보니 가족이나 친 구들과의 일상적인 관계 유지조차도 힘들다는 것을 나타 내고 있다. 대학생은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크며, 좋은 사람들과 친밀하고 지지적인 관계 속에서 살고 있다고 638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느끼면 스트레스 상황에 적극적으로 잘 대처하게 된다 [25].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는 행복과 상호작용하며, 타 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통해 행복감이 증진된다 [26]. 그러므로 간호대학 생이 블록제 수업을 하는 바쁜 일정 속에서도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친밀관계를 유지하여 정 서적 위로를 받고 이로 인해 힘든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 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하겠다. 다섯 번째 주제 모음인 새로운 발견은 참여자들이 블 록제 수업을 하지 않던 때에는 아무런 의미 없이 느껴졌 던 상황들 즉 수업이 빨리 마치거나 보강 스케줄이 없어 저녁시간에 약간의 여유가 생기는 것이 기쁨으로 느껴졌 으며, 힘들게만 생각되던 블록제 수업이지만 이론과 실 습을 병행하는 다른 학교의 수업 상황에 비하면 자신들 의 생활이 오히려 낫다고 느끼게 됨을 나타낸다. 이는 간 호대학 생은 이론과 실습 병행제에 비해 이론수업 후 실 습형 블록제를 세 배 정도(61.%) 더 많이 요구하고 있다 고 한 Kwon과 Seo(2012)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27]. 그러나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간호대학 생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이론병행제와 블록제 수업의 장 단점을 파악하는 비교 연구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 탕으로 각 유형별 보완점을 모색하는 것 또한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여섯 번째 주제 모음인 발전의 기회는 참여자들이 블 록제 수업의 힘겨운 과정을 잘 마침으로써 스스로 뿌듯 함을 느끼고 뭔가를 이룰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형성되 어 자신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하는 동 기가 부여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치 는 동안 블록제 수업을 하지 않아 비교적 여유로웠던 과 거의 시간을 알차게 보내지 못한 자신의 지난 삶을 반성 하고 앞으로는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이라 다짐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 주 도성은 자기통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학습 등으로 구 성됨을 고려할 때[28]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뿌듯함, 자신감, 성취감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 으로 작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위한 동 기부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은 간호대 학 생이 방대한 학습량과 과제의 홍수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불편감을 경험하지만, 나름 최선을 다해 이 과정 을 무사히 마침으로써 이전에는 몰랐던 시간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더 나은 자신을 위해 새로운 각오 를 다져나가는 기회가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 대학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제한점 이 있으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 다. 그러므로 지역을 달리하여 비교 및 반복연구도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5. 결론 및 제언

간호대학 생은 블록제 수업을 통하여 방대한 학습량 과 과제의 홍수로 신체적, 정신적 불편감을 경험하지만, 나름 최선의 노력으로 이 과정을 무사히 마침으로써 이 전에는 몰랐던 시간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더 나은 자신을 위해 새로운 각오를 다져나가는 기회가 됨 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교육 측면에서 간호 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과정 동안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효과적인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 러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이론 병행제와 블록제 수업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한 비교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안 한다. 또한 간호교육현장에서 간호학 교수자가 간호 대 학생에게 교육의 효율성과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연구를 추후 수행할 것 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일 대학 간호 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므로 사제 관계로 인 해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음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 운 제한점이 있다.

