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6.17.3.499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 499-508, 2016
방 ,
For
The
5) by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n in-depth study on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promoting activitie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setting in their sub-elements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this purpose, lifelong education experts, education administrators, lifelong educators from Daejeon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is Priority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using the AHP. analysis resulted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moting activities; 1) realizing of lifelong education system oriented by universities, 2) setting up the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lifelong education, 3) strengthening the lifelong education of local universities, 4) offering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by generation and target group, strengthening the lifelong educ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6) advancing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the professionalism and transparency. This suggests that realization of a lifelong education system oriented by universities and the reorganization of an university system for adult learners have greater importance among other tasks and elements in carrying out the 3rd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Keywords : AHP,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Priority, Relative Importance
박명신 1 , 한상훈 1* , 윤종찬 1 1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The Priority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using AHP
Myeung-Sin Park 1 , Sang-Hoon Han 1* , Jong-Chan Yoon 1 1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 AHP , 32
요 약 본 연구는 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을 위해 대전시 평생교육 실천현 장의 평생교육전문가와 평생교육기관장 평생교육담당자 및 평생교육사 명을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법을 활용하여 추진과제의 영역과 하위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 결과 추진과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온 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3) 사회통합 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추진과제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1) 성인학습 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 4) 세대별‧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기초 광역 지자체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강화 전문성 투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상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 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행에 있어서 추진과제의 영역 및 요소들이 모두 중요 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과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요소 등에 대한 비중 있는 수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1) 2) · 4) . 2) 3) 5) · 6) · . 3 ‘ ’ ‘ ’ .

1. 서론

개인의 제2의 이생설계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교과부 및 관련 부처에서는 100세 시대 국가 21세기는 100세 시대이며, 평생학습사회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을 본 연구는 2015년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를 일부 수정한 것임. Corresponding Auhor : Sang-Hoon, Han(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el: +82-10-5603-0391 email: Received December 24, 2015 Revised (1st February 4, 2016, 2nd February 15, 2016) Accepted March 3, 2016 Published March 31, 2016
   499

