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6.17.1.485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485-492, 2016
김경미 1 , 양영옥 2*
The Dementia the
Behavior of Complex City
2*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연구대상은 대한 지식 , 태도 및 예방활동에 대한 , 평균과 표준편차 , t-test 와 일원변량분석 교육 수준이 낮고 수입이 적은 노인이 치매 점수가 더 높았다 . 그러므로 치매 예방활동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을 강화
요 약 본 연구는 도시와 1 개 도농복합시의 복지관과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 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를 보면 , 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 또한 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년기 할 필요가 있다 .
Abstract This study urban-rural complex city. In urban-rural complex city. The preventive behavior. Data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higher scores of dementia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f an health centers were selected from one for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and ANOVA using SPSS 19 software. less educated, and lower income had higher when they were thinking more
of their bad health.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training and programs for dementia'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on activities by a spouse or family member in early elderly period.
Keywords : Attitude, Dementia, Knowledge, Preventive behavior
1. 서론 해당하는 213만 명이 치매노인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2]. 1.1 연구의 필요성 고령사회가 되어가는 한국사회에서 급속히 증가하는 오늘날 경제성장과 의료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평균수 치매 유병률을 고려해 볼 때 치매문제는 사회전체가 함 명이 연장되어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께 고민해야 하는 주요 주제가 되었다[3]. 즉 치매노인에 총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13년에는 게는 신체적 불편함과 질병의 만성화로 인해 노년기의 12.2%였는데[1], 2050년이면 65세 이상 노인 13.2%에 삶의 질이 저하되었다[4]. 가족에게는 심리적인 부양 부
본 논문은 2015년도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 Corresponding Author : Young-Ok Yang(Kaya Univ.) Tel: +82-55-330-1083 email: iflover@kaya.ac.kr Received September 18, 2015 Revised (1st November 23, 2015, 2nd January 4, 2016) Accepted January 5, 2016 Published January 31, 2016
48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2016
담과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며, 자녀의 부양의식 약화와 더불어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으로 가정 내에서의 요 양보호는 한계에 도달하였다[5].
2.2 연구대상 2.2.1 대상자 선정기준 도시와 농촌 복합도시인 G시에 거주하는 치매 조기
연령인 60세 이상 노인을 연구을 모집단 다음으로 국문해독이 가능하여 질문지 자, 설문지의 내용을 듣고 이해하여 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동 선정하였다.
산정 위하여 19개 읍, 면, 동으로 구성 동 중심의 도시지역 12곳과 읍, 면 중심 양분하였다. 분류된 지역에서 각각 각각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산
표본수는 G*power 3.1프로그램을 각각 효과크기 medium, α=.25, 때 필요한 180명 이상을 만족하는 것 표본수 산정 후 선행연구[12]의 탈 도시와 농촌지역 각각 250명을
19개 읍, 면, 동에서 자료수집한 후 부실한 17명을 제외한 483명이 최종 연
특히 치매환자의 경우 치료 의 부양 부담과 사회·경제적 고 있어 치매를 조기에 조기검진은 매우 중요하다[6]. 은 각 지역별로 관리하고 특성에 맞추어 관리된다면 의 경우 치매관리에 대한 식, 역량, 교육 요구 등을 는 간호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의 도시와 보면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역에서는 무학, 농촌지역에서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8]. 치매 인 예방차원의 관리 정책을 인자에서 차이를 보이는 책은 차별화가 될 필요성이 의 인지기능을 높이는 효과를 을수록 치매 예방활동에 적극적인 매 예방활동과 지식 및 태도는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면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을 도를 조사한 연구는 방활동을 연계하여
조사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3 연구대상의 윤리적 고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농복합시에 거주하는 도시와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kaya IRB-8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지식과 태도, 예방활동을 호)을 받아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규정을 파악하여 도시과 농촌지역에 맞는 치매 예방교육 및 프 엄격하게 준수하였다. 먼저 연구보조원인 방문간호사 4 로그램 개발과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명을 모집하여 연구의 목적과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하여 치매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고려사항을 준수하도록 교육하였다. 이후 연구자와 연구 보조원은 연구 윤리를 고려하여 연구대상자에게 본 연구 의 목적과 과정, 연구방법을 설명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 2. 연구방법 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의사를 밝히고 동의서를 작성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비밀보장과 연구 중 2.1 연구설계 간에 철회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전달하여 편안한 마음으 본 연구는 60세 이상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 로 설문지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로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예방활동을 파악하기 위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4 연구도구 2.4.1 치매지식 치매지식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Cho[13]가 개발하고
486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
Ko와 Shin[12]이 활용한 치매지식 척도를 이용하였다. 교육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보조원에게 보건소를 총 16문항으로 맞으면 1점, 틀리거나 모르겠다로 응답하 방문한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 면 0점으로 계산하여 합산한 점수이다. 점수의 범위는 다. 작성된 설문지 내용을 점검하고 의문사항을 질문하
0-16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높음을 의미한다. Cronbach's α = .74이었고, 본 = .42 이었다.
