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335 ISSN 1975-4701 / eISSN 2288-4688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1 pp. 7335-7355, 2015
김성규 1 , 윤희성 1 , 김예진 1 , 전정환 1* 1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부/공학연구원/UNICO
Surveying and Analysing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of University
Sung-Kyu Kim 1 , Hee-Seong yoon 1 , Ye-Jin Kim 1 , Jeong-Hwan Jeon 1* 1 Department of Industrial & Systems Engineering/ERI/UNICO, Gyungsang National University
AHP 분석을 통하여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상대적 중요도를 matrix 를 구성하여
요 약 우리나라의 청년 실업자가 나날이 증가 하고 취업난이 지속됨에 따라 취업률이 대학평가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 지금까지 취업률 개선을 위해 학계 및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 여러 가지 활동들이 진행되어 왔다 . 하지만 여전히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 등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개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취업률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활동을 조사하고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첫째 , 주요 19 개 대학에서 시행중인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 둘째 , 재학생과 취업지원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셋째 , 재학생과 취업지원관간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차이 여부를 분포 Portfolio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의 취업역량 강화 및 효율적인 취업지원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bstract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is getting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as the youth
Keywords :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AHP, Importance analysis, Portfolio analysis
1. 서론
업자의 증가에 따라 대학 졸업자의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1], 21세기의 첨단화와 정보화로 인해
청년의 실업률이 큰 폭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대학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
“이 연구는 2013년도 경상대학교 발전기금재단학술연구조성비 재원으로 수행되었음(재단법인 경상대학교발전기금재단-2013-02)” “This Work (GNUDFF- 2013-02)was Supported by Academy-oriented Research Funds of Development Fund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3." 또한 “이 논문은 구임(NRF-2014S1A5B8A02074068)"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2014S1A5B8A02074068)" * Corresponding Author : Jeong-Hwan Jeon(Gyeongsang University)
(1st September 30, 2015, 2nd October 5, 2015)
Accepted November 6, 2015
Published November 30, 2015
733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2]. 우리나라 청년층(15~29세)의 실업률은 2000년 이후 고용센터를 운영해오고 있다. 2013년 해외취업성공을 지속적으로 7%를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실업률의 지원하기 위해 K-Move 포탈을 구축 및 운용함으로써 약 두 배에 이르는 수치이다[3]. 2014년 1월 통계청이 해외 취업지원도 확대.강화하였다. 2014년 산업수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실업률은 8.7%로 2013년 11 맟춤형 훈련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중소기업 근무환경 월 대비 1.2% 상승하였다.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 을 개선하여 청년이 일하고 싶은 중소기업 여건을 조성 를 기록하는 등 청년 실업 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되고 있 하여 인력수급의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노력을 실시해왔 는 상황이다[4]. 이러한 지표는 경기침체, 노동시장 요구 다.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는 「10대 차세대 성장동 변화[1], 중소기업의 고학력 구직자 기능저하[3], 그리고 력」분야 관련 교과목 이수를 위한 전공 트랙을 구축하 신규 채용방식에서 전문성이 갖추어진 인력의 경력직 채 여 인력양성을 지원하였고,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교 용으로의 기업 채용방식 변화[5] 등의 영향으로 보여 진 육과정 개실 및 실험실습, 현장 인턴십을 강화하였다. 다. 이와 같은 청년 실업의 배경에서 청년층 노동시장의 2007년 학교기업 활성화를 통한 이론과 실무가 겸비된 질적인 저하와 청년 취업 준비생들의 유휴 인력화[1], 청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학교기업 육성을 지원하였다. 년 실업률의 고착화 경향[6], 안정적이고 대우가 좋은 기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 업으로의 취업선호도 수렴[7]으로 인한 고학력 구직자 개발과 인재양성 간 연계시스템을 구축하였고, 2009년 기능저하, 지속적인 세계 경제침체 뿐만 아니라 노동시 대학 및 연구소 청년 인턴을 확충하였으며, 대학생 및 졸 장 인력수급 불일치 등의 구조적인 문제들이 발생되어왔 업생을 대상으로 해외인턴 파견을 확대하였다. 추가로 다. 이는 대학교가 취업을 목표로 하는 학원의 기능을 수 취업센터와 고용지원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취업정보를 행하는 기관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교육과학기술부의 대 제공하는 체제를 구축하여 취업활동 지원을 강화해왔다. 학교 평가기준이 대학취업률로 변화하는 등 대학에 대한 2010년에는 청년 맟춤형 구직 및 훈련정보 제공 데이터 사회적 요구도 변화 시켜왔다. 또한, 산학협력을 통한 대 베이스를 구축, 산학연계형 직업·기술교육 추진, 대학 취 학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업지원 부서 기능 강화 등 대학생 및 대졸 미취업자 취 이러한 취업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정부에 업 지원 강화를 위한 노력이 시도되었다. 2011년 졸업 서 실시해오고 있다. 2006년부터 노동부는 청년층 직장 후 취업을 전제로 한 취업보장형 교육트랙 개설을 확대 체험을 내실화하고 대학-고용안정센터 간 취업지원 협약 하고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 전공을 개설 및 운영 에 의한 고용지원서비스를 제공하였고, 대학에 취업 관 하여 대학 실용교육을 강화하였다. 2012년에는 산학협 련 과목 확대 요청을 해왔다. 또한 해외 일자리 지원을 력을 통한 대학생 취업역량 강화의 일안으로 현장 실습 위해 청년층 해외 인턴십을 강화해왔으며, 대학생의 구 지원센터를 대학 내에 설치하여 대학생의 실무능력을 함 직기술 수준 강화, 취업캠프 운영, 직장체험 활성화 등을 양하고 취업기회로 이어지도록 하였다. 2013년 교육부 유도하는 ‘대학취업지원 기능 확충사업’ 실시하였다. 는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공학기술교육 인증 등 각종 2010년에는 청년고용 촉진의 일안으로 일자리 중개 시 인증제도와 연계한 National Competency Strandards(NCS) 스템을 구축하여 취업을 지원하였으며, 학교별 직업 진 기반 교육과정 도입여부를 평가에 반영하는 방안을 적극 로지도 및 취업상담, 매칭 서비스를 수행하는 취업지원 검토하여 교육과정 개편을 유도하였다. 2014년 현장형 인력인 ‘인력풀’을 구성하여 각 대학 취업준비생들의 고 교육, 실용적 연구를 지향하는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마 용을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였다. 추가로 산학협력을 련하고, 공학교육혁신센터 운영 활성화 및 공학교육페스 통한 재학생 및 졸업생의 인력 양성 및 맞춤훈련 실시도 티벌 개최로 혁신성과를 공유하는 등 현장적합성 높은 지원하였다. 2011년 고용노동부는 실효성이 낮은 행정 엔지니어 육성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학계에서도 인턴은 폐지하고 연계효과가 높은 취업연계형 인턴은 확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인력수요자의 요구에 적합 대하는 방안을 추진하였고, 2012년 현장 실무형 인재육 한 맞춤형 취업경쟁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고 성을 위해 기업체 주도로 체계적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 학력 취업준비생의 경력을 축적, 관리 할 수 있는 경력
학교에 개발프로그램을 구축과 시행으로 취업률을 개선하는 연 내 청년 구[1,8]가 진행되었다.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중심의 취
