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861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861-8869, 2015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ego-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The subjects were 623 students in 1st and 2nd grad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7 to 23, 2014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9.0.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with Enneagram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 4 and 5 in Enneagram were the lowest level in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llege adaptation was optimistic attitude in ego-resilience. Optimistic attitude, confidence, emotional control, and academic grades were explained 61.6% of the college adaptation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ego-resilience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s for positive college adaptation. Keywords : college adaptation, college students, ego-resilience, personality types
이미라 1 , 전현숙 1* 1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Personal types,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Mira Lee 1 , Hyensook Jeon 1* 1 Department of Nursing,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요 약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1, 2 학년 대학생 623 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자아탄력성 정도를 알아보고 , 대학생활적 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자료수집은 2014 년 10 월 7 일부터 10 월 23 일까지 진행하 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 평균과 표준편차 , t-test, ANOVA, Scheffe’s 검증 ,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4 유형과 5 유형에서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 모두 가장 낮았다 .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자아탄력성과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낙관적 태도였으며 그 외 영향요인은 자신감 , 감정조절 , 성적이었고 , 총 61.6% 의 설명력을 보였다 . 개인의 성격유형 이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영향을 주므로 ,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긍정적태도와 자신감 , 감정조절 등을 강화하 여 건강한 측면의 성격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 일정한 학교 성적을 유지할 수 있게 지도한다면 대학생 의 대학생활적응력도 높아질 것이다 .
1. 서론
립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과 중한 대학입시 준비로 인하여 청소년기에 이루어야 할 발달과업을 제대로 마치지 않은 상태로 대학생활에 노출 되므로 학생 스스로가 대학 내 활동을 선택하고 취업을
본 논문은 대전보건대학교 연구지원비로 수행되었음. * Corresponding Author: Hyensook Jeon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Tel: +82-42-670-9376 e-mail: Received November 12, 2015 Revised (1st November 26, 2015, 2nd December 3, 2015) Accepted December 4, 2015 Published December 31, 2015
준비해야 하는 문제에 갑자기 직면하게 된다. 아무런 준 비나 사전 정보 없이 대학 합격이나 취업을 위한 목적만 으로 전공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에는 대학생활 부적응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대학생활 부적응은 전공수업에 대한 흥미 결여, 중도탈락율 증가, 졸업 후 전공과 관련 없는 직업의 선택, 취업 후 잦은 이직과 같은 이차적인 문제들을 발생하게 한다.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 적응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대학 환경내에서 생활하면 서 학업 동기, 대인관계, 정서적 측면 등에서 대학생활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효과적으로 만족을 느끼는 상 태를 의미한다[1].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은 취업과 같은 청년기 발달과업활동에 직결될 뿐 아니라 나아가서 는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며, 직업 만족도 향상과 사회생활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주요 요인이 된다. 특히, 간호.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장차 의료인.의료 기사로서 전공에 대한 전문성 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기초 소양 및 자질 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므로 타계열 학생보다 대학생활적 응의 중요성이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공에 대한 이론 습득 뿐 아니라 병원과 같은 낯선 환 경에 접하여 실습을 해야만 하는 상황과 국가고시 합격 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2]는 점에서 대학생활적 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보건계 학생들이 대학생활 에 잘 적응하는 것은 대학생 시기 동안의 과업 달성 뿐 아니라 미래의 삶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인이라 할 수 있다.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외적 환경보다는 내적 통제력이 중요하고 내적 통제력에는 정서적. 사회 적 적응이 주요 요소로 작용하며, 내적 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격 유형,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 감 등이 있다[3]. 성격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질이나 품성’으 로[4], 개인의 성격 유형에 따라 대처방식이나 적응에 차 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성격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니어그램은 개개인의 독특함 을 인정하고 그에 따라 성격을 9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각 유형의 이해를 통해 자기 관찰, 자기 이 해, 자기 발전으로 이웃을 사랑하며 맡겨진 분야에서 성 공하는 삶을 추구하게 하는 것으로 성격유형에 대한 체 계적인 정의를 정교화한 것이다[5]. 성격유형은 바꾸기