표준화된 양식으로 자료수집을 할 연구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자료수 의문점과 문제점은 연구자와 직접 연구자가 적극 개입하여 지도 및 감독을 연구보조원은 19개 읍면동별로 경로당,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2.4.1 치매태도 치매태도에 사용된 척도를 이용하였다. 총 ‘전혀 그렇지 않다’ 에서부터 점에서 최대 60점 범위이며 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에서 신뢰도 Cronbach's α = Cronbach's α = .74 이었다.
통계적 처리는 SPSS 19.0프로그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
사항에 따른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2.4.3 치매 예방활동 치매 예방활동에 대한 Lee 등[14]의 연구에서 사용된 와 보건복지부, 에서 치매예방수칙의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도구는 병원 의사 1인, 보건행정학 타당도가 100.0%로 일치하는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하고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0세 이상인 보건소 이용주민 중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일반적 특성 중 도시 노인의 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71.5세 였으며, 농촌 노인의 평균 연령은 Cronbach's α = .90 이었다. 도구는 치매 예방활동 분야 70.9세 이었다. 성별은 도시는 남자가 30.0%, 여자가 중 운동 3문항, 활동 3문항, 식생활 3문항, 건강관리분야 70.0%이었고 농촌은 남자 22.0%, 여자 78.0% 이었다. 3문항과 치매 대처 분야 3문항으로 모두 15문항으로 구 또한 도시 지역에서 혼자 사는 노인은 51.0% 이었으며, 성되었다. 도구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농촌 지역은 34.3%의 노인이 혼자 생활하고 있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의 5점 척도로 측정 [Table 1]. 하여 최소 15점에서 최대 75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 록 치매 예방 및 대처 활동을 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 3.2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 지식 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Cronbach's α = .89 이었다.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 모두 배우자 유무에 따른 지식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도시지역 노인은 2.5 자료수집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지식점수가 높은 반면에 농촌지역 2.5.1 연구진행절차 노인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지식점수가 더 높았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5월 4일까지이 Table 2. 며, 보건소에 근무하는 연구보조원 4인을 연구자가 사전
48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2016
Categories
Charact- eristics
Urban (n=247) n(%)
Rural (n=236) n(%)
Income per 50 below a 8.41(2.13) 7.84(2.62) 4.49 month 50-100 b 8.57(2.25) 0.87 8.07(2.29) (.012) (10,000won) 100 above c 8.08(1.76) (.419) 8.87(1.99) c>b>a Subjectivehea Healthy
8.32(1.98) 8.628(2.07) 0.92 1.18 8.60(1.95) 8.079(2.53) (.400) (.309) 8.20(2.13) 8.16(2.38) 8.05(1.96) 0.90 7.28(2.09) 2.47 8.39(2.06) (.366) 8.38(2.36) (.025) 7.89(1.63) 2.13 8.37(2.58) 0.37 8.50(2.15) (.034) 8.24(2.28) (.710) 8.68(1.96) 4.23 8.30(2.45) 0.34 7.51(2.03) (<.001) 8.19(2.12) (.729) 8.47(2.15) 1.42 8.00(2.51) -1.72 8.08(1.81) (.156) 8.52(2.18) (.088) 8.34(2.05) 8.27(2.35)
노인의 치매 태도 대하여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 모두 통계 일반적 특성은 연령, 학력, 소득, 건강인 및 치매검진이었다. 즉 연령이 많고, 학 많고, 본인이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 않고, 치매검진을 받은 군이 치매 태 유의하게 높았다 Table 3.