7336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업지향 교육 및 진학지도와 통한 재학 중 일자리 경험으 2. 선행연구 로 현장 지향적 인재를 양성하는 연구[9-11]도 시행된바 있다. 또한 특성화 교육을 통한 인사담당자가 원하는 실 2.1 취업률 관련 연구동향 무형 인재 교육 및 양성으로 취업률을 개선하고자 하는 경력관리를 통한 취업률 개선의 구체적 실행 방안으 연구[3,6,12]도 시행되었다. 대학 취업률 증가를 위한 학 로[8]은 미래 모습설계와 Action Planning, 직무의 이해 생들의 인.적성 교육 강화[13], 효율적인 인적 자원 개 와 기업채용의 의미, 취업준비생의 시관관리와 목표설 발을 위한 단계별 체계적인 진로교육 및 취업지도 방안 정, 유형분석을 통한 진로 탐색 등의 세부프로그램을 진 [5,14-17], 4년제 대학생 취업률 제고를 위한 학교 차원 행하는 한편 학생의 진로 및 취업과 관련된 관리를 전공 의 종합대책[18-20]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별로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경력개발 책임지도 교수를 그럼에도 2000년대 이후 외형적인 측면에서는 대학 선정, 경력개발 책임지도 교수회의 정례화, 학생 상담, 의 진로개발지원 기능이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예 경력 및 경력개발 지도 방법 연수, 취업정보공유, 경력개 산이나 전담인력의 전문성[21],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 발 상담시스템 활용을 통한 경력관리 지도가 가능한 경 원에 있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3]. 이러한 관점에 력개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1]은 학과특 서 현재 학교차원에서 시행중인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있 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지도교수 밀착상담제 어 취업의 당사자인 재학생과 취업지원인력이 생각하는 도, 지도교수의 전문성 확보, 실시간 취업정보 제공, 지 중요성과 그에 따라 달리 운용되어야 하는 프로그램 분 도교수에 의한 개인별 맟춤형 교육, 취업제고를 위한 멘 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토링과 취업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취업률 개선의 일안으로, 대학의 재학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 지향적 인재육성을 위해서 특 생과 취업지원인력이 인지하는 취업지원 활동 및 프로그 성화 교육과정, 졸업 프로젝트, 현장밀착형 특성화 교육, 램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취업지원 프로그램 맞춤식 취업 지도 및 취업클리닉 실시, 자기이해와 잠재 의 유형분류를 통하여 각 분류영역별 효율적인 취업지원 력 발견 프로그램 운영과 철저한 졸업생 사후관리 등의 활동방안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설문조사를 프로그램이 취업률 증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되었으 통해 취업지원 활동 및 프로그램의 중요도를 계층분석과 며[9-10], 학생들의 일자리 체험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 모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중요 연간 방학기간을 하계에 집중시키거나 다 학기제를 도입 도를 도출한다. 중요도 도출 시, 설문 학생들의 학문분야 하는 등 학교 측의 제도적 개선책의 필요성이 제시되었 (이공자연, 인문사회, 예체능)별 결과를 구분하여 제시하 다[11,22]는 산학협력을 통해 산업체 협력관계를 통한 고자 한다. 이때 ‘취업률 제고 활동’을 1계층으로 구성하 채용범위 확대 및 인턴십 활용의 증가가 필요하다고 하 고, 2계층은 산학협력, 자격지원, 취업지원, 교육지원, 공 였다. 또한, 기술 발전흐름과 산업의 파악을 위해 산학협 직지원, 활동지원, 진로교육과 정보제공 등 8개의 영역 력을 통한 현장실습 교육[23-24]과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에 속하는 프로그램들로 3계층에 현장 전문성 향상이 필요성이 제시되었다[2]. 포함시켜 계층구조를 형성하여 중요도를 도출하고 분석 학교 측면의 종합대책에 관해서[18]는 우수학생 적극 한다. 도출된 재학생 및 취업지원관의 중요도를 바탕으 유치, 취업준비의 조기화 유도, 정원의 탄력적 운용과 교 로 가로 및 세로축으로 지정하여 분포 matrix를 구성한 육과정 개편, 취업률 실적 평가제 도입, 어학 및 사회봉 뒤,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유형분류를 실시한다. 사활동 학점화, 면접시험 대비책 강화, 취업정보센터 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장에서는 취 성화와 대외 이미지 개선 등이 취업률 향상에 필요하다 업률 개선을 위한 국내 연구동향과 계층분석과정 모형에 고 하였으며, [20]은 학과 간 교차 수강을 통한 다양한 대해 설명하고, 제 3장에서는 연구 설계에 관하여 서술 전공 이수, N:1 지도교수제, 경력관리 제도의 정착 등의 한다. 제 4장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설명하였다. 추가로 교육의 범 며,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관해서[6]는 인성교육, 외국어회화교육, IT교육, 자격증
733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취득교육 등 실무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지원의 필요성에 성, 발표력 등을 중요 평가항목에 포함하는 입시 개혁안 대해 설명하였고, 업무에 대한 개인의 기본태도와 함께 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대인관계 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지막으로 진로교육 및 취업지도에 대해 [14]은 체 필요성이 제시되었다[3]. 실무 맞춤형 교육의 일안으로 계적인 진로 및 취업지도 준비, 취업담당자의 전문성과 창업 시 필요한 업무능력은 실제 업무에서 다수 활용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하였고, 안관수와 [15]은 기 때문에 그와 관련한 교육과정 개설이 필요하다는 주 진로지도와 진로설계를 위한 사전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장도 제시되었다[12]. [13]은 인성면접 강화, 문제풀이 언급하였다. [16]은 진로가 정해진 학생을 대상으로 취 능력보다 문제파악 능력과 창의적 능력을 평가, 창의성, 업에 관한 커리큘럼 개정과 운용의 확대, 취업준비 관련 탐구력, 논리성, 사회성, 자기관리 능력, 특정분야 영재 교과목 설치 등의 취업지도 활동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
Division
Career Man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field-oriented
Comprehensive Measure
Practical custom education
Human education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guidance
Content Researcher Presentation for need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for strengthening employment Bae Jung Hwan (2009)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implement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to accumulate and Nam Ki Dong (2011) manage the carriers of highly educated students Need for in student work experience Chae Chang Kyun (2003) Lim Kyung Hwa (2004) Admission guidance and employment-oriented education in the field center Park Hae Woong (2009) The results of the education of field training as a factor affects the career decision of Chun Yong Jin (2006) employment preparation students Employment rate improvement through practical education of a single-lens of the Lee Young Chul (2009) internship program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actical talent training which the human HR personnel wants Pyun Chong Hyun (2012) Improvement of employment efficiency of students through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Yoto et al. (2013) Comprehensive measures presented for the employment rate improvement of local Jung Sang Woo (1997) university graduates Changes such as improvement possible training methods and the environment in the school Yanli Qi (2011) institution the comprehensive measures needs such as cross students between the Department, one of Choi Se Ill (2013) leadership professor system The need for education programs to ensure that the state provided with a founding capacity Nii Djan Tackey (1999) H4C characteristics education, strengthening of employment competitiveness through Kim Hee Soo (2004) professional education, such as employment MAGIC program Strengthening of student Injokuson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employment rate of Shin Ha Young (2007) university Efficient career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plan Kang Gil Hoon (2003) The importance of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Won Seong Sam (2006) employment rate Systematic need for career education in the step-by-step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An Kwan Su (2006) human resources Plan Presentation of Career guidance of employment's point of view Oh Sang Young (2011)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areer of graduates
Hans Heijke (2011)