어렵지만 각 성격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성격유형에 맞는 대학생활 적응방안을 제시한다면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자아탄력성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맞추어 통제수준 을 조절하여 적응하는 능력으로서 자아통제력을 핵심으 로 하며[6], 극복과 적응을 가능하게 하는 자신감, 역경 을 견디면 미래에는 반드시 좋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믿는 낙관적인 태도,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 력,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 력이 조화를 이루는 능력이다[7][8]. 따라서 자아탄력성 과 대학생활적응은 의미 있는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최근까지의 연구는 간호대학생 을 중심으로 하는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애 착유형, 자아탄력성 등에 관한 연구주제가 주를 이루었 다[9][10][11]. 임상실무현장에서 협업하게 되는 간호보 건계열 대학생의 특성을 알아보는 연구는 없었다. 또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 응 정도를 알아본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 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자아탄력성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 으로써 대학생활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1.2 연구목적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대학생 활적응 정도를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한다. 3) 대상자의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와의 관 계를 파악한다. 4)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
(N=623)
Ego-resilience College Adaptation t/F(p) Scheffe Mean(SD) t/F(p) Scheffe 2.19 3.24 (.48) 1.28 (.029) 3.18 (.45) (.203) 0.633 3.19 (.44) .124 (.527) 3.19 (.47) (.902) 1.441 3.20 (.47) 1.269 (.196) 3.16 (.48) (.269) 3.11 (.38) 3.21 (.41) 3.44 (.40) 2.05 3.26 (.48) 1.586 (.070) 3.22 (.51) (.162) 3.17 (.44) 3.16 (.44) 3.31 (.27) 4.469 b>c 3.22 (.39) 1.271 (.001) 3.23 (.47) (.280) 3.16 (.44) 3.14 (.46) 3.099 3.09 (.52) 3.223 (.026) 3.23 (.43) (.022) 3.15 (.44) 3.28 (.50) 5.043 b>a 3.07 (.34) 8.084 b>a,c,d,e (.001) b>d (.000) 3.36 (.41) 3.16 (.46) 3.13 (.49) 3.06 (.52) 5.574 b,c,d>a 2.88 (.26) 12.377 d>a,b,c (.001) 3.10 (.44) (.000) c>a 3.21 (.44) 3.36 (.48) 16.048 a>b,c,d 3.45 (.52) 9.904 a>b,c,d (.000) b>c,d 3.21 (.42) (.000) b>c 2.94 (.50) 2.91 (.60)
과 총 528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탈락율을 고려하 여 6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자 소속 대학의 생명윤리 심의위원회로부터 IRB승인(1041490-201409-HR-002- 01)을 받은 후 수행하였다. 연구진행은 해당 학과의 학 과장에게 연구목적과 진행절차 등을 구두로 설명하고 허 락받은 후,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설문지 내용, 익 명성 보장 및 연구 참여자로서의 권리와 설문지 작성 중 언제라도 연구 참여를 포기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0월 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이었으며, 총 62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Baker와 Siryk[1]가 제작한 학 생적응도검사(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를 Lee[13]가 번안하고 Ju[10]가 수정·보
‘전혀
1점에서 ‘매우
5점
.94이
.84이었다.
자아탄력성 척도는 Klohnen[8]이 캘리포니아 사(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와 Q-Set(California Adult Q-Set)을 토대로 29개의
Park[14]이
29문항으로 구 그렇지 않다’ 1점에
‘매우
(Cronbach's
문항에 대하여 ‘전혀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의미한다. Park[14]의 연구에서 .8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90이었으며,
2.3 2.3.1 2.3.2 연구 대학생활 자아탄력성 도구 적응 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으며, 성격유형과 자아탄력 성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Baker와 Siryk[1]가 제작한 학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 생적응도검사(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응 정도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Questionnaire)를 Lee[13]가 번안하고 Ju[10]가 수정·보 Scheffe‘s 검증을 하였다.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학업적 적응(5문항), 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 사회적 적응(5문항), 정서적 적응(5문항), 신체적 적응(4 석하였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예측하 문항), 대학에 대한 애착(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문항에 대하여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 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본 도구의 개발당시 신뢰도(Cronbach's α)는 .94이 었고, 본 연구에서는 .84이었다. 3.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78.8%, 1학년이 자아탄력성 척도는 Klohnen[8]이 캘리포니아 인성검 57.6%이었다. 종교는 무교인 학생이 57.3%, 기독교가 사(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와 캘리포니아 성인 25.5%로 나타났으며, 주거형태는 부모님과 거주하는 학 용 Q-Set(California Adult Q-Set)을 토대로 29개의 문항 생이 36.3%, 자취생이 33.5%, 기숙사이용 학생이 23.9% 을 뽑아 타당화한 자기보고식 자아탄력성 척도를 이었다. 