Gender Male Female Age 60-65 below (year) 65-69 70-74 75 above M(SD)* Marriage Married Not-married Divoce Death Family Alone form With couple With family Cohabitant Religion Yes No Level of Elemantary education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above Income 50 below per month 50-100 (10,000won) 100 above Subjectivehea Healthy lth moderate insight bad Smoking Yes No Alcohol Yes No Exercise Yes No
Urban Rural (n=247) (n=236) M(SD) t/F M(SD) t/F 39.21(6.38) -5.36 37.11(5.42) -5.22 43.64(4.38) (.002) 41.54(5.41) (.851) 38.19(5.08) 38.37(4.21) 11.46 13.57 40.78(6.49) 38.17(5.12) (<.001) (<.001) 43.38(4.95) 43.51(6.29) c,d>b>a c,d>a,b 44.10(4.52) 42.18(5.61)
165(66.8) 82(33.2)
114(48.3) 122(51.7)
Dementia Yes screening No * M(SD) : 평균 ( 표준편차 )
Couple Yes 40.13(5.92) -5.57 39.21(5.35) -4.97 No 44.03(4.83) (.011) 42.85(5.57) (.338) F a m i - l y Alone 44.30(4.64) 5.98 42.79(5.39) 4.49 form With 40.24(5.92) (.005) 39.41(5.53) (.755) Relig-ion Yes 43.14(4.64) -2.65 39.15(5.83) -2.10 No 41.09(6.75) (<.001) 40.99(5.61) (.852) Level of Elemantary a 44.15(4.66) 36.74 42.58(5.61) 18.10 educat-ion Middle b 43.59(4.91) (<.001) 38.90(5.89) (<.001) High above c 38.00(5.62) a>b>c 38.06(4.12) a>b,c I n c o m - e 50 below a 44.52(4.57) 53.73 42.45(5.61) 20.34 per month 50-100 b 43.18(4.59) (<.001) 41.81(5.51) (<.001)a (10,000won) 100above c 37.34(5.15) a>b>c 37.58(4.71) >b>c Subje-ctive Healthy a 36.06(4.86) 51.25 38.47(5.77) 7.85 health Moderate b 42.03(4.76) (<.001) 40.97(5.11) (<.001) insight Bad c 44.57(4.85) c>b>a 42.00(5.80) b,c>a Smo-king Yes 42.82(5.77) 6.12 35.56(6.04) 4.43 No 42.23(6.77) (.563) 41.16(5.38) (<.001) Alcoh-ol Yes 38.32(5.45) 7.01 38.18(5.25) 3.54 No 43.65(5.09) (<.001) 41.00(5.58) (.003) Exer-cise Yes 42.63(5.27) 1.40 41.10(5.83) 2.06 No 41.52(5.62) (.162) 39.48(5.28) (.041) Deme-ntia Yes 44.18(4.51) 5.01 42.40(5.67) 7.61 screen-ing No 38.54(5.92) (<.001) 38.86(5.20) (<.001) Total 8.34(2.05) 8.27(2.35)
Urban Rural Charact- Categories (n=247) (n=236) eristics M(SD) t/F M(SD) t/F Gender Male 7.94(1.98) -2.03 8.26(2.72) -0.01 Female 8.52(2.06) (.547) 8.27(2.24) (.230) Age 60-64 a 8.11(1.75) 9.09(2.14) (year) 65-69 b 8.19(1.93) 0.93 8.40(1.62) 5.42 70-74 c 8.76(2.22) (.428) 8.28(2.37) (.001) 75 above d 8.31(2.13) 7.58(2.64) a>d Couple Yes 8.11(1.89) -1.59 8.52(2.16) 2.21 No 8.52(2.16) (.041) 7.85(2.61) (.003) Family form Alone 8.60(2.09) 2.01 7.81(2.67) -2.03 With 8.08(1.98) (.001) 8.50(2.14) (.348) Religion Yes 8.34(2.00) 0.01 8.19(2.44) 0.88 No 8.35(2.14) (.262) 8.51(2.03) (.121) Level of Elemantary 8.42(2.18) 8.00(2.36) 1.06 2.87 education Middle 8.57(2.04) 8.16(2.24) (.348) (.059) High above 8.05(1.78) 8.87(2.34)
488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