7338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하였다. 그리고 진로에 따른 코스의 표준화를 통하여 학 생들이 원하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목적 지향적 교육 Importance Definition 을 시행하자는 연구도 진행되었다[17]. A and B are similar 1 이 외에도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의 원인과 기업의 요 (equal importance) 구 등을 종합하고 취업지원기관으로서 대학이 나아가야 3 A is slightly more important than B (moderate importance)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대학생 진로 및 취업문제 해 A is considerably more important than B 결을 위한 대학 및 기업체간 협력방안’ 이란 주제로 특 5 (strong importance) 별좌담회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의해 개최되었다. 이 A is stronly more important than B 7 특별 좌담회에선 대학 최고 경영자의 적극적인 지원을 (very strong importance) 통해, 현재 특강 형태로만 운영하고 있는 산업수요에 맞 A is extremely more important than B 9 (extreme importance) 는 교과목을 커리큘럼에 포함 시켜 학점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15]. 또한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난 문제를 2, 4, 6, 8 Median value of above values 대학 교육의 개선과 관련시킴으로써, 대학의 교육의 향 상을 도모하고 취업난 문제의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한다 위 표와 같이 쌍대비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는 취지의 ‘대학교육 정책포럼’ 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실시하여 행렬 식(1)이 구성되는데, 이는 대각선의 구성 이 정책 포럼에서는 대학생의 취업문제 해결을 위해, 고 원소 (      . ..   )들이 모두 1이 되는 행렬이다. 학력자의 급증과 일자리의 공급 사이에 심각한 격차가 발생하는 ‘고학력 미스매치’, 대졸자가 원하는 괜찮은 일 (1)식에서   는  번째 속성과  번째의 속성의 가중치 자리가 부족함을 의미하는 ‘취업고용 미스매치’, 대학 측 값을 의미 한다. 이 생각하는 직업능력과 기업 측이 요구하는 직업능력의 차이가 심한 ‘직업능력 미스매치’ 등의 이른바 ‘3대 미      .. .    스매치’ 해결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어졌다[25].       .. .   (1)    이와 같이 취업률 관련 연구동향을 정리한 내용은 Table      . . .    1과 같다. 단계 3은 각 요소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게 2.2 계층분석과정 되는데, (1)의 행렬식을 이용하여 각 행의 평균값을 구하 본 연구에서 사용될 계층분석과정 모형은 평가 기준 여 아래 식 (2)와 같은 표준화 작업을 실시한다. 이 여러 개이고 평가 대상의 주체도 복수인 경우의 의사 발된 에 결정(multi-criteria 의해 평가기법의 최초로 개발되었다. 하나로 decision-making, 1970년대 AHP의 초 진행 MCDM)을 Thomas. 절차는 L. 위해 단계 Saaty 개 1                  (2)   로 의사 결정 문제를 분석하고, 계층구조를 형성 하는 것 부터 시작한다. 단계 2로 계층별로 의사결정 요소들 간 단계 4는 단계 3에서 실시한 계층별 상대적 중요도들 의 쌍대 비교를 수행한다. 쌍대 비교는 여러 개 요소들에 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각 대안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 해 동시에 절대적인 평가를 하기보다는 두 개 요소들만 한다. 여기서 도출된 최종적인 상대적 중요도를 통해 우 두고 상대적인 비교를 하는 것이 더 쉽고 단순하기 때문 선순위를 결정한다. 단계 5는 AHP 기법에서 설문자의 에 사용 된다. 쌍대 비교 척도는 Table 2와 같은 척도를 일관성 문제를 평가하는 일관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이 사용한다. 다. 일관성 평가는 일관성 지수 (Consistency Index: CI) 와 임의 지수 (Random Index: RI)를 이용하여 일관성
비율(Consistency Ratio: CR)을 이용하여 일관성 판단을
실시하게 된다. 일관성 지수 CI는 A의 최대 고유치인
733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Size of the matrix (n)
1
2
3
4
5
6
7
8
9
10
RI
0
0
0.58
0.9
1.12
1.24
1.32
1.41
1.45
1.49
   를 이용하여 아래 식 (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가 보유 내지 운영하고 있는 사업내용이나 활동이 얼마 나 균형적으로 구성되어있는가를 알 수 있는 분포도를          (3) 작성하는 일이다. 포트폴리오의 그림을 통해 전체적인 분포 및 구성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다. 둘째는, 수행주체 의 현재 포트폴리오개선 및 조정을 위한 전략적 방향과 여기서 구해진 CI 값은 임의 지수 RI를 이용하여 식 (4) 구체적 비율을 결정하는 일이다. 포트폴리오 분석에 대 와 같이 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일관성 한 대상은 분석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지수 RI는 [26]이 표본 500개로부터 무작위 지수를 구하 포트폴리오 분석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BCG Matrix와 여 평균한 값인 Table 3을 통하여 계산을 실시하였다. 맥킨지Matrix 등이 있다. 분포 분석의 수행 절차는 크게 4개의 단계로 나눌 수      (4) 있다. 단계 1은 요인의 선정이다. 요인 선정은 분석대상 의 핵심요인을 선정하는 것 이고, 분석 목적 및 대상에 CR값은 0.1 이하일 때 일관성이 있다고 하고, 0.1~0.2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전략적 포트폴리오 매트릭스 구 사이일 경우 일관성을 인정한다고 한다. 그 이외의 값일 축을 위해서, 요인 선정 시에는 요인의 전략성과 객관성 때는 일관성이 없다고 간주하여 설문을 재실시하거나, 을 만족해야 한다. 영역을 분할하는 것과 분할 영역에 대 중요도 분석과정에서 제외 시켜야한다. 한 세부적인 전략적 의미를 내포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대학이 시행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요인의 지표는 정략적 측정과 현황분석이 가능하도록 설 대하여 취업지원 인력, 취업 준비생 및 취업자 대상으로 정 되어야한다[29]. 단계 2은 매트릭스 구성이다. 이는 중요도 분석을 하기위해 응용 가능한 방법이다. 이는 취 두 가지 요인을 선정하여 이 두 요인을 각각 열과 행으 업지원 인력, 취업 준비생과 취업자가 인지하는 각 프로 로 하는 matrix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각각 높음 그램 별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각 대상이 어떤 프로그 (High)과 낮음(Low)으로 나누면 다시 2×2 사분면으로 램을 취업률 제고에 있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세분화할 수 있다. Matrix 영역 분할 시에는 전체적인 통 분석할 수 있다. 일성을 유지하고 세부전략이 수립 가능하도록 분할하는
7340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하였다. 조사 대상 대학교는 강원대학교, 경북대학교, 경 방법은 홈페이지 조사, 전화 인터뷰와 취업 지원기관을 상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 직접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 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등 거점 국립 며, 조사 기간은 2014년 1월 23일부터 시작하여 동년 4 대학교 10개교와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 월 23일까지 총 3개월 간 실시를 하였다. Table 4에서 교, 중앙대학교 등 수도권 4개교, 그리고 경남권역에 위 정리된 대학취업지원활동은 공통된 내용의 다른 이름의 치하고 있는 동아대학교, 부경대학교, 울산대학교, 창원 프로그램들을 정리한 것이다. 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5개교를 선정하였다. 조사 소구분으로 산학협력, 자격지원, 취업지원, 교육지원,
Short division
Supporting activities
Contents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college
Eligibility support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support
Office support
Activity support
Course education
1.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Supporting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for domestic enterprises 2.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 Supporting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for overseas enterprises 3. Recommending a enterprise Recommending companies to target the prospective graduates and unemployed graduates 4. Recommending internships for official of Recommending intern for 7th Grade Civil Servant grade 7 5. Supporting a language test Supporting costs and education expenses for performance and qualification of language 6. Supporting a qualification examination Supporting costs and education expenses for performance and qualification of major about major 7. A incident support clinic Examining materials and feedback necessary for applicants 8. A mock(english) interview Examining for interview 9.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Educating a job aptitude test 10. Jobs briefing Adoption briefing of specific companies 11. A campus recruiting Recruiting each of companies on campus 12. A work lecture Special lecture of requests for specific companies of job seekers 13. A forum for Human Resources Incorporating the opinion of the HR person various companies representative 14. Visiting a company site Visiting the site of company 15. A economic seminar newspaper Helding the seminars based on the economic newspaper theme 16. Operating a major track Business customize course 17. Supporting a notice class Formating and supporting the class for public office advance 18.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 Supporting the video course for public office advance 19. Job clubs Operating the employment circle through the school support 20. Job camps Helding the camp for the course and job preparation Creative comprehensive design program that undergraduate students to be executed 21. A capstone design directly 22. Operating a course work Operating the course on job hunting 23. Developing a career for female college Supporting the programs for career development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 students 24.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 System that leads professor is responsible for assigned students 25. A career counseling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ith responsibility Professor 26. Operating a Job Cafe Operating Job Cafe that will support the employment information 27. Building and managing a DB Building and managing the DataBase about information of employment 28. Text message services Notification letter service of employment-related events and training schedule