경제수준은 ‘좋은편’이라고 응답한 자가 46.9% Park[14]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며, ‘어려운편’이라고 응답한 자가 각각 46.2%이었고, 이 도구는 낙관적태도(10문항), 대인관계효율성(8문 한 달 용돈정도는 ‘15만원이상 30만원미만’이 48%, ‘30 항), 자신감(9문항), 감정통제(2문항)로 총 29문항으로 구 만원이상 45만원미만’이 30.2%이었으며, 한 달 용돈이 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 ‘충분하다’가 50.9%, ‘부족하다’가 39.8%로 응답하였다. 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학과의 입학동기에 대해서는 ‘취업률고려’ 39%, ‘적 높은 것을 의미한다. Park[14]의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 성고려’ 24.9%, ‘부모님이나 선생님권유’ 19.4%, ‘고교 (Cronbach's α)는 .8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90이었으며, 성적고려’ 11.9%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교우관계에 연구도구 사용을 위해 번역자의 승인을 받았다. 있어서는 ‘좋은편’이 77.5%이고, ‘어려운편’이 12.0%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척도는 Youn[15]이 개발한 한국형 에니어 그램 성격 유형 검사(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KEPTI])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9가지 성격 유형별로 9문항 씩 총 8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 유형을 개혁가, 2유형을 조력가, 3유형을 성취가, 4유형 을 예술가, 5유형을 사색가, 6유형을 충성가, 7유형을 낙 천가, 8유형을 지도자, 9유형을 중재자로 부른다. 이 검 사의 Cronbach’s alpha=.90, 재검사 신뢰도.89로 유형별 문항의 양호도가 높은 검사이다. 2.4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응 정도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s 검증을 하였다.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regression)을
3.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78.8%, 1학년이 57.6%이었다. 종교는 무교인 학생이 57.3%, 기독교가 25.5%로 나타났으며, 주거형태는 부모님과 거주하는 학 생이 36.3%, 자취생이 33.5%, 기숙사이용 학생이 23.9% 이었다. 경제수준은 ‘좋은편’이라고 응답한 자가 46.9% 이며, ‘어려운편’이라고 응답한 자가 각각 46.2%이었고, 한 달 용돈정도는 ‘15만원이상 30만원미만’이 48%, ‘30 만원이상 45만원미만’이 30.2%이었으며, 한 달 용돈이 ‘충분하다’가 50.9%, ‘부족하다’가 39.8%로 응답하였다. 학과의 입학동기에 대해서는 ‘취업률고려’ 39%, ‘적 성고려’ 24.9%, ‘부모님이나 선생님권유’ 19.4%, ‘고교 성적고려’ 11.9%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교우관계에 있어서는 ‘좋은편’이 77.5%이고, ‘어려운편’이 12.0%로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과 대학생활적응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 활적응 정도는〈Table 1〉과 같다.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은 성별(t=2.19, p=.029), 경제수준(F=4.469, p=.001), 용 돈액수(F=3.099, p=.026), 입학동기(F=5.043, p=.001), 학교성적(F=5.574, p=.001), 교우관계(F=16.048,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요인에 대해 사후검정한 결과, 경제수준이 ‘좋은 편’이라고 응답한 군이 ‘어려운 편’이 라고 응답한 군보다 자아탄력성이 높았으며, 입학시 적 성을 고려한 군이 고교성적이나 타인의 권유로 입학한 군보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에 있
Ego-resilience Efficacy of Confidence Optimistic attitude Interpersonal r(p) r(p) relationships r(p) Confidence 1 Efficacy of Interpersonal .585(<.001) relationships Optimistic attitude .674(<.001) Emotional control .364(<.001) .626(<.001) College Adaptation 어서는 2.0미만인 대상자가 다른 그룹보다 자아탄력성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가 ‘매우좋은 편’이라 고 응답한 군이 다른 군보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용돈액수 (F=3.223, p=.022), 입학동기(F=8.084, p<.001), 학교성 적(F=9.103, p<.001), 교우관계(F=9.904, p<.001)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요인에 대해 사후검정한 결과, 입학시 적성을 고려한 군 이 다른 군보다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대학성적이 4.0이상이라고 응답한 군과 교우관 계가 ‘매우 좋다고’ 응답한 군이 다른 군보다 대학생활 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3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 적응 정도 대상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 응 정도는 <Table 2>와 같다. 대상자의 성격유형을 살펴보면, 9유형의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26.6%), 2유형(19.3%), 6유형(19.1%), 1유형
(N=623)
Emotional regulation r(p) 1 .487(<.001) 1 .226(<.001) .278(<.001) 1 .429(<.001) .741(<.001) .364(<.001) .727(<.001) (8.5%) 순이었다.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통계적 으로 의미가 있었으며(F=6.331, p<.001), 자아탄력성이 가장 높은 성격유형은 8유형(3.53±0.39)이었고, 가장 낮 은 성격유형은 4유형(3.03±0.51)과 5유형(3.03±0.49)으 로 나타났다.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도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4.017, p<.001),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가장 높은 성격유형은 1유형(3.31±0.46)이었고, 가장 낮은 성격유형은 4유형(2.98±0.47)과 5유형 (2.98±0.40)이었다. 3.4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자아탄력성(r=.727, p<.001) 과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의 하부 항목인 자신감(r=.626, p<.001), 대인관계효율성(r=.429, p<.001), 낙관적 태도(r=.741, p<.001), 감정통제(r=.364, p<.001) 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3.5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해 대학생활 적응을 종속변수로 하고 자아탄력성의