   2002년 2000년까지만

   3대 3개 이후 [2]를 2017)이 수립되어 100세

   [1]에 ~2006) 100세 5대 4대

   4대

   5개 27개

   3대

   AHP기법을 AHP기법을
우리나라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은 초에 제1 거움, 일구어 가는 내일, 함께 살아가는 평생학습사회 차(2002~2006)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이 발표되었다. 그 현으로 설정, 기쁨학습, 미래학습, 통합학습의 비전을 리하여 해도 평생교육에 대해 문외한이었 고, 생애단계별 창조적 학습자 육성, 사회통합을 위한 던 것이 평생교육시대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 것 생학습 관련 기관 참여 및 연계 추진, 평생학습인프라 이다. 평생학습센터가 한국교육개발원에 설립되었고, 시. 축 및 네트워크 활성화 추진의 추진과제로서 생애단 도교육감 지정의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가 설립되었으 계별 맞춤형 평생학습전략과 평생학습 네트워크 전략의 며, 평생교육사 양성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 추진전략으로 평생교육진흥위원회, 시도평생교육협의회, 다. 또한 평생학습축제를 전국적으로 개최하기 시작했 시군구평생교육협의회, 평생교육진흥원, 시도평생교육진 고, 경기도 광명시, 전북 진안군, 대전 유성구 등 지 흥원, 시군구평생학습관이 추진체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역에 평생학습도시 지정하였으며, 소외계층교육지원사 통해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013~ 업, 문해교육사업, 금빛자원봉사단 발족, 지역인적자원 시대 창조적인 평생학습을 개발사업, 평생교육백서 등도 발간되었다. 하여 국가평생학습체제를 실현하는 것을 비전으로 하고 의하면, 제1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002 있다. 정부는 국민행복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은 배우는 즐거움, 나누는 기쁨, 인정받는 학습사회 실현 사회와 함께 노력해야 하는 과제로 평생학습을 개인의 을 비전으로 평생학습기회 확대, 지역평생학습 확대, 취 행복과 시대 사회번영을 이끌어 주는 인식하에 약계층 평생학습 강화, 평생학습기반 강화, 일터의 학습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이 계획은 조직화 등 방향과 정보화 전략, 지역화 전략, 파트너 애주기.계층.지역에 따라 보다 다양한 평생교육의 십 전략, 학습자 중심전략 설정이 추진전략, 평생학 을 마련하고 전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하여 습의 생활화와 지역화, 사회적 통합 증진을 위한 평생학 습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습지원 강화,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기 위한 성인교육기 축 계획을 담고 있다. 회 확대, 직업교육 확대를 위한 일터의 학습조직화, 평생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에는 영역 즉, 일·학 학습 기반 구축 등 영역의 평생교육진흥계획기본계 습·능력 연계를 위한 대학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평생 획이 수립.추진되었다. 따라서 제1차 평생교육진흥기 학습 접근성 제고를 위한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 본계획을 통해 모두 과제가 추진되면서 평생교육 원체제 구축, 사회통합을 위한 생애주기별.계층별 맞춤 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형 평생학습 지원, 창조경제 견인을 위한 지역사회의 제2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008~2012)에서는 평생 습역량 강화를 포함하고 있다. 교육진흥원, 시.도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관으로 대 이렇듯 국민행복을 향상시켜 주고 개인의 삶의 질 표되는 평생교육진흥을 위한 지원.추진기구의 획기적 선을 위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가 강화, 지역평생교육 지원.추진기구인 지역평생교 립되어 현재 수행 중에 있으나, 평생교육의 질적 성장을 육정보센터, 평생교육협의회, 평생학습관의 실질적 지배 위해서는 현재 시점에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구조가 교육감 및 교육정책의 단일 추진체제에서 시.도 수립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지사 및 시.군.구 자치단체장(일반 행정)의 복수 추진 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의 수립에 있어 제3차 평생교 체제로 바뀌었다. 제2차 기본계획은 평생교육진흥의 육진흥기본계획의 추진과제 중 어느 영역 및 요소를 중.장기 정책목표 및 기본방향에 관한 사항, 평생교육 선적으로 비중 있게 수립 및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인지를 의 기반구축 및 활성화에 관한 사항, 평생교육진흥을 위 연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 한 투자확대 및 소요재원에 관한 사항, 평생교육진흥 정 지 이용하여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책에 대한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사항, 그 밖에 평생교육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차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이용하여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에서는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창조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시 어느 적 지식 근로자 육성과 평생학습을 통한 관용 및 포용사 역 및 요소를 우선적으로, 비중 있게 수행해 나가야 하는500
   Domain Initiatives 1-1. Change of university system for adult learner
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은 매 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 립 및 수행시 먼저 또는 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추 진과제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고, 대전 지역 평생교육 실천현장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평생 교육전문가와 평생교육기관장, 평생교육담당자(평생교 육사)들이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수립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어디에 두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1-2.Promotion Subject of the 3rd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Details initiatives 1-1- 1 Establishing adult-friendly open universities 1-1- 2 Supporting universities focused lifelong learning Reinforcing 1-2- 1 Activating universities contributing lifelong education to local communities of local 1-2- 2 Supporting continuous education universities workers in local industries

2.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1. Realization of a university centered- 1-3. Linkage education between learning 1-3- 1 Transferring credits of previous system and qualification experience based on NCS based on 1-3- 2 Linkage between an academic NCS(National ability, training and qualification via Competency learning account systems, etc Standard) 2-1. Construction 2-1- 1 Construction of on-line integrated of on-line service systems education support 2-1- 2 Linking on-line with off-line & systems Network reinforcement 2-2- 1 Building & supporting Happiness 2-2. Learning Center 2. local 2-2- 2 Reinforcing local governments' Constructio governments' n of a total support system support system(at 2-3. Qualitative on, off line) improvement via specialty & transparency

   3-1. Supporting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a generation and subject 3. 3-2. Supporting the underprivileged's education