Information support
Compiling the employment guidebook around the employment information Operating the system for providing a job information on the online
734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공직지원, 활동지원, 진로교육과 정보제공으로 소구분을 3.2 대학취업지원활동 중요도 분석 절차 8개 부분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는 차후에 수행될 대학취업지원활동의 연구방법을 도식화한 것은 Fig. AHP에서 계층형성과정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연구 1과 같다. 본 연구의 유형분류 절차 단계 1로 취업률 제 에서 대상이 되는 일부 취업지원 활동들이 상관관계가 고 요인 도출 및 분류를 실시하였고, 단계 2는 AHP를 존재하고 상호작용에 의한 요인 간 의존도가 존재하기에 이용하여 취업 지원활동 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단계 ANP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를 하였다. 예를 들 3에서는 각 사분면을 취업 준비생과 취업 지원인력이 인 면, ‘어학시험 지원’과 ‘모의(영어)면접’, ‘어학시험 지 지하는 중요도 값을 바탕으로 구분하여, 각 취업지원프 원’ 및 ‘전공 관련 자격시험 지원’과 ‘고시반 지원’, ‘온 로그램의 중요도 값에 따라 위치시켜 유형분류를 실시한 라인 공무원 동영상 강좌’, ‘취업 특강’과 ‘취업교과목 다. 단계 4에서는 취업률 개선을 위한 취업지원프로그램 운영’ 등의 관계에서 상대적 의존도가 존재 한다. 하지만 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각 대학의 프로그램의 성격이 상이하여 상대적 의존도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별 중요도 분석을 위하여 취업지 정도가 달랐고, 전반적으로 상대적 의존도가 미약하였기 원 인력,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취업지원활동의 쌍대비 에 프로그램들을 개별적인 독립요인으로 가정하고 ANP 교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AHP 분석을 위해 조사된 취업 기법이 아닌 AHP를 사용하게 되었다. 지원활동 프로그램들을 취업 주요요인으로 설정하여, 앞 서 구분하였던 소구분의 요소와 함께 계층구조를 구성한 다. 구성된 계층구조는 Fig. 2와 같이 1계층 취업역량제 고활동부터 3계층 취업 주요요인까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최하위 계층인 3계층의 취업 주요요인들은 각 2계 층의 소구분의 분류에 맞게 포함되어져 있으며, 취업역 량제고활동의 대안으로 볼 수 있다. 재학생의 경우 학문 분야를 구분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한다. 계층별 중요도를 분석한 후, 대학차원의 취업관련 주 체별 중요도 인식에 관한 차이 분석을 위해포트폴리오 분석 방법을 차용하여 취업 지원인력과 재학생으로 가로 및 세로축이 구성된 matrix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 된 matrix의 분포형태를 이용하여 설문 대상별 중요도 유형분류를 실시한다. 취업관련 주체들이 인지하는 중요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도 분포를 파악하고 유형분류를 함으로써, 대학이 취업 월간 실시하였고, 설문의 응답률은 97%로 35명중 34명 지원활동을 운영 및 지원 시 우선적으로 관리 및 개선해 이 응답을 하였다. 야할 요인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 지원인 력과 취업 준비생이 모두 평균 이상 중요하다고 생각하 4.2 중요도 분석 는 1사분면은 ‘Maintenance 영역’, 취업 준비생은 중요 Table 4에서 제시된 30개의 대학취업지원프로그램을 하다고 생각하나 취업 지원인력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대상으로 취업 지원인력과 재학생들에게 쌍대비교 설문 않다고 생각하는 2사분면은 ‘Extension 영역’, 취업 지원 조사를 실시하여 각 계층별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파악하 인력은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취업 준비생은 상대적으로 였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3사분면은 ‘Modification 영 먼저 Table 5에서 나타난 중요도 값은 취업 지원관들 역’, 취업 지원인력과 취업 준비생이 모두 상대적으로 평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값과 각 프로그램들의 최종 중요 균 이상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4사분면 ‘Promotion 도에 따른 순위이다. Table 5에 나타나 있는 대학취업지 영역’으로 명명하였고 matrix구성의 모형은 Fig. 3과 같다. 원 프로그램의 최종 중요도는 상위 계층의 중요도의 값 을 모두 곱한 값이다. 예를 들면,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 십의 최종 중요도는 산학협력의 0.247값과 국내 현장실 습 및 인턴십의 0.464값의 곱인 0.1146인 것이다. 그리 고 최종 중요도에 따라 취업지원관이 생각하는 가장 중 요한 취업지원요소로써 1순위 등급을 나타냈다. Table 5 의 최종 중요도 값 도출을 위해 각 계층별 AHP 분석 시 나타난 일관성 비율은 전체 과정 중 3계층 AHP 과정에 서 0.0612로 최대값이 나왔다. 이는 일관성 평가 기준 값인 0.1보다 작은 값이므로 설문조사 대상이 전체 항목 에 대해 일관성 있는 답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과 Table 7, Tabel 8에서 나타난 중요도 값은 각각 인문 사회계, 이공자연계, 예체능계 재학생 대상으로 취업지 원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값과 각 프로그램들의 최종 중요도에 따른 순위이다. Table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문사회계 학생들은 해외 현장실습 및 인턴십을 0.1026 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7에 서 이공자연계 재학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은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십으로 최종 중 4. 사례 분석 요도가 0.0982로 나타났다. 또한 Table 8의 예체능계 학 생들은 해외 현장실습 및 인턴십 0.1026으로 가장 중요 4.1 개요 시 하였다. 이 과정의 일관성 비율은 전체 과정 중 3계층 본 연구에서는 조사를 통해 수집 및 취합된 대학취업 AHP 과정에서 0.0797로 최대값이 나왔다. 이는 일관성 지원 프로그램 30개를 취업 지원관 및 재학생(취업 준비 평가 기준 값인 0.1보다 작은 값이므로 설문조사 대상인 생)을 대상으로 중요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중요도 분석 재학생이 전체 항목에 대해 일관성 있는 답을 한 것으로 을 위한 설문조사는 대한민국 경남에 위치한 경상대학교 판단한다. 인재개발원에서 재직 중인 5명의 취업지원 인력과 경상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공자연계, 인문사회계, 예체능분 야의 10명씩의 학생, 총 30명의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개
734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Supporting activities
Final Importance Rank
Short divisio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college
Eligibility support
Employment support
1 4 9 13 2 7 8 11 18 22 27 6
10
Education support
Office support
Activity support
Course education
Information support
15 20 19 3 16 14 17 21 23 24 5 12 26 25 28 28 30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 Recommending a enterprise Recommending internships for official of grade 7 Supporting a language test Supporting a qualification examination about major A incident support clinic A mock(english) interview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Jobs briefing A campus recruiting A work lecture A forum for Human Resources representative Visiting a company site A economic seminar newspaper Operating a major track Supporting a notice class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 Job clubs Job camps A capstone design Operating a course work Developing a caree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 A career counseling Operating a Job Cafe Building and managing a DB Text message services A guide book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 Total
0.1146 0.0584 0.0423 0.0312 0.0808 0.0462 0.0426 0.0320 0.0214 0.0156 0.0125 0.0533 0.0411 0.0295 0.0207 0.0212 0.0684 0.0248 0.0309 0.0226 0.0171 0.0155 0.0148 0.0584 0.0318 0.0131 0.0134 0.0093 0.0093 0.0072 1