p R 2 adj R 2 F(p) <.001 .622 .616 106.420(<.001) <.001 <.001 <.001 <.001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이 작용[18]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자아탄력성은 습득가능하고 역동적인 개념[8]이므로 자아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아탄력성 정도를 배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성별, 경제수준, 용돈 액수, 입학동기, 학교성적, 교우관계와 자 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 한 결과는 Park과 Lee[9]의 연구에서 자아탄력성이 남성, 입학동기, 경제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적성을 고려하여 학과를 선택하고 성적과 교우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다는 Kim과 Lee[19]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에 반해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자아탄력성과 달리 성별과 경제수준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 모두 용돈 액수와 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반면에 용돈에 대한 만족정도 와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 Ju[10]의 연구에서 용 돈액수에 대한 수용도 및 용돈관리만족 정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는 상반되므로 반복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Park과 Lee[9]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 서도 입학동기, 성적, 교우관계와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입학동기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볼 수 있으며, 입학 동기는 성적과 교우관계에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므로 입학동기에 따른 성적과 교 우관계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생활적응 점수는 5점 만점에 3.19점으 로서 1학년에서 4학년까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Ju[10] 연구에서의 3.29점보다 낮았다. 이러한 결과에 비춰 볼 때 대학생활적응 점수도 자아탄력성과 유사하게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수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후 속연구에서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 볼 것을 제안한다. 간호사로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간호사 자신의 인격적 성숙 정도[20]라고 할 수 있으며,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은 인격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 상자의 26.6%가 9유형의 성격유형으로 가장 많았다. 이 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Lee와 Kim[21]의 연구와 Park과 Ha[22]의 연구에서 9유형이 각각 48.4%, 34.4%로 가장 많았던 결과와 유사하여 간 호.보건계 대학생에서도 9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에니어그램 9유형 성격의 특징은 ‘중재자’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갈등을 회피하고 안정과 평화를 지향 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불만 없이 평온을 유지하는 경향 이 있는 반면에 일을 쉽게 하기 위하여 후퇴함으로써 세 상에 순응하려고 하는 태만함의 악덕이 있는 유형이다. 건강한 9유형은 인내심을 갖고 성실하게 일하며 타인을 포용하는 성격이므로[5],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와 소통 을 해야 하는 간호보건계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선행연구에 비해 9유형 성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간호학생이외에 보건계학생이 대 상자로 참여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나 보건계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9유형 다음으로 2유형 19.3%, 6유형 19.1%순으로 나타나 2유형 22.0%, 7유형 10.0%를 나타낸 Park과 Ha[2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Kang과 Hah[23] 연구에 서도 9유형 46.7%, 1유형 16.6%, 2유형 10.6%를 나타 냈다.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으며, 자아탄력성이 가장 높은 성격유형은 8유형으로 3.53점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1유형과 2유형 순이었다. 가장 낮은 자아탄력성 점수를 보인 성격유형은 4유형과 5유형으로 각각 3.03점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Kang과 Hah[23]의 간호사의 에니어 그램 성격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에서 에니어 그램 4유형이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았다는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으나, 성격유형과 자아 탄력성의 상관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하는데 한 계가 있다. 성격유형과 대학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 며, 1유형 성격유형에서 3.31점으로 가장 높은 대학생활 적응 점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2유형에서 3.27점으 로 높았다. 에니어그램 1유형은 ‘개혁가’로 통칭되며, 무 슨 일이나 완벽하게 처리하고 정확하게 끝을 맺으며 정