   3-3. Support for keeping work experiences via learning
우리나라의 국제지위와 경제수준은 높아졌으나, 국민 행복지수는 OECD 조사 결과, 34개국 중 27위에 불과하 며, 국민행복을 이끄는 주요 요소인 평생학습 참여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에 비해 낮은 실정이다[3]. 이에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 Reinforcing 상과 국민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제1차(2002~2006), 제2차 support system for the lifelong education (2008~2012)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에 이어 제3차(2013 2-2- 3 Setting education systems up to metropolitan council level ~2017)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2-3- 1 Certification & information disclosure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은 생애주기.계층.지 2-3- 2 Reinforcing trainers' speciality 역에 따라 보다 다양한 평생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전 국 2-3- 3 Systematical support for linking education with welfare 민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3-1- 1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계획을 담고 according to a generation 3-1- 2 Supporting business owner's career 있다. development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에는 4대 영역으로 일· 3-1- 3 Providing learning opportunities according to each company 학습·능력 연계를 위한 ‘대학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3-2- 1 Providing cultural experiences Support of 평생학습 접근성 제고를 위한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customized 3-2- 2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e disabled learning 종합지원체제 구축’, 사회통합을 위한 ‘생애주기별.계 for social 3-2- 3 Providing learning opportunities low-income groups 층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창조경제 견인을 위한 ‘지 integration 3-3- 1 Supporting re-education opportunities 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12개 for women whose career have stalled 3-3- 2 Acknowledging military service 추진과제로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지역대 expanding access to education 학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학습· 3-3- 3 Supporting learning opportunities school dropouts 자격 연계 강화’,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기 4-1- 1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초·광역 지자체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강화’, ‘전문성·투 communities 4-1- 2 Activating education in agricultural 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상’, ‘세대별·대상별 and fishing villages
   4. 4-1. Linkage Strengtheni between schools ng learning and local capability communities 501

   with various Humanity courses 4-3. Supporting local learning communities
4-2- 2 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local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ir community communities 4-3- 1 Supporting club activities for Realization of a university centered- learning education system 4-3- 2 Creating jobs based on local communities Change of university Source : Ministry of Education “100 three times for the national system for adult learner lifelong learning system Build - Promotion Subject of the 3rd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Initiatives (2013-2017)”. 9, 2013. Reinforcing lifelong education of local universities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의 분류는 교 Linkage between 육부(2013)에서 발표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learning and qualification based on 추진과제를 모두 4개 영역과 12개의 하위 요소로 Fig. 1과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같이 추진과제 모델 확인을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 하였다.

3. 연구방법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의 영역(제1계 층)과 요소(제2계층)의 세부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내용은 설문지에 기재하여 그 의미를 정확히 인지하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3.1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분류 본 연구는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3.2 조사 대상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한 제3차 평생 AHP 방법은 주로 소수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작 사하여 그들의 전문적 판단을 도출하는 것으로, AHP기 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 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상대적 획 추진과제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선정하였다. 중요도를 분석하는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소재 평생교육 우선,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제3차 평생교육진 전문가(12명)와 평생교육기관장(12명), 그리고 평생교육 흥기본계획 추진과제를 바탕으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 담당자(12명)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평생교육 기본계획 추진과제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추출하고, 작 을 연구하고 현장에서 실행하는 자들로, 평생교육진흥기 성한 설문지 초안을 대전시 소재 평생교육전문가 2명과 본계획 추진과제에 대하여 전문적 판단이 가능하다고 평생교육기관장 2명, 평생교육담당자 및 평생교육사 2 았다. 명, 총 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 예비조사로 대전시 소재 평생교육에서 활동 중인 였다. 생교육전문가(2명)와 평생교육기관장(2명), 그리고 평생 이에 따라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의 교육담당자 및 평생교육사(2명) 총 6명을 조사하였고, 영역을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온.오프라인 분석의 틀을 확정한 후, 본 조사로 평생교육전문가(12 평생학습종합지원체제 구축’,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명), 평생교육기관장(12명), 평생교육담당자 및 평생교 평생학습 지원’, ‘복지’,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로 육사(12명) 총 36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설문지는 구분하고 각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의 총 36매가 수거되었으나, 응답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하위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는 Table 1을 바탕으로 제3 하여 일관성 지수(Consistency Ratio)를 평가하여 그 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의 4개의 영역과 12 이 0.2(20%) 이상인 설문지는 제외하고 총 32개의 설문 개의 하위 요소로 확정하였다. 지를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의 일반적 이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Fig. 1과 같다. 특성은 Table 2와 같다.502Construction of a total support system(at on, off line) Construction of on-line education support systems Reinforcing local governments' support system Qualitative improvement via specialty & transparencySupport of customized learning for social integrationStrengthening learning capability of communitiesLinkag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Supporting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a generation and subject Supporting the underprivileged's education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various Humanity coursesSupport for keeping work experiences via learningSupporting learning communitiesRatio 40.6 59.4 34.4 31.3 34.4 37.5 21.9 25.0 15.6