References

  • [1] J. Liaschenko, E. Peter, “Nursing ethics and conceptualizations of nursing: Profession, practice and work”, Journal of Advance Nursing, Vol.46, No.5, pp. 488-495, 2004.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4.03011.x  [DOI]
  • [2] I. S. Kwon. “An Analysis on Clinical Education of Pediatric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8, No.3, pp.344-356. 2004.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A report on evaluation of nursing schools, 2006”,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08.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4] M. H. Jeong, M. A. Sh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 No.2, pp.170-177. 2006.  [DOI]
  • [5] F. Timmins, M. Kaliszer.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me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 Fact-finding sample survey”, Nurses Education Today, Vol.22, pp.203-211, 2002. DOI: http://dx.doi.org/10.1054/nedt.2001.0698  [DOI]
  • [6] Y. J. Son, E. Y. Choi, Y. A.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Vol.18, No.4, pp. 345-352, 2010.  [possible DOI]
  • [7] O. B. Jung, H. J. Park. “Experience on delivery room practice of mal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Vol.17, No.1, pp.64-76,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1.64  [DOI]
  • [8] H. S. Shin, K. K. Shim.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6, No.2, pp.147-155, 2010.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9] H. J. Park, I. S. Jang.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community health center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1, No.2, pp.189-199, 2010.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2.188  [DOI]
  • [10] J. H. Yang. “The experienc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6, No.2, pp.51-64, 2005.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1] M. Y. Park, S. Y. Kim.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ality of Nursing Education, Vol.6, No.1, pp.23-35, 2000.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2] S. Y. Min. “Adjustment experiences of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5, No.4, pp.409-419, 2006.  [DOI]
  • [13] R. A. Day. P. A. Field. I. E, Campbell., L. Reutter. “Student’ evolving beliefs about nursing: from entry to graduation in a four-year baccalaureate programme”, Nurse Education Today, Vol.25, pp.636-643, 2005.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5.09.003  [DOI]
  • [14] L. Magussen, M. Amunds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experience.”, Nursing Health Science, Vol.5, pp.261-267,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442-2018.2003.00158.x  [DOI]
  • [15] D. L. Morgan, “Focus group as qualitative research(2nded)”, Thousand Oaks, CA: sage, 1997.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6] Y. S. Lincoln,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DOI]
  • [17] I. J. Deary, R. Watson, R. H. Hogston, “A longitudinal cohort study of burnout and attri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3, No.1, pp.71-81,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674.x  [DOI]
  • [18] A. Huges, L. P. Romick, M. K. Sandor, C. Phillips, J. Glaister, K. Levy, J. Rock. “Evaluation of informal peer group experience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 emotional well-being and profess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19, No.1, pp.38-48, 2003. DOI: http://dx.doi.org/10.1053/jpnu.2003.9  [DOI]
  • [19] K. S. Han, E. S. Park, J. A. Song, K. M. Kim, J. H. Jin, H. C. Kang, “Interpersonal attachment style, emotional regulation,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6, No.2, pp.198-204, 2007.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20] F. Astin, J. Newton, L. McKenna, L. Moore-Coulson. “Registered nurses’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of first year students’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Journal of Contemporary Nurse, Vol.8, No.30, pp.279-291, 2005. DOI: http://dx.doi.org/10.5172/conu.18.3.279  [DOI]
  • [21] H. Peyrovi, M. Yadavar- Nikravesh, S. F. Oskouie, C. Bertro. “Iranian student nurses’ experiences of clinical placement” Journal of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52, No.2, pp.134-141,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5.00417.x  [DOI]
  • [22] S. Lemola, T. Ledermann, E. M. Friedman, “Variability of sleep duration is related to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n actigraphy study.” PLoS ONE, Vol.8, No.8, e71292. 2013 Doi: 10.1371/journal. pone.0071292  [DOI]
  • [23] G. Cucio, M. Ferrara, L. D. Gemmaro.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icine Reviews, Vol.10, pp.323-337, 2006. DOI: http://dx.doi.org/10.1016/j.smrv.2005.11.001  [DOI]
  • [24] U. M. Edel-Gustafasson, E. I. Kritz, I. K. Bogren,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Vol.16, pp.179-187, 2002. DOI: http://dx.doi.org/10.1046/j.1471-6712.2002.00078.x  [DOI]
  • [25] M. S. Park, K. A. Park, “The differences of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depression,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life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1, pp.344- 355,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344  [DOI]
  • [26] M. H. Nam, M. R. Lee.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elf 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363-374,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363  [DOI]
  • [27] S. T. Moon, M. H. Bak. “Exploring the structural mode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s,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self-perceived employ abilit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5, No.4, pp.79-104, 2013.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28] S. M. Kwon. “Positive psychology”, Hakjisa, Seoul. 2008.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29] I. S. Kown, Y. M. Seo,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ality of Nursing Education, Vol.18, No.1. pp.25-33,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25  [DOI]
  • [30] J. Y. Han, M. Y. Lee, B. R. Jung, “A study on design educ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earn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Education, Vol.12, No.4, pp.115-125, 2009. 김 영 숙 (Young- Sook Kim) [종신회원] • 1994 년 8 월 : 인제대학교 보건대 학원 보건관리학과 ( 보건학석사 ) • 2009 년 2 월 : 경북대학교 일반대 학원 간호학과 ( 간호학박사 ) • 2011 년 4 월 ~ 현재 :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관심분야 > 학교보건 , 청소년건강 , 산업간호  [possible DOI]
639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2016640간호대학생의 블록제 수업경험64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