직하고 원칙을 지키는 유형이나 지나치게 비판적이며 자 신과 남들의 재능과 능력을 인정하지 못하는 악덕을 가 진 유형이다[5]. 이에 반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성격 유형은 자아탄력성 점수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던 4 유형과 5유형으로 각각 2.98점이었다. 4유형은 ‘예술가’ 형으로서 아름다움을 진리로 믿으며 독창적이고 예술방 면에 재능이 뛰어나나 감정 기복이 심하고 평범함을 거 부하며 자신의 감정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악덕이 있는 유형이다. 따라서 4유형의 간호·보건계 학생에게 표현력 이 풍부하고 창의적인 측면의 장점은 격려하고 자기연민 이나 방종에 빠지지 않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 다. 5유형은 ‘사색가’형으로 지적이며 사려깊고 수용적 이며 현명하고 통찰력이 있으나 남과 더불어 사는 것이 어려우며 감정적으로 얽히는 것을 두려워하는 유형이므 로[5]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간호·보건계 학생들이 고립감이나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 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자아 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에니어그 램 4, 5성격유형 학생을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 간호·보건 계 대학생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에니어그램 9 유형 성격은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점수에서 평균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 탄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나 Park과 Lee[9]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대학생 활적응은 자아탄력성의 하부영역인 낙관적태도, 자신감, 대인관계효율성, 감정통제 영역과 순상관관계를 보여 Park과 Hyun[24]의 연구와, Park과 Lee[9]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간호보건계열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높이고 직면한 현실에 대해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 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 한 회귀분석 결과 낙관적 태도, 자신감, 감정통제과 성적 의 영향력이 61.6%였으며,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하나인 낙관적 태도가 β=.557로 가장 영향력이 컸다. 이러한 결과는 315명의 대학 1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과 자아통제(locus of control)의 영향에 관한 Martin과 Dixon[3]의 연구에 서 오리엔테이션 효과는 없었으며 외적 환경보다는 내적
자아통제력이 높은 학생이 효과적으로 적응한다는 연구 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Gerdes와 Mallinckrodt[25] 연구에서도 대학에서의 학업적인 적응 보다는 정서적, 사회적 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더 중요 한 적응요소로 작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ark과 Lee[9]의 연구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 요인은 낙관적태도가 β=.406로 가장 큰 영향력이 있 으며 그 외에 연령, 성별, 전공만족, 학업성취도, 자신감, 감정통제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Park과 Lee[9]의 연구와는 달리 자아탄력 성 이외에 성적만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 한 결과가 간호대학생과 간호.보건계열 학생이라는 대 상자의 차이인지, 그 밖의 다른 원인이 있는지에 대한 후 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D지역에 소재한 일개 보건대학 1학년과 2 학년 학생 623명을 대상으로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자아탄력성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평균은 5점 만점에 3.29점이었으 며, 대학생활적응 정도 평균은 5점 만점에 3.19점이었으며,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9유형(26.6%)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성별, 경 제수준, 용돈액수, 입학동기, 학교성적, 교우관계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용돈액수, 입학동 기, 학교성적,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 로 의미가 있었으며, 8유형, 1유형, 2유형 순으로 높았고 4유형과 5유형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정도도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1유 형, 2유형, 8유형, 9유형순으로 높았고, 4유형과 5유형에 서 가장 낮았다.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자아탄력성과는 유의한 순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가장 큰 영향력 을 미치는 요인은 낙관적 태도였으며, 그 외의 요인은 자 신감, 감정조절, 성적으로 61.6%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개인의 성격유형이 자아 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정도에 영향을 주므로,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장점을 강화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건강 한 측면의 성격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보다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일정한 학교 성적을 유지할 수 있게 지도한다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도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계층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에 종사하게 될 간호.보건계열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맞춤형 자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 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보건계열 학생 의 성격유형에 맞는 자아탄력성 강화 교육프로그램과 같 은 구체적인 방법 제시를 통해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높 일 수 있는 후속 중재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References
- [1] R. W. Baker, B. Siryk,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 31, No. 2, pp. 179-189, 1984. [DOI]
- [2] H. J. Park, I. S. Jang,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 16, No. 1, pp. 14-23, 2010. [DOI]
- [3] N. K. Martin, P. N, Dixon, "The Effects of Freshman Orientation and Locus of Control on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 30, No. 4, pp. 362-367, 1989. [DOI]