7344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Final Importance Rank
2 1 5 8
11
3 24 17 14 28 20 26 15 19 13 10 18 23 6 16 9 12 21 4 7 29 22 30 27 25
Short Supporting activities division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Cooperation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 between industry and college Recommending a enterprise Recommending internships for official of grade 7 Supporting a language test Eligibility support Supporting a qualification examination about major A incident support clinic A mock(english) interview Employment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support Jobs briefing A campus recruiting A work lecture A forum for Human Resources representative Education support Visiting a company site A economic seminar newspaper Operating a major track Office Supporting a notice class support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 Job clubs Job camps Activity A capstone design support Operating a course work Developing a caree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ourse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 education A career counseling Operating a Job Cafe Building and managing a DB Information support Text message services A guide book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 Total
0.0879 0.1026 0.0586 0.0440 0.0342 0.0799 0.0139 0.0232 0.0278 0.0093 0.0185 0.0129 0.0259 0.0194 0.0323 0.0388 0.0219 0.0146 0.0504 0.0252 0.0420 0.0336 0.0168 0.0612 0.0500 0.0082 0.0165 0.0055 0.01100 0.0137 1
734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Final Importance Rank
1 2 4 13 6 6 15 17 25 24 20 16
12
8 27 19 21 21 5 11 10 23 9 14 3 26 29 30 28 18
Short Supporting activities division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Cooperation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 between industry and college Recommending a enterprise Recommending internships for official of grade 7 Supporting a language test Eligibility support Supporting a qualification examination about major A incident support clinic A mock(english) interview Employment support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Jobs briefing A campus recruiting A work lecture A forum for Human Resources representative Education support Visiting a company site A economic seminar newspaper Operating a major track Office Supporting a notice class support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 Job clubs Job camps Activity A capstone design support Operating a course work Developing a caree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ourse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 education A career counseling Operating a Job Cafe Building and managing a DB Information support Text message services A guide book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 Total
0.0982 0.0885 0.0774 0.0290 0.0571 0.0571 0.0230 0.0220 0.0128 0.0154 0.0196 0.0224 0.0292 0.0473 0.0098 0.0207 0.0183 0.0183 0.0578 0.0299 0.0306 0.0181 0.0316 0.0278 0.0834 0.0107 0.0082 0.0050 0.0093 0.0215 1
7346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Supporting activities
Final Importance Rank
Short divisio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college
Eligibility support
Employment support
2 1 5 7 10 3 23 23 14 23 16 15
13
Education support
Office support
Activity support
Course education
Information support
27 9 20 17 22 8 6 11 18 18 4 12 28 28 26 28 21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 Recommending a enterprise Recommending internships for official of grade 7 Supporting a language test Supporting a qualification examination about major A incident support clinic A mock(english) interview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Jobs briefing A campus recruiting A work lecture A forum for Human Resources representative Visiting a company site A economic seminar newspaper Operating a major track Supporting a notice class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 Job clubs Job camps A capstone design Operating a course work Developing a caree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 A career counseling Operating a Job Cafe Building and managing a DB Text message services A guide book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 Total
0.0879 0.1026 0.0586 0.0440 0.0342 0.0799 0.0139 0.0139 0.0278 0.0139 0.0232 0.0259 0.0323 0.0129 0.0388 0.0194 0.0219 0.0146 0.0420 0.0504 0.0336 0.0210 0.0210 0.0778 0.0334 0.0082 0.0082 0.0137 0.0082 0.0165 1
734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7348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4.3 Portfolio 분석 용 설명회’ 외 9개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Table 5, 6, 7, 8은 재학생 및 취업 지 ‘Promotion 영역’ 에는 ‘입사 지원 클리닉’외 4개 프로 원관의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AHP 가중치 결과를 바 그램이 위치하고 있다. 이공자연계의 ‘Maintenance 영 탕으로 취업지원관의 AHP 가중치는 X-축, 재학생의 역’ 에는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십’ 외 11개 프로그램이 AHP 가중치는 Y-축으로 배치하여 대학취업지원활동의 이 영역에 속한다. ‘Extension 영역’ 은 ‘취업 캠프’ 중요도 분포 matrix를 구성하면 Fig. 4, 5, 6과 같다. 외 2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고, ‘Modification 영역’ 각 사분면의 기준선은 중앙값(median)값 기준으로 구 에는 ‘직무적성 검사지원’ 외 11개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분하였다. 기준선을 평균값이 아닌 중앙값으로 지정한 있다. ‘Promotion 영역’ 에는 ‘입사 지원 클리닉’외 2개 이유는 평균은 데이터 중에서 특별히 크거나 작은 데이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있다. 예체능계의 ‘Maintenance 영 터(특이치)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점 역’ 에는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십’ 외 10개 프로그램이 을 보완하기 위해 특이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중앙값을 이 영역에 속한다. ‘Extension 영역’ 은 ‘직무적성 검사 기준선으로 선정하였다. 각 학문분야별 중요도의 분포 지원’ 외 3개 프로그램이 속하고, ‘Modification 영역’ 기준은 Fig. 4부터 Fig. 6까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X- 에는 ‘채용설명회’ 외 11개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있다. 축은 0.02725로 학문분야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인문사 ‘Promotion 영역’ 에는 ‘입사 지원 클리닉’외 3개 프로 회계는 Y-축의 중앙값은 0.02555, 이공자연계의 경우 그램이 위치하고 있다. 취업지원관과 다르게 학문분야별 Y-축의 중앙값은 0.0227, 예체능계 Y-축의 중앙값은 학생들이 인지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중요도도 다르 0.02455로 나타났다. 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계의 ‘Maintenance 영역’ 에는 ‘국내 현장실 학문 분야별 대학취업지원활동 중요도 분포 matrix에 습 및 인턴십’ 외 9개 프로그램이 이 영역에 속한다. 서 도출된 각 영역별 대학취업지원 프로그램의 분배 현
4개 프로 황은 Table 9와 같다.