3.4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 예방활동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지식 치매 예방활동에 대하여 도시와 농촌 노인 모두 통계 점수와 낮은 예방활동을 보였다. 또한 치매에 대한 태도 적으로 유의한 일반적 특성은 소득, 운동 및 치매검진이 도 여성보다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었다 Table 4
남자 노인에 대한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반면에 농촌 낮고, 배우자가 있으며, 소득이 높 치매지식 점수가 더 높았다. 도농복합시 일반노인의 치매 관심도와 지식 연 지식점수가 높은 것과는 차이를
Characte- Categorie-s ristics M(SD) Gender Male 47.16(10.4) Female 48.35(10.7) Age 60-64 a 45.42(9.33) (year) 65-69 b 46.67(11.38) 70-74 c 47.18(10.20) 75 above d 50.18(10.16) Couple Yes 46.29(10.07) No 49.34(10.80) Family Alone 48.75(10.55) form With 47.20(10.57) Religi-on Yes 49.30(10.71) No 46.07(10.11) Level of Elemantary a 48.72(10.45) educat-ion Middle b 49.07(10.58) High above c 45.94(10.66) Income 50 below a 49.49(10.72) per month 50-100 b 49.18(9.50) (10,000won) 100above c 44.30(10.04) Subjec-tive Healthy a 45.37(8.72) health Moderate b 45.71(10.00) insight Bad c 50.23(11.03) Smoki-ng Yes 47.18(12.91) No 45.04(10.17) Alcoh-ol Yes 45.96(9.38)
도시지역 노인이 평균 42.31점, 도 평균 40.57점으로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 도시와 농촌 지역 노인의 치매태 유무와 동거에서 크게 차이가 났다. 도 치매 지식과 마찬가지로 배우자가 없고 치매태도 점수가 더 높아 치매에 대한 알 수 있다. 그 외 연령, 학력, 소득 수준, 운동 및 치매검진에서는 도시와 농촌 같은 결과를 보였다. 치매태도는 본인 스 생각과 관심도가 높아야 하므로 소득 관련되며, 본인의 관심도에 따라 점수 알 수 있다. Song[10]의 중년 치매태도 높거나 가족이 함께 동거하고 치매태도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와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중년과
No 48.94(10.79) (.014) 47.60(10.21) (.933) Exerci-se 3.75 노년의 나이차이,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등에 변화가 있 Yes 49.55(9.55) 47.47(10.30) 7.15 No 44.12(11.13) (<.001 41.37(10.26) (<.001) 고 본인 스스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가 났기 때문 ) Deme-ntia 4.95 으로 생각한다. 특히 도시지역 노인의 경우 여성, 75세 Yes 50.23(10.40) 51.94(9.21) 7.14 screen-ing No 43.48(9.46) (<.001 43.49(9.40) (<.001) 이상, 배우자가 없고, 혼자 살고, 종교가 있으며, 학력과 ) Total 47.99(10.57) 47.57(10.21) 소득이 낮고, 본인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할수록 치매 태도 점수가 높아 독특한 양상을 보여 준다. 이러한 태도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예방활동 점수에서도 비 4. 논의 슷한 양상을 보인다. 즉 오히려 젊고 여유가 있을 경우 치매에 등한시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도농복합시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점수는 도시지역 노인이 평균 47.99점, 도 도시와 농촌지역에 따른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의 시지역 노인이 평균 47.57점으로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논의하 면 64점과 63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치매 예방활동 고자 한다. 점수는 도시와 농촌 모두 소득이 낮고, 운동과 치매조기 치매지식 점수는 도시지역 노인이 평균 8.34점, 도시 검진을 실시한 군이 높았다. 이는 자료수집과정에서 경 지역 노인이 평균 8.27점으로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로당, 노인정, 복지관을 다니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수 52점과 51점으로 매우 낮았다. 특히 도시지역 남성은 통 집을 한 영향도 있으나 이러한 활동이 직접적인 치매 예
48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2016