- [4] http://krdic.naver.com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5] Y. S. Youn, "Understanding of Enneagram. Seoul", pp. 15-51, Korean Enneagram Education Center, 2008.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6] B. G. Bak, S. Y. Lee, J. H. Song, "Development of Ego-Resiliency Enhancement Program and Testing its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4, No. 1, pp. 61-82, 2010.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7] S. Kim, K. Min, "Comparison of Three Resilience Scales and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5, No. 2, pp. 223-243, 2011.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8]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ey",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0, pp. 1067-1079, 1996. [DOI]
- [9] J. A. Park, E. K. Le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Admin, Vol. 17, No. 3, pp. 267-276, 2011. [DOI]
- [10] H. Ju, "Life stress, self-efficacy, physical symptoms and adjustment to college among students i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Korea. 2013.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1] S. Choi, M. Yoo,, M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DOI]
- among Cadet’s life adjustment, stress,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in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J Military Nurs Research. Vol. 32, No. 1, pp. 1-13, 2014. [possible DOI]
- [12] J. Choi,.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2009.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3] Y. J. Lee, "The Non-residenti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pl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9.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4] H. J. Park, "Perceived stress, coping process and depression to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Korea, Seoul, 1997.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5] Y. S. You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scale: It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5, No. 3, pp. 131-161, 2001b.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16] E. J. Ji, M. R. Bang, H. J. Jeon,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 19, No. 4, pp. 571-579,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71 [possible DOI]
- [17] W. Park, J. Han, "The Effect of Ego-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s, Teaching, Effectiveness, and Family Support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by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 17, No. 3, pp. 365-375, 2011. [DOI]
- [18] G. M. Kim,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Vol. 3, No. 1, pp. 73-87, 2015. [DOI]
- [19] D. J. Kim, J. S. Le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 20, No. 2, pp. 244-254, 2014. DOI: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244 [DOI]
- [20] K. J. Lee, "An Analysis on Enneagram type of nurses", Nursing Science. Vol. 14, No. 2, pp. 31-44, 2002. [possible DOI]
- [21] M. Lee, S. Kim, "A study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f nursing studen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ol. 8, No. 2, pp. 168-181, 2005.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22] J. W. Park, N. S. Ha, "Communication apprehesion and performance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nursing students’ Enneagram Personality types", Korean J Stress Research. Vol. 22, No. 4, pp. 169-180, 2014. [DOI]
- [23] M. J. Kang, Y. S. Hah,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 Korean J Stress Research. 18(1), 1-10. Vol. 18, No. 1, pp. 1-10, 2010.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24] Y. S. Park, E. M. Hyun,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f adolescent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5, No. 6, pp. 83-94, 2007.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25] H. Gerdes, B. Mallinckrodt, “Emotional, Social,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longitudinal study of retention”, Journal of Counselling and Development. Vol. 72, No. 3, pp. 281-288, 1994. 이 미 라 (Mira Lee) [정회원] • 2002년 8월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간호학석사) • 2005년 8월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간호학박사) • 2006년 3월 ~ 현재 : 대전보건대 학교 간호학과 교수 <관심분야> 노인건강, 간호교육 • 1997년 8월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간호학석사) [DOI]
- • 2004년 2월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간호학박사)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 2005년 3월 ~ 현재 :대전보건대학 교 간호학과 교수 [possible DOI] [alternative DOI]
- <관심분야> 의·생명공학, 간호학, 간호교육 [possible DOI] [alternative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