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며, ‘Modification 영역’ 에는 ‘채 ‘Maintenance 영역’ 은 학생 및 학내 취업지원관이 734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Division
Support activity for employmentj(no) Support activity for employmentj(no) (Divis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vis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Support activity for employmentj(no) (Division of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1)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2) Recommending a enterprise(3) Recommending internships for official of grade 7(4) Supporting a language test (5) Maintenance Supporting a qualification examination about major(6) A forum for Human Resources representative(13) Job clubs(19)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24) A career counseling(25)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1)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2) Domestic job training and internships(1) Recommending a enterprise(3) Job training and internships overseas(2) Recommending internships Recommending a enterprise(3) for official of grade 7(4) Recommending internships Supporting a language test (5) for official of grade 7(4) Supporting a qualification Supporting a language test (5) examination about major(6) Supporting a qualification A incident support clinic(7) examination about major(6) A forum for Human A work lecture(12) Resources representative(13) Resources representative(13) Visiting a company site(14) Job clubs(19) Job clubs(19)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24) Professor claim responsibility(24) A career counseling(25) A career counseling(25)
Extension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9) Job camps(20) A economic seminar newspaper(15) A capstone design(21) Operating a major track(16) Developing a career for A capstone design(21) female college students(23) Operating a course work(22)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9) A economic seminar newspaper(15) Job camps(20) A capstone design(21)
Jobs briefing(10) A campus recruiting(11)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18) Job camps(20) Developing a career for Modification female college students(23) Operating a Job Cafe(26) Building and managing a DB(27) Text message services(28) A guide book(29)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30)
Supporting the inspection for job aptitude Jobs briefing(10) (9) A campus recruiting(11) Jobs briefing(10) Operating a major track(16) A campus recruiting(11)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18) A economic seminar newspaper(15) Operating a course work(22) Operating a major track(16) Developing a career for Online a video course for officials(18) female college students(23) Operating a course work(22) Operating a Job Cafe(26) Operating a Job Cafe(26) Building and managing a DB(27) Building and managing a DB(27) Text message services(28) Text message services(28) A guide book(29) A guide book(29)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30)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30)
Promotion
A mock(english) interview(8) A work lecture(12) Supporting a notice class (17)
A incident support clinic(7) A mock(english) interview(8) A work lecture(12) Visiting a company site(14) Supporting a notice class (17)
A incident support clinic(7) A mock(english) interview(8) Visiting a company site(14) Supporting a notice class (17)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으로써, 이 영역의 생들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으로써, 이 프로그램들은 학생의 참여율이 높으며, 취업 지원관의 영역의 프로그램은 시행 시 학생들의 참여가 높을 것으 중요도 인식에 따라 집중적인 투자가 있는 영역이다. 학 로 예상 된다. ‘Extension 영역’의 프로그램들은
계속적인 ‘Maintenance 영역’의 프로그램들과 함께 많은 학생의
지원과 유지가 필요한 영역이다. ‘Extension 영역’ 은 학 평가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본 영역을 포함한
7350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다른 영역의 모든 취업 지원 프로그램들의 신뢰성 및 참 상되는 영역이다. 재학생의 참여가 낮으므로 학교차원에 여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학교차원에서 운영 중 서는 ‘Modification 영역’과 함께 예산 및 시간의 낭비가 인 취업지원 프로그램들을 대표하여 평가를 받게 되는 발생할 수 있는 부문이다. 재학생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 샘플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Extension 영역’의 프로그 해서는 학생들의 인식을 바꿀 필요성이 있다. 그 방안으 램은 취업지원관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 로 ‘Promotion 영역’의 이름처럼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 는다고 하더라도 타 영역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참여율 한 학생참여 유치를 시행해야 한다. 또는 ‘Maintenance 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학생들이 원 영역’ 또는 ‘Extention 영역’의 프로그램과의 패키지 운 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취 영 등의 방법을 통해 학생유치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 캠프’에 실제로 참여하는 학생들의 평가가 향후 ‘취 ‘Promotion 영역’의 ‘입사지원 클리닉’ 프로그램의 경우, 업 캠프’를 시행하는 기관과 같은 기관이 시행하는 프로 ‘Maintenance 영역’의 ‘기업체 추천’ 프로그램이나 그램들의 평가가 되는 것이다. 프로그램들의 평가는 대 ‘Extention 영역’의 ‘취업캠프’와 공동운용을 대안으로 게 학생들 간의 구전전파에 의해 전달되므로 학생들의 설명할 수 있다. ‘입사지원 클리닉’ 프로그램과 공동 운 참여가 비교적 높은 ‘Extension 영역’과 ‘Maintenance 용할 경우, 실질적인 취업지원 활동에 효과를 가져 올 수 영역’의 프로그램에 많은 재정적인 투자와 취업지원기관 있고, ‘취업캠프’와 연계하여공동운영 할 때에는 취업 준 및 지원인력의 관심이 요구된다. ‘Modification 영역’은 비과정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학생 참여율도 증가시 학생 및 학내 취업지원관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 킬 수 있다. 하지 않는 영역이다. 취업지원관과 재학생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절반 이상의 프로그램에 예산 이 배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Modification 영역’의 프 5. 결론 로그램은 학생의 참여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고, 학생의 참여율이 낮다면 시간 및 예산의 낭비가 될 수 있다. 따 본 연구는 학교차원에서의 취업률 개선의 일안으로, 라서 이 영역의 프로그램들은 존속여부에 대한 판단 및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취업지원 활동 및 프로그램을 개선이 필요하다. 하나의 간단한 예로 ‘입사 지원 클리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취업지원 활동을 위한 닉’ 과 ‘모의(영어)면접’의 경우, 학생들은 ‘입사 지원 클 의사결정 방안을 연구하였다. 30개의 취업지원 활동 및 리닉’ 후 ‘모의(영어)면접’을 원할 수 있다. 또는, 두 가 프로그램들을 8개의 영역으로 소구분을 하였고, 취업지 지 활동을 함께 받고 싶어 하는 학생이 있을 수 있다. 이 원 활동 및 프로그램의 중요도 분석을 위해 AHP를 이용 러한 상황에서 두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운용 하는 것 하여 취업 지원관 및 재학생이 인지하는 중요도를 분석 은 체계적이지 못한 방법인 것이다. 두 프로그램을 묶어 하였다. 중요도 분석 결과는 취업 지원관의 경우, 1순위 서 패키지 형태로 운영한다면 체계적이고 취업률 개선을 는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십, 2순위로 어학시험 지원, 3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취업당사 순위는 고시반 지원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계 분야의 자와 취업지원인력이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가중치 증가 재학생의 경우는 해외 현장실습 및 인턴십이 1순위로 나 를 위한보완이 필요한 부분과 개선되어야 할 부분을 면 타났고,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십이 2순위, 전공자격 관 밀히 검토하여 반영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영역의 프로 련 시험 지원이 3순위로 나타났다. 이공자연계 분야의 그램의 중요도와 분포는 프로그램 운영 지원 예산변경에 재학생의 경우는 국내 현장실습 및 인턴십이 1순위로 나 관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영역이므로, 변화하는 취 타났고, 해외 현장실습 및 인턴십이 2순위, 진로상담이 3 업지원 트렌드에 맞춰 비효율적인 프로그램에 대하여 과 순위로 나타났다. 예체능 분야의 재학생의 경우도 국내 감한 삭제 및 개편 단행을 실시해야하는 영역이다. 현장실습 및 인턴십이 1순위로 나타났고, 해외 현장실습 ‘Promotion 영역’은 학내 취업지원관이 상대적으로 평 및 인턴십이 2순위, 전공 관련 자격시험 지원이 3순위로 균 이상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의 프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국내외 현장실습 및 인턴십, 기업