방활동으로 이어지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인 건강증진행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치매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부부를 대상으로 연구에서는 치매에 대한 관심 정도나 있는 정보제공 및 보건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예 주관적 인지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를 건소에서는 예방 프로그램인 별로 나누어서 활발히 도시와 농촌지역에 따른 한 개발 및 평가가 필요하다고 함한 보다 체계적인 자료수집이 건강관리 활동에서는 않던 비흡연자, 비음주자, 이 예방활동이 점수가 높았다. 신의 건강이 나쁘다고 지식을 향상한다면 좀더 빠른 를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잔씩 마신 노인이 향후 6년간 37% 더 낮다는 보고도 는 원활한 혈액순환과 으므로 치매예방에도 도움이 구에서는 음주의 분량에 대한 매일 마시는 술의 양을 명확히 구에서는 음주에 대한 정확한 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평균 나이는 70.8세이며 75세 이상 노인이
대해서는 부부 모두 ‘나도 걸릴 가 인식하고 있었으며,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인 것으로 나타났다[12]. 도시와 농촌지역의 치매지식, 태도, 예 비교해보면 두 지역 모두 지식 정도의 8.34점, 농촌은 8.27점으로 낮았으며, 태 예방활동은 두 지역 평균 41.46점, 47.79점으로 높 즉 전반적으로 도시의 지식, 태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Kim[11]의 도 결과 지식과 태도 모두 평균 9.57점, 결과가 높게 나온 것과 유사하 연구에서 치매지식은 연령이 낮을수록 농촌지역 노인 모두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다. 즉, 본인의 건강행태와 치매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알 수 있 치매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고 알 의미할 뿐 실제적으로 건강을 위한 생활 등으로 연결되지는 않았음을 알 수 우리나라의 치매정책이 치료보다는 예방 직접적인 방문 등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있으며 Lim[18]의 연구에서 보고하는 조기에 인식할 수 있는 교육도 필요하다.
역 36.4%로 가장 많았다. 치매는 나이가 많을수록 치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인구 유병율이 높으므로[2] 치매고위험군인 70세 이상 노인 의 증가추세에 따른 효과적인 치매 예방관리와 이와 관 이 도시와 농촌지역 모두 과반수 이상의 비율를 차지하 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며, 치매에 대한 올바 므로, 집중적인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의 필요성이 른 지식정보를 제공하고,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치매조기 있다고 본다. 학력수준은 도시와 농촌지역 모두 국졸이 검진 및 예방활동으로 치매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 하가 54.7%, 51.3%로 나타났으며, 이는 광주광역시의 요한 문제임을 한번 더 점검할 수 있었다. 치매 유병률 위험인자 비교 결과 무학이 많았던 것과 유 본 연구는 일개 도농복합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사하였다[8]. 따라서 도농복합지역의 70세 이상 저학력 연구결과를 확대해석할 때 신중을 기해야한다. 그럼에도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치매예방관리가 필요하 불구하고 도시와 농촌지역의 맞춤형 치매예방 프로그램 다. 치매지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치매에 대 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 한 정보를 알고 있는 집단이 알고 있지 못하는 집단보다 각한다. 행동적인 태도가 높게 나타나며, 치매에 대한 올바른 정 보를 가지고 있을 때 치매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 예방활 동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10]. 중장년층에서 치매에 5. 결론 및 제언 대한 인식 정도를 연구한 Lee[17]의 연구에서도 치매지 식이 높을수록 건강수명 및 삶의 질을 증대시키고, 효과 본 연구는 치매조기검진이 필요한 60세 이상 노인을
490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지역의 지역별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을 파악하여 치매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도하였다.