4. 연구결과

도는 일반적으로 9점 척도를 이용한다. 이 척도를 이용 하여 계층 각 단계의 요소를 비교하면서 이원비교행렬표 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단계별 요소가  개인 경우    가지 이원비교를 실시하게 된다. 수집된 설문지는 코딩작업을 거쳐 통계 처리하였는데, [14]가 일관성지수가 0.2이내일 경우 용납할 수 있는 일관성에 문제가 없으나, 0.2이상이면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3.3 분석방법 단한 것에 근거하여 수집된 설문 가운데 일관성 지수가 본 연구는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과 관 낮은 것(CR값 0.2 이상)은 제외하였고, 일관성 분석을 련된 집단을 대상으로 계층분석방법인 AHP(Anaiytic 통과한 설문지는 ‘Expert Choice 2000’ 프로그램을 활용 Hierarchy Process)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하여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이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이것은 변수별 있는 요소간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하여 중치를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시켜보고 이러한 변화가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변화시키기 이전의 초기의 결과와 얼마나 민감하게 차이 새로운 의사결정방법론이다[4]. 가 나는가를 분석해 보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이다. 민감 AHP는 복잡한 다기준 의사결정상황 하에서 수치화 도 분석에서는 일정한 요소들의 값의 범위를 변화시켜보 가 가능한 정량적 요소만이 아니라, 계량화가 어려운 정 고 이러한 변화가, 초기 값과 변화를 가해 분석결과의 성적 요소를 동시에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 주 과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경우, 분석의 강건성이 높다 는 방법이다. AHP는 한 번에 비교해야 할 지표의 수가 고 할 수 있다[6],[8-13]. 민감도 분석의 허용범위에 대한 많고, 평가지표 체계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들이 다수이 획일적 기준은 없으나, AHP 분석의 경우, 일반적으로 며 복합적이어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체계적인 비교를 하 변수들의 10% 범위에서 +와 -의 변동을 가해 주며 기가 쉽지 않을 때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AHP는 의사 변동 결과 순위가 바뀌는 변동 폭이 3이내에 들어오는 결정 문제를 단순화하고 체계화시킴으로서 합리적인 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Expert 사결정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각 계층에 있어서 Choice 2000’의 민감도 분석을 위한 4가지 모듈 중에 각 기준 또는 하위 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는 Dynamic Sensitivity 모듈을 활용하여 민감도 분석을 것이 필요한데, 이것은 이원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시하였다. matrix)을 통해 일관성 있게 유도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어떠한 정책 대안이나 제도의 우선순위 를 도출할 수 있고, 어떠한 기능이나 역할, 직무에 대하 여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 연구는 후자의 유형 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한 최근의 4.1 영역별 비교 교육 분야 연구로 교육감 선출제도[5], 교육지원청의 기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영역의 상대 능[6], 교육전문직의 역할[7], 평생교육사 직무의 상대적 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면 Table 3과 같다. 중요도 분석[8], 시·도 평생교육진흥원 업무의 상대적 중 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시 중점적으로 요도 분석[9], 6진 분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수행할 추진과제 영역은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AHP 분석[10],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에 영 이 0.275,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이 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AHP 분석[11], 교육복지우선 0.258,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이 지원사업의 교육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 0.243,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가 0.224로 나타났다. 석[12],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의 AHP 즉 영역별 추진과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대학 중심 분석[13] 등이 있다.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이 1순위, ‘온·오프라인 평생학503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영역이 3순위, ‘지역사회의 학습 역량 강화’ 영역이 4순위로 나타났다.
   Division Realization of a university centered-education system Construction of a total support system(at on, off line) Domain Support of customized learning for social integration Strengthening learning capability of local communities 위 Table 3을 그대로 나타내면 Fig. 2와 같다.
4.2 요소별 비교 추진과제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 면 Table 4와 같다.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 에서는 상대적 중요도가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 환이 0.100,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가 0.091, 국 가직무능력표준 기반 학습·자격 연계 강화가 0.082로 나 타났다.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영역 에서는 상대적 중요도가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이 0.094, 기초·광역 지자체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강화 가 0.087, 전문성·투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 상이 0. 082로 나타났다.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 학습 지원’ 영역에서는 상대적 중요도가 세대별·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이 0.088, 사각없는 소외계층 평생 학습 지원이 0.080, 학습을 통한 경력단절 극복 지원이 0.072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영역에 서는 상대적 중요도가 학교와 지역을 연계한 평생학습 강화가 0.081, 지역주민의 인문역량·시민역량 강화가 0.073, 지역 학습공동체 확산 지원이 0.068로 나타났다.(layer Domain 1) (layer Element 2) importance Relative Priority0.100
   1
0.091
   2
importance Relative Priority0.082
   3
0.275
   1
0.094
   1
0.258
   2
0.087
   2
0.243
   3
0.082
   3
0.224
   4
0.088
   1
0.080
   2
0.072
   3
0.081
   1
0.073
   2