것으로 체 추천 등의 채용과 직접적인 활동들이 공통적으로 두 것으로 예 집단이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을 하였으며, 다른 프로그
735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램들은 중요도 순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이에 포트 원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도출된 결과는 폴리오 분석을 통하여 각 집단별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 단과대학이나 학과차원에서 취업률 향상을 위한 맞춤형 식 분포와 영역별 유형 분류를 실시하였다. 포트폴리오 프로그램 벤치마킹, 현황분석을 통한 개편 등 운영 전략 분석을 통한 유형분류의 결과는 재학생의 학문분야별 상 에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제공자와 수혜자의 인식차이를 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용하여 학교별 취업지원의 방향을 자체적으로 평가 및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교 차원에서 취업지원 활동 보완이 가능하고 취업률을 제고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 및 프로그램 운영 시 다양한 부분에 기여 할 수 있다. 첫 미가 있다. 째, 19개교의 대학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인 다른 이름의 이러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 취업지원 활동 및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취합하여 취업지 이 존재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타 대학에 직접 적 원 프로그램 시행 총괄표와 프로그램 리스트를 정리함으 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취업지원활동 및 프로그램 로써 타 대학의 취업지원 활동 및 프로그램 현황 파악에 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대상의 용이하다. 이는 향후 학교차원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일 표본이 크지 않고, 각 대학별 특성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 정 수립이나 전략 수립 시, 시행하지 않고 있는 취업지원 다. 둘째, 서로 다른 대학이 동일한 활동을 한다고 하더 프로그램과 신설의 필요성을 느끼는 프로그램 운영을 위 라도, 실제 활동의 지원 규모와 학생의 참여 정도는 다르 한 벤치마킹 참고자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취업지 고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도 다를 것이다. 셋째, 설문의 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취 대상이 취업 지원관과 재학생들로 구성이 되었는데, 이 업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도출된 중요도 분석 는 실제로 취업활동을 경험해본 기취업자 및 졸업생, 실 결과를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재학생 및 취 제 기업 인사담당자의 의견이 반영되어 있지 않고 있다. 업지원관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차이 경험지식 포함을 위해 실제로 취업을 경험한 집단이나 에 따라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나타난 결과는 프로그램 관련된 집단의 설문 결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 존속여부 및 예산 배분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구에는 동일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별 지원 및 학생 참여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취업률 제고에 기여할 수 의 차이와 취업지원활동 및 프로그램이 취업률과 어떠한 있다. 예를 들어 ‘Extension 영역’의 경우 학생들이 활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 참여가 예상이 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인식 되기는 하나 충분히 타당성이 검토가 된다면 학교차원에 서는 이 영역을 운영해 나갈 인력을 추가적으로 편성하 References 거나 채용하는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활동을 수행해 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Promotion 영역’의 경우 학생들 이 참여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Extension 영역' 프 로그램과 합동으로 추진하는 전략을 수립하여 재학생과 취업지원관 모두가 취업을 위해 중요시 되는 시너지 효 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영역별 프로그램의 공동운영, 개 편, 예산 삭감 등의 의사결정을 위한 지표로 사용이 가능 한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중요도 분석 및 유형분류 과 정을 이용하여 학문별 단과대학, 학부(과) 차원에서 취업 지원에 관한 활동 현황파악 및 방향에 대한 세부적인 의 견을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특성의 학문분야의 학생들에 적합한 맞춤형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를 들어 인문사회계분야
생각하 활동지
[1] Ki Dong Nam, A Study on Efficient CDP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Employment: Anyang University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Research of Social Sciences>, Vol. 16, No. 0, p.113-137, 2011 [2] Young Chul Lee, Impact of Internship Evaluation Factors on the Employment Competitive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10, pp. 2857-2863,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10.2857 [3] Chong Hyun Pyun, Analysis of needs of for developing employment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 - Focusing on the recognized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 Employment officer of university Human resource manager of enterprise, Korea Career Education Association, <Career Education>, Vol. 25, No. 1. pp.91-113. 2012 [4] In Kyun Seo, Yon Sil Lee, To Verif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Considering Suicide: Comparing Between a Female Group and Male Group , Youth Welfare, Vol. 16, No. 3, pp. 25-53, 2014
7352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5] An Kwan-Su, A Plan for Reinforcing Competitive Power graduates, Education Economics, Vol. 19. No. 1, pp. for Employment in the University and Occupational 1-27, February 2011. Career Guidance, Korea Management Education, DOI: http://dx.doi.org/10.1080/09645290903094133 Management Education, Vol. 45, No. 2006, pp. 173~191 [18] Sang Woo Jung, Plan of raising the employment rate of [6] Hee Soo Kim, High employment rates, there is potential graduate of local universitie : focusing on Chonnam if only university education is changed, Korea National University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Educational Technology Information(KISTI), University Education Development, 2004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Vol 85. No 0. pp.90-94, 1997 [7] Bu Mi Hyun, Employment issues of university student, The key is essentially functional recovery of the [19] Yanli Qi, Improving graduates' employment university, [KISTI link] 大學敎育 , p118-121, 2007 competitiveness: A practice in Peking University, Education for Information, Vol 28, pp.101~113, 2011 [8] Bae Jung Hwan, Local contribution by higher education empowerment project and employability strengthening of [20] Se Ill Choi, A Study on the Employment Rate university student, Korea Society of Public Improvement of the Graduates from Rural Universities, Administration, <Winter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Association, Public Administration> Vol. 2009, No. 0. pp.1-14, 2009 Conference paper of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Association, Vol 7, No 1, [9] Kyung Hwa Lim, Employment-oriented education and pp264-267 (4 pages), 2013.6 Guidance of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Background of Employment rate of 100%, [21] Mi Sug Jin, Hyer Yung Jung, Soo Young Lee, Current [KISTI link] 大學敎育 129, p44-49 , 2004 Situation and Issues in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4 years University in Korea, Korea Career Education [10] Hae Woong Park, Success in employment - “Fruitful and Association, <Career Education> Vol 23. No 1. strong university which the company recognizes." March pp.135-152, 2010 of employment rate of 100% of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Korea Institute of Science [22] Chang Kyun Chae, Work Experience During th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University University Years and Probability of Students Preparation Education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to Find Future Employment, Korea Vocational Institute, Vol. 2009, No. 0. pp.131-135, 2009 <Vocational Education> Vol 22. No 1. pp.169-184, 2003 [11] Yoto, Djoko Kustono, Muladi, Wardana, The [23] Yong-Jin Chun,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of industrial society in the recruitment of Field Practice of Employed Worker, Journal of the vocational school graduates as potential labor forc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7.