and Oxygen Chamb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2953-2961,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953
도시와 농촌지역의 가장 큰 여부, 치매검진유무이므로 이에 적이고 반복적인 프로그램 운용으로 시와 농촌지역의 성별에 맞는 을 마련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것이다. 치매태도에서는 도시, 자가 태도점수가 높게 나타나므로 높은 치매지식 수준을 태도로 련하고, 또한 초기 노년기부터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치매예방활동도 도시지역은 그리고 독거노인이 높은 점수를 예방활동에 참여 할 수 있는 여야 한다.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

1 김해시보건소, 2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Elderly Lived in the Urban-Rural
Koung-Me Kim 1 , Young-Ok Yang 1 Gimhae Health Center 2 Division of Nursing, Kaya University
농촌지역의 지역별 치매에 대한 지식 , 태도 및 예방활동을 보건소를 이용하는 노인 483 명이었다 . 자료수집은 치매에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70 세 이상 , 배우자가 없고 자신의 건강이 나쁘다고 인지하는 노인이 치매 태도 초기에 배우자나 가족을 동반한 치매지식 , 태도 , 예방활동을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dementia knowledge, this study, 483 subjects using welfare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analysis was perform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elderly more than 70 years of age, no spouse, attitude. In addition, the dementia attitude scores were
G시를
7곳으로
20-50명을
23.3%를
및 관리에 있어서 가족들 검진 실시대상 비용 부담이 동시에 가중되 으로 선정하였다. 발견하고 치료하는 치매예방 및 의 응답이 가능한 최근 국가 치매관리 정책 답할 수 있는 자, 있는데 이러한 정책이 지역의 의한 자를 연구대상으로 더욱 효율적일 것이다. 미국 새로운 방법으로 대상자의 지 2.2.2 표본수 파악하여 대상자의 수준에 맞 대상자를 표집하기 노력하고 있다[7]. 된 크게 농촌지역 치매 유병률을 비교해 의 농촌지역 유병률이 높으며, 도시지 할당표집하여 고령과 여성인 경우가 정하였다. 치료의 장기화와 국가적 도시와 농촌지역의 고려해 볼 때 발병률과 위험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도시와 농촌 지역 치매관리 정 β=.80으로 하였을 있다. 치매 예방활동은 노인 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이며[9], 치매지식이 높 락율 고려하여 태도를 보여[10], 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로 관련성이 높다고 할 선정된 대상자를 치매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 설문지 내용이 대상으로 치매 지식과 태 구대상이었다. 있으나[11], 치매 지식과 태도 및 예
Cronbach's
4
Lee
Ko와 Shin[12],
간호학 교수 1인, 1인에게 의뢰하여
치매에 대한 지식 정도가 게 하여 연구보조원이 Cho[13]의 연구에서 신뢰도 수 있도록 훈련하였다. 연구에서는 α 집기간동안 돌발하는 연락을 통하여 하였다. 훈련된 노인정, 복지관을 연구도구는 Lee 등[14]이개발한 의를 얻은 대상자에게 15문항으로 4점 Likert 척도로 를 수집하였다. ‘매우 그렇다’ 까지 최소 점수가 높을수록 치매에 대 2.6 자료분석방법 의미한다. 등[14]의 연구 회수된 설문자료의 .74 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램을 이용하여 첫째, 대상자의 활동 정도는 각각 출하였다. 연구도구는 둘째, 일반적 치매 예방활동 측정도구 동의 차이는 t-test와 중앙치매센터에서 발행한 치매가이드북 검정은 LSD로 발췌하여 본 연구에 맞게 치매전문 교수 내용 문항을 선택하였다. 도구
lth Moderate insight Bad Smoking Yes No Alcohol Yes No Exercise Yes No Dementia Yes screening No Total