   Change of university system for adult learner Realization of a Reinforcing lifelong education university of local universities centered- Linkage between learning and education system qualification based on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onstruction of on-line Construction of a education support systems total support Reinforcing local system(at on, off governments' support system line) Qualitative improvement via specialty & transparency Supporting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a Support of generation and subject customized Supporting the underprivileged's learning for social education integration Support for keeping work experiences via learning Linkage between schools and Strengthening local communities learning capability 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of local various Humanity courses communities Supporting local learning communities
0.068
   3
추진과제의 영역과 요소를 종합하여 추진과제의 영역 과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12개의 추진과제 요소 가운데 상대적 중요도가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의 성인학 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이 0.100, ‘온·오프라인 평생 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영역의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 체제 구축이 0.094,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 의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가 0.091, ‘사회통합 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영역의 세대별‧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이 0.088,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영역의 기초·광역 지자체의 평생교 육 추진체제 강화가 0.087, 전문성·투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상이 0.082,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의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학습·자격 연계 화가 0.082,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영역의 학교와 지역을 연계한 평생학습 강화가 0.081, ‘사회통합을 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영역의 사각없는 소외계층 생학습 지원이 0.080,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영역 의 지역주민의 인문역량·시민역량 강화가 0.073, ‘사회 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영역의 학습을 통한504화’ 영역의 지역 학습공동체 확산 지원이 0.068로 상위 본 연구에서 도출한 추진과제의 요소가 영역 값에서 순위를 나타냈다. 차이가 있을 경우 순위변동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감도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qualification based on505

5. 결론 및 제언

모델 강건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역 지자체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강화 6) 전문성·투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상 7) 국가직무능력표준기 반 학습·자격 연계 강화 8) 학교와 지역을 연계한 평생학 습 강화 9) 사각없는 소외계층 평생학습 지원 10) 지역 주민의 인문역량·시민역량 강화 11) 학습을 통한 경력단 절 극복 지원 12) 지역 학습공동체 확산 지원 순으로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 획 추진과제 수립시 중점적으로 비중 있게 수행해야 추진과제는 주로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과 관련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 계획 추진과제 수행시 가장 중점적으로 비중 있게 수행 해야 할 추진과제는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역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 계획 추진과제 수립 및 수립시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의 추진과제가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추진과제 요소 중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체제 전환,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지역대학 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 세대별‧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냄은 제3차 평생교육 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을 5년 내에 추진해야 하는 현실에서 실질적으로 체계적인 계획 및 추진에 대한 the domain 10% plus in case of the relative 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mportance 이에 따라 앞으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 과제 수립 및 수행시 모든 추진과제의 영역 및 요소들이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추진 과제 영역의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과 진과제 요소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온라 본 연구는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 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 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을 위해 대전지역 평생 강화, 세대별‧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을 통한 평생 교육 실천현장의 평생교육전문가와 평생교육기관장, 평 교육 질적 향상에 대한 비중 있는 추진이 이루어져야 생교육담당자 및 평생교육담당자(평생교육사)를 대상으 것이다. 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 즉,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 추진과제 영역과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조 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은 제3차 평생교육진흥 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대학 중 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추진 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 과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참고하여 제3차 평생교육 체제 구축’,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 및 수행시 좀 더 중요하고 ‘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순으로 나타났고, 요소별 상 비중 있게 집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대적 중요도는 12개의 추진과제 요소 가운데 상대적 중 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과제의 요도가 1)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2) 온라인 요도 및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비중 있게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3)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506추진과제 수행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Education Institutes' Task," The Journal of Yeolin 연구결과를 통해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Education, 22(2), 43-65, 2014. 수립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 [10] S. H. Han, M. S. Park, "An Analysis of the AHP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고, 평생교육전문가와 평생교육기관장, 평생교육담당자 Classification Scheme", Journal of Korea Academia- Industrial, 16(2), 995-1005, 2015. (평생교육사)가 인식하는 추진과제 수립에 대한 중요도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995 및 우선순위를 어디에 두고 수행할 것인지 의사결정하는 [11] E. S. Jang, M. S. park, Analysis of Importance Factors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차 평생교육 in the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learning Using the AHP Method," CNU Journal 진흥기본계획 추진과제 수립시 그들이 중요도와 우선순 Educational Studies, 36(1), 21-42. 2015. 위를 도출하는데 시사점을 줄 것이다. [12] M. S. Park, S. H. Lim,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of 본 연구는 AHP기법을 이용해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Journal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를 최초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 YOUTH Welfare, 17(2), 31-54, 2015. 에서 의미가 있으나, 이 밖에도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 [13] M. S. Park, "AHP Analysis on the Promotion Subject the Third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2015 계획 추진과제 수행도 조사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Korea Academic Society Conference 2, 701-703, 2015. 점을 제언한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추진과 [14] Saaty, Thomas, L, “Reflections and projections on creativity i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제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고,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America, 46(1), 9, 1998. 평생교육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박 명 신 (Myeung-Sin Park) [정회원]

Reference

  • • 2010 년 2 월 :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교육학석사 ) • 2014 년 8 월 :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교육학박사 ) • 2011 년 10 월 ~ 현재 : 채움교육 연구소장 • 2014 년 9 월 ~ 현재 : 충남대학교 시간강사 & 중부대학교 초빙교수 ( 조교수 )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 관심분야 > 평생교육 , HRD, 창의성 , 리더십  [possible DOI]
  • 한 상 훈 (Sang-Hoon Han) [정회원] • 1985 년 8 월 : 고려대학교 대학원 ( 문학석사 ) • 1992 년 2 월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교육학박사 ) • 1999 년 10 월 ~ 현재 :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DOI]
  • < 관심분야 > 평생교육 , 성인교육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윤 종 찬 (Jong-Chan Yoon) [정회원] • 2012 년 8 월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 교육학석사 ) • 2014 년 3 월 ~ 현재 :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교육학 박사과정 ) • 2011 년 8 월 ~ 현재 : 대전평생 교육진흥원 부장 관심분야 > 평생교육 , 사회적자본 , HRD, 노인교육 , 청소년교육  [DOI]

   [1]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 The Joy of Learning, sharing joy recognized social learning and realiz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2. [2] Ministry of Education, “100 age times for the third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Build cars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within),” Ministry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lifelong career, 2013. [3] H. S. Lee, "waiting for the lifelong education plan, version 3.0 Age," cabingirl.blog.me/120123263908, 2010. [4] G. T. Jo, S. J. Kim, D. S. Kim, Y. W. Jo, J. I. Lee, "The priorities set in the promising field of rural development support technology investments by focusing on the AHP," Journal of Rural Planning, 9(3), 41-46, 2003. [5] Y. C. Choi, S. J. Park, M. H. Kim, S. H. Oh, "The superintendent elect an alternative navigation system stakeholders through AHP analysis,"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5 (1), 51-73, 2011. [6] S. J. Park, Y. C. Chol, "AHP analysis of the priorities of the education agency support function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28(4), 281-330, 2010. [7] S. J. Park, S. L. Mo, D. O. Hong, "AHP analysis of the role education profession," Journal of Korea Teachers Study, 28(1), 221-242, 2011. [8] M. S. Park, S. J. Park, E. S. Jang,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 duties,"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3(1), 165-186, 2012.

   , HRD
507508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