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Vol 5. No No. 2, pp. 257-263, 2006 5, pp.407-413, September 2013. DOI: http://dx.doi.org/10.7813/2075-4124.2013/5-5/B.63 [24] O. C. Adiguzel, An evaluation of industrial placement in engineering programmes: a case in Turkey, Vol. 33, No. [12] Nii Djan Tackey, “Teaching graduates to mind their own 1, pp.33-43, March 2008 business",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Vol 31, No 7, 1999 [25] Sun Young Song, The 40th policy forum of university education 'College Students Employment, Diagnosis and [13] Ha Young Shin, Increase employment University “Let's Alternatives', University Education XIV No. 179. go back to basics"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pp.86-90, 1225-7982, 2013 Technology Information(KISTI), University Education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Vol 147. No [26] Eung Seok Kim, The Weighting Factor Assessment for 5. pp.104-108, 2007 Water Supply Facility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Vol 11, No 4, pp.41-47, 2011 [14] Gil Hoon Kang, Academic research papers : College career and employment map of logic and truth, Korea [27] Markowitz, H. 1952, "Portfolio Selection", Journal of Career Education Association, <Career Education> Vol Finance, Vol 11. No 2, pp.77-91 16. No 1. pp.155-172, 2003 DOI: http://dx.doi.org/10.2307/2975974 [15] Seong Sam Won, Special discussion - How to do college [28] Tae Young Shin, Doo Hyun Ahn, Applying T career and employment issues, Korea Council for echnology Portfolio to Str ategic R&D Planning, Science University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998 Technology Information(KISTI), University Education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Vol 144. No and Planning(KISTEP), research and analsis of 0. pp.120-124, 2006 methodlogy for setting R&D Investment Portfolio, 2006 [16] Sang Young Oh,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Differences Between Staffs and Students on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in Choong-buk Provinc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orea Academic Society), Vol 12. No 8. pp.3510-3516, 2011
programme performance of the
735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2015
김 성 규 (Sung-Kyu Kim)
[준회원]
전 정 환 (Jeong-Hwan Jeon)
[정회원]
•2014년 8월 : 경상대학교 산업시스 템공학과 (공학사) •2014년 9월 ~ 현재 :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공학석사)
•1999년 2월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 공학과 (공학사) •2005년 8월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 공학과 (공학석사) •2011년 8월 : 서울대학교 산업공학 과 (공학박사) •2012년 3월 ~ 현재 :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부 교수
<관심분야> 기술 경영, 기술 평가, 개방형 혁신, 빅데이터
<관심분야> 기술 기획, 기술 정책, 개방형 혁신, 기술 평가, 특허 분석, 서비스 예측
윤 희 성 (Hee-Seong Yoon)
[준회원]
•2010년 3월 ~ 현재 :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공학사)
<관심분야> 생산관리, 품질관리, 6 Sigma
김 예 진 (Ye-Jin Kim)
[준회원]
•2011년 3월 ~ 현재 :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공학사)
<관심분야> 전사적자원관리, 생산관리,
7354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부록 [별첨 1]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시행 현황
구분
프로그램
성 경 강 충 충 전 전 경 부 제 서 부 울 창 동 해 고 중 한 균 상 원 북 남 북 남 북 산 주 울 경 산 원 아 양 려 앙 양 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국내 현장실습 및 ○ ○ ○ ○ ○ ○ ○ ○ ○ ○ ○ ○ ○ ○ ○ ○ ○ ○ ○ 인턴쉽 산 해외 현장실습 및 학 ○ ○ ○ ○ ○ ○ ○ ○ ○ ○ ○ ○ ○ ○ ○ ○ ○ ○ ○ 인턴쉽 지 원 기업체 추천 ○ ○ ○ ○ ○ ○ ○ 7 급 공무원 인턴 추천 ○ ○ 자 어학시험 지원 ○ ○ ○ ○ ○ ○ ○ ○ ○ ○ ○ ○ 격 지 전공 관련 자격시험 ○ ○ ○ ○ ○ ○ ○ ○ ○ ○ ○ ○ 원 지원 입사 지원 클리닉 ○ ○ ○ ○ ○ ○ ○ ○ ○ ○ ○ ○ ○ ○ 취 모의 ( 영어 ) 면접 ○ ○ ○ ○ ○ ○ ○ ○ ○ ○ ○ ○ ○ ○ 업 직무적성 검사지원 ○ ○ ○ ○ ○ ○ ○ ○ ○ ○ ○ ○ ○ ○ ○ 지 원 채용 설명회 ○ ○ ○ ○ ○ ○ ○ ○ ○ ○ ○ ○ ○ ○ ○ ○ 캠퍼스 리쿠르팅 ○ ○ ○ ○ ○ ○ ○ ○ ○ ○ ○ 취업 특강 ○ ○ ○ ○ ○ ○ ○ ○ ○ ○ ○ ○ ○ ○ ○ ○ 교 인사담당자 포럼 ○ ○ ○ ○ ○ 육 기업현장 방문 ○ ○ ○ ○ ○ ○ ○ ○ ○ ○ ○ ○ ○ 지 원 경제신문 세미나 ○ 전공 트랙제 운영 ○ ○ 공 고시반 지원 ○ ○ ○ ○ ○ 직 지 온라인 공무원 동영상 ○ ○ ○ 원 강좌 취업 동아리 ○ ○ ○ ○ ○ ○ ○ ○ ○ ○ ○ ○ ○ 활 취업 캠프 ○ ○ ○ ○ ○ ○ ○ ○ ○ ○ ○ ○ ○ ○ ○ ○ 동 캡스톤 디자인 ○ ○ ○ ○ ○ ○ ○ ○ ○ ○ ○ ○ ○ ○ 지 원 취업교과목 운영 ○ ○ ○ ○ ○ ○ ○ ○ ○ ○ ○ ○ ○ ○ ○ ○ 여대생 커리어 개발 ○ ○ ○ ○ ○ ○ ○ ○ ○ ○ ○ 진 책임 지도 교수제 ○ ○ ○ ○ ○ 로 교 진로 상담 ○ ○ ○ ○ ○ ○ ○ ○ ○ ○ ○ ○ ○ ○ ○ ○ ○ ○ 육 Job Cafe 운영 ○ ○ ○ ○ ○ ○ ○ DB 구축 및 관리 ○ ○ ○ ○ ○ ○ ○ ○ ○ ○ ○ ○ ○ 정 보 문자 서비스 ○ ○ 제 공 가이드 북 ○ ○ ○ ○ ○
○ ○ ○ ○ ○ ○ ○ ○ ○ ○ ○ ○ ○ ○ ○
7355

대학의 취업지원활동 조사 및 중요도 분석

Abstract

unemployment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job shortage is followed. To improve the employment, several research from academy and various fields has been performed. However, systemic and long-term supports for improving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has been rai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main activities for employment and analyse the importance of main activities. First, supporting activities for employment are surveyed about 19 universities.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pporting activities for employment are analysed to students and employment supporter by AHP. Third, portfolio analysis are conducted to analyse the difference of awareness on the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university's employment and help to establish the policy for employment supporting activities.
Tel: +82-55-772-1704 email: jhjeon@gnu.ac.kr Received August 3, 2015 Revised
는 ‘청년취업 아카데미’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배치되었던 취업지원인력을 확대 배치하여 대학
본 연구의 결론을 맺는다.
위 및 환경을 변화 시키고, 취업을 위한 트레이닝과 교수 지도의 필요성도 제시되었다[19]. 실무 맞춤형 교육에
Changes in teaching methods along
것이 필요하다. 단계 3은 맵핑(mapping) 단계로, 분석 2.3 포트폴리오 분석 대상의 요인의 수준을 측정하여 Matrix 격자 위에 배치 포트폴리오 분석은 분포 분석이라고도 불리며 수행주 하는 작업이다. 단계 4는 추진전략 수립이다. 포트폴리 체의 현재과제와 미래에 수행할 과제들의 전체적인 분포 오를 개선 및 조정할 전략적인 방향과 대안을 도출하는 를 살펴보는 분석이다. 포트폴리오 기법은 투자를 위한 단계이다. 이때 세부전략은 영역별 전략적인 현황분석과 최적개별자산의 결정을 위해 수학적 분석도구로 개발되 영역별 관계가 반영 되어져야 한다. 었다[27]. 기본적으로 개별 자산의 투자분석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위험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통해 투 자타당성을 검토해온 재무관리의 관점을 전략경영 분석 3. 연구 설계 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또한 적절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하여 수익성 증대, 시너지 효과의 이점을 가질 수 있기 3.1 대학취업지원활동 현황 조사 에 전략경영에서 중요하다[28]. 포트폴리오 분석의 목적 본 연구는 대학취업지원활동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과 용도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수행주체 국내 4년제 대학교에서 시행 중인 취업지원활동을 조사
29. A guide book 30. Operating the online Jobs system
7342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4년 2월부터 3월까지
‘Extension 영역’ 은 ‘직무적성 검사지원’ 외
생의 참여율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그램들은 취업지원인력의 노력이 집중되어 있을 예상되는 영역이지만 학생들의 참여율이 낮을
의 학생들이 ‘캠퍼스 리쿠르팅’ 활동을 중요하게 고 있다면 단과대학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17] Hans Heijke, The effects of higher education characteristics on the allocation and
○ ○ ○ ○
온라인 채용 정보시스템 운영

Loading...