3.3 도농복합시 치매 태도에 적으로 유의한 식, 음주와 운동 력이 높으며, 소득이 하며, 음주를 하지 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74(30.0) 52(22.0) 173(70.0) 184(78.0) 26(10.5) 64(27.1) 76(30.8) 47(19.9) 50(20.2) 39(16.5) 95(38.5) 86(36.5) 71.5(5.62) 70.9(7.62) 109(44.1) 148(62.7) 2(0.8) 4(1.7) 18(7.3) 6(2.5) 118(47.8) 78(33.1) 126(51.0) 81(34.3) 82(33.2) 98(41.5) 27(10.9) 50(21.2) 12(4.9) 7(3.0) 147(59.5) 182(77.1) 100(40.5) 54(22.9) 135(54.7) 121(51.3) 42(17.0) 53(22.5) 46(18.6) 50(21.2) 24(9.7) 12(5.0) 140(56.7) 84(35.6) 38(15.4) 70(29.7) 69(27.9) 82(34.7) 43(17.4) 70(29.7) 76(30.8) 88(37.3) 128(51.8) 78(33.0) 35(14.2) 25(10.6) 212(85.8) 211(89.4) 29(11.7) 33(14.0) 218(88.3) 203(86.0) 144(58.3) 134(56.8) 103(41.7) 102(43.2)
Charact- Catego-ries eristics Gend-er Male Female Age 60-64 a (year) 65-69 b 70-74 c 75 above d
Behavior
Urban Rural (n=247) (n=236) t/F M(SD) t/F -0.81 49.19(8.99) 1.29 (.547) 47.11(10.5) (.230) 43.60(7.75) 28.67 2.42 40.27(9.65) (<.001) (.067) 54.51(9.03) c,d>a,b 51.37(8.89) -2.27 45.95(10.34) -3.23 (.121) 50.30(9.44) (.418) 1.15 49.93(9.48) 2.60 (.933) 46.34(10.39) (.303) -2.38 48.37(10.36) -2.22 (.194) 44.88(9.30) (.178) 36.74 50.21(9.38) 10.59 (.156) 46.58(10.00) (<.001) 43.27(10.49) a>c 6.09 50.39(9.53) 15.40 (.003) 49.77(9.63) (<.001) a,b>c 42.81(9.75) a>b>c 6.23 46.42(10.28) 1.45 (.002) 47.10(10.82) (.234) c>a,b 49.14(9.34) 0.18 46.75(10.19) 1.44 (.852) 47.67(10.23) (.658) 2.46 46.70(9.19) 0.08
따라서 도시지역 적용하여 치매지식을 지역 노인은 연령이 고, 비흡연자가 노인의 치매 지식은 구에서 여자, 고학력이 보였다[15]. 치매태도 점수는 시지역 노인이 면 70점과 67점이었다. 도에서도 배우자 시지역 노인은 혼자사는 노인이 관심이 높음을 건강인식, 음주와 지역 노인 모두 스로 치매에 대한 수준, 교육수준과 차이가 있음을 연구에서 보면 교육수준이 생활비가 넉넉할수록 는 차이가 있음을
조사하지 않았지만 현재 보 치매 발병 가능성에 인지향상 프로그램을 권역 능성이 있다’라고 운영하고 있다. 다음 연구에서는 활동은 꾸준한 맞춤형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대 앞에서 서술한 본다. 또한 재가노인을 포 방활동의 정도를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점수는 도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든 유의하지 도 및 운동과 치매검진을 하는 노인 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강인식에서 자 및 예방활동점수가 인식하는 노인이 예방활동도 높아 시와 농촌지역 비교 나이, 더 건강할 때에 치매 32.88점으로 도시노인의 생각한다. 하루에 술 한, 두 였다. 그러나 본 치매 위험이 평균적으로 높았으나 도시와 있다[16]. 따라서 적당량의 음주 태도와 예방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 지식 점수는 실질적인 된다고 본다. 하지만 본 연 었다. 즉, 지식은 명확한 제시가 없었으므로 고 있는 정도를 알 수가 없었다. 다음 연 습관이나 조기검진 양과 횟수를 제시하여 연 있었다. 따라서 활동에 있다면 도시지역 71.5세, 농촌지역 도입될 필요성이 도시지역 38.5%, 농촌지 문제 행동에 대해
차이는 배우자 유무, 동거 필요한 지식교육과 지속 태도변화 유도와 도 예방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대상으로 제공되어야 할
농촌지역 모두 저학력, 저소득 고학력, 고소득자의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마 부부가 함께 치매에 대한 절실히 필요하다. 여성, 농촌지역은 남성, 보이므로 부부가 함께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을 하

References


   [18]
및 